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3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35


[선우 태자의 보시행 35]
善友 주001)
선우(善友):
선지식, 선친우. ①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②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ㅣ 듣고 츠기 주002)
츠기:
측은히. 측(惻)이.
너겨 이틄날 주003)
이틄날:
이튿날. 이틀+ㅅ+날.
아 主人려 닐오

월인석보 22:53ㄱ

내 나가려 노다 주004)
-노다:
어간 뒤에 붙어, 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여, ‘-나이다’.
主人이 닐오 주005)
닐오:
이르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므슷 주006)
므슷:
무슨.
이리 몯맛야 날 리고 가려 다 주007)
다:
하-+-는-+-다.
善友 주008)
선우(善友):
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ㅣ 닐오 소니 주009)
소니:
손+-이. 손은 ‘①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②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장소에 찾아온 사람. ③ 지나가다가 잠시 들른 사람’.
오래 이쇼미 주010)
이쇼미:
있-+-으-+-니.
몯리니 主人곳 주011)
곳:
곧(조사).
나 어여 주012)
어여:
어엿비. 불쌍히. ‘어엿브다’는 ‘불쌍하다’.
너기거시든 주013)
너기거시든:
여기시거든. 옛말 ‘-거시-’에서 현재 ‘-시건-’으로 순서 변화.
날 爲야  鳴箏 주014)
명쟁(鳴箏):
쟁. 아쟁.
라 주015)
라:
만들어. ‘다’는 ‘만들다’.
주고【鳴은 소리날씨오 箏 륫 주016)
륫 갓:
악기.
일후미라】
사 한 주017)
한:
표기 자체가 분명하지 않다. 일단 ‘많은’ 정도로 해석하여 두기로 한다.
자새 나다가 두고

월인석보 22:53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35]
선우가 듣고 측은히 여겨 이튿날 아침에 주인에게 이르되 “내가 나가려 합니다.” 주인이 이르되 “무슨 일이 못 마땅하여 날 버리고 가려 하는가?” 선우가 이르되 “손님이 오래 있는 것이 못 할 일이니 주인곳 나를 불쌍히 여기시거든 날 위해서 아쟁 하나를 만들어 주고【명은 소리나는 것이고 쟁은 악기 이름이다.】 사람 많은 시장에 나를 두었으면 한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선우(善友):선지식, 선친우. ①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②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주002)
츠기:측은히. 측(惻)이.
주003)
이틄날:이튿날. 이틀+ㅅ+날.
주004)
-노다:어간 뒤에 붙어, 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쓰여, ‘-나이다’.
주005)
닐오:이르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주006)
므슷:무슨.
주007)
다:하-+-는-+-다.
주008)
선우(善友):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주009)
소니:손+-이. 손은 ‘①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②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장소에 찾아온 사람. ③ 지나가다가 잠시 들른 사람’.
주010)
이쇼미:있-+-으-+-니.
주011)
곳:곧(조사).
주012)
어여:어엿비. 불쌍히. ‘어엿브다’는 ‘불쌍하다’.
주013)
너기거시든:여기시거든. 옛말 ‘-거시-’에서 현재 ‘-시건-’으로 순서 변화.
주014)
명쟁(鳴箏):쟁. 아쟁.
주015)
라:만들어. ‘다’는 ‘만들다’.
주016)
륫 갓:악기.
주017)
한:표기 자체가 분명하지 않다. 일단 ‘많은’ 정도로 해석하여 두기로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