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29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29


[선우 태자의 보시행 29]
惡友ㅣ 듣고 새와 주001)
새오다:
질투하다. 시기하다.
怒야 너교 父母ㅣ 녜 주002)
녜:
① 늘. 항상. ② 상례(常例). 보통.
各別히 시더니  摩尼寶

월인석보 22:48ㄴ

珠 어드니 내 모미 디샛 주003)
디새:
기와.
만도 주004)
:
‘’의 잘못으로 보인다. ‘’은 ‘조약돌, 조각’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몯 너기시리로다 고 善友려 닐오 깃블쎠 주005)
깃블쎠:
기쁠사. 기쁘도다. 기쁘구나. ‘-ㄹ쎠’는 감탄의 종결어미.
이런 寶珠를 어드란 주006)
어드란:
얻을 것이면. ‘-란’는 현대어의 ‘-ㄹ 것이면’에 해당된다.
이런 險 길헤 조심야 딕야 리로소다 주007)
딕야:
정직하시어. ‘딕다’는 ‘정직하다’.
善友즉재 주008)
즉재:
즉시. 곧.
寶珠 내야 惡友 주고 警戒호 너옷 주009)
너옷:
여기에서의 ‘옷’은 강세의 첨사이다. 그에는 또한 ‘곳’이 있었고, ‘곳’은 모음과 ‘ㄹ’ 뒤에서 ‘옷’이 되었다.
가 주010)
가:
(동) 가빠하여 힘들어하다.
자거든 내 딕희오 주011)
딕히오:
(동) 딕히다. 지키다.

월인석보 22:49ㄱ

나옷 자거든 네 딕희라 고 兄이 자거늘 주012)
자거늘:
~거늘.(어미) 1. ~애, ~으메, ~므로 2. ~는데, ~나, ~에도 불구하고.
대곳 주013)
대곳:
‘대나무 꼬챙이’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대곶’을 ‘대곳’으로 표기한 것은 8종성가족용에 의한 것이다. 꼬챙이의 의미로 쓰인 ‘곶’의 예로는 ‘ 고재 여 굽고 남진 겨지비 두루 안자 모다 머그며〈월석 23:79〉, 祖師ㅅ 公案  고재 다 며〈법어 9〉’ 등이 있다.
둘흐로 兄의 두 눈네 주014)
눈네:
눈에. 여기서와 같은 ‘눈네’는 근대국어 자료에 보이는 중철표기의 모습을 보이나. 근대국어에서의 중철표기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단은 오각으로 보인다.
박고 구슬 아 가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29]
악우가 듣고 시기하여 분노하여 생각하되 부모가 늘 항상 특별히 사랑하시더니 또 여의보주를 얻으니 내 몸이야 기와 조각만큼도 여기지 못하는구나 하고 선우에게 이르되 기쁘구나. 이런 보주를 얻을 것이면 이런 험한 길에 조심하여 지켜야 할 것입니다. 선우가 즉시 보주를 내어 악우에게 주고 경계하되 너곳 힘들어 자거든 내 지키고 나곳 자거든 네가 지키라고 하고 형이 자거늘 대나무 꼬챙이 둘로 형의 두 눈에 박고 구슬(보주)을 빼앗아 갔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새오다:질투하다. 시기하다.
주002)
녜:① 늘. 항상. ② 상례(常例). 보통.
주003)
디새:기와.
주004)
:‘’의 잘못으로 보인다. ‘’은 ‘조약돌, 조각’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주005)
깃블쎠:기쁠사. 기쁘도다. 기쁘구나. ‘-ㄹ쎠’는 감탄의 종결어미.
주006)
어드란:얻을 것이면. ‘-란’는 현대어의 ‘-ㄹ 것이면’에 해당된다.
주007)
딕야:정직하시어. ‘딕다’는 ‘정직하다’.
주008)
즉재:즉시. 곧.
주009)
너옷:여기에서의 ‘옷’은 강세의 첨사이다. 그에는 또한 ‘곳’이 있었고, ‘곳’은 모음과 ‘ㄹ’ 뒤에서 ‘옷’이 되었다.
주010)
가:(동) 가빠하여 힘들어하다.
주011)
딕히오:(동) 딕히다. 지키다.
주012)
자거늘:~거늘.(어미) 1. ~애, ~으메, ~므로 2. ~는데, ~나, ~에도 불구하고.
주013)
대곳:‘대나무 꼬챙이’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대곶’을 ‘대곳’으로 표기한 것은 8종성가족용에 의한 것이다. 꼬챙이의 의미로 쓰인 ‘곶’의 예로는 ‘ 고재 여 굽고 남진 겨지비 두루 안자 모다 머그며〈월석 23:79〉, 祖師ㅅ 公案  고재 다 며〈법어 9〉’ 등이 있다.
주014)
눈네:눈에. 여기서와 같은 ‘눈네’는 근대국어 자료에 보이는 중철표기의 모습을 보이나. 근대국어에서의 중철표기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일단은 오각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