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10


[선우 태자의 보시행 10]
 아니 한 예 臣下히 주001)
신하(臣下)히:
신하들이. 명사의 복수형은 접미사 ‘-’을 취한다. ‘-’은 평칭(平稱)이고, 존칭(尊稱)은 ‘-내’를 취한다.
議論호 나라 이쇼 庫藏브터 주002)
-브터:
-부터. 으로부터. 말미암아.
주003)
--:
(현재의 선어말어미) 현재 계속되고 있는 동작.
니 庫藏이 뷔면 나라토 뷔 주004)
-리-:
(미래의 선어말어미) 미래에 일어날 동작의 추측.
라 고  王  財寶 세 分으로 두 分을

월인석보 22:29ㄴ

시니 주005)
시니:
쓰시니. 사용하시니.
王이 야 보샤 리다 王이 니샤 주006)
내:
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太子 거스디 주007)
거스디:
거스르지. 기본형은 ‘거슬다(거스르다)’.
몯가니와 주008)
몯가니와:
못하거니와. 몯++거니와. 어근의 말음이 ‘ㄱ, ㄷ’ 등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가 아예 탈락한다.
져기 주009)
져기:
좀. 적이.
더듸 주010)
더듸:
더디. 더디게. 늦게.
시야 제 매 맛디 아니킈 주011)
아니킈:
아니++긔. 어근의 말음이 ‘ㄱ, ㄷ’ 등으로 끝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가 다음 음절과 어울려 축약된다.
라 야시 주012)
야시:
시거늘.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10]
또 많지 않은 사이에 신하들이 의논하되, 나라가 있는 것은 창고로부터 있으니 창고가 비면 나라도 비게 될 것이다 하고, 또 왕께 아뢰되 재보를 세 분으로 두 분을 쓰시니 왕이 생각하여 보셔야 할 것입니다. 왕이 이르시되 “내가 태자의 뜻을 거스르지 못하거니와 네가 좀 더듸게 하여서 그의 마음에 맞지 않게 하라.” 하시거늘,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하(臣下)히:신하들이. 명사의 복수형은 접미사 ‘-’을 취한다. ‘-’은 평칭(平稱)이고, 존칭(尊稱)은 ‘-내’를 취한다.
주002)
-브터:-부터. 으로부터. 말미암아.
주003)
--:(현재의 선어말어미) 현재 계속되고 있는 동작.
주004)
-리-:(미래의 선어말어미) 미래에 일어날 동작의 추측.
주005)
시니:쓰시니. 사용하시니.
주006)
내: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주007)
거스디:거스르지. 기본형은 ‘거슬다(거스르다)’.
주008)
몯가니와:못하거니와. 몯++거니와. 어근의 말음이 ‘ㄱ, ㄷ’ 등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가 아예 탈락한다.
주009)
져기:좀. 적이.
주010)
더듸:더디. 더디게. 늦게.
주011)
아니킈:아니++긔. 어근의 말음이 ‘ㄱ, ㄷ’ 등으로 끝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가 다음 음절과 어울려 축약된다.
주012)
야시:시거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