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30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30


[선우 태자의 보시행 30]
주001)
:
ㅴ의 합용병서. ㅄ계의 어두자음군. 때. 때에.
善友ㅣ 앗 블러 닐오 도기 주002)
도기:
도적(盜賊)이.
내 두 누늘 르고 주003)
르고:
찌르고. 기본형은 ‘찌르다’.
寶珠 가져가다 니 惡友맛디 주004)
맛디:
대답하지. ‘맛갊다(동)’는 ‘응하다. 대답하다’.
아니 善友안답 주005)
안답:
답답하여. 안타까워. ‘안답다’는 ‘답답하다’, ‘안타깝다’의 뜻.
내 아도 도기 주기도다 야

월인석보 22:49ㄴ

된 모로 브르니 소리 神祇 주006)
신기(神祇):
천신(天神)과 지기(地祇)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하늘의 신령과 땅의 신령을 이른다. 천신 지기(天神地祇).
뮈우더니 주007)
뮈우다:
움직이게 하다.
오라오 주008)
오라다:
오래다(형용사).
맛디 주009)
맛다:
응하다. 대답하다.
아니커늘 그 주010)
:
때.
樹神이 소리 내야 닐오 그딋 주011)
그뒷:
그대의, 그대가.
아 주012)
아:
아우. 앗〉〉아우.
惡友는 그딋 모딘 도기니 그딧 주013)
그딧:
출현 빈도로는 ‘그디’보다는 ‘그듸’가 훨씬 많다.
두 누늘 르고 주014)
르고:
찌르고.
寶珠 아가니 그듸 惡友 블러 므슴 주015)
므슴:
‘무엇’에 해당하는 의문대명사.
따 善友ㅣ 듣고 애라 셜 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30]
그때에 선우가 아우를 불러 이르되 도적이 내 두 눈을 찌르고 보주 가져간다 하니 악우가 대답하지 아니하기에 선우가 답답하고 안타까워 내 아우도 도적이 죽이었구나 하여 큰 소리로 부르니, 소리가 천신지기를 움직이게 하니, 오래되었지만 대답하지 아니하거늘 그때 수신이 소리내어 이르되 그대의 아우 악우는 그대의 모진 도적이니 그대의 두 눈을 찌르고 보주 빼앗아가니 그대 악우를 불러 무엇을 하겠는가? 선우가 듣고 애달파 서러워하더라.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ㅴ의 합용병서. ㅄ계의 어두자음군. 때. 때에.
주002)
도기:도적(盜賊)이.
주003)
르고:찌르고. 기본형은 ‘찌르다’.
주004)
맛디:대답하지. ‘맛갊다(동)’는 ‘응하다. 대답하다’.
주005)
안답:답답하여. 안타까워. ‘안답다’는 ‘답답하다’, ‘안타깝다’의 뜻.
주006)
신기(神祇):천신(天神)과 지기(地祇)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하늘의 신령과 땅의 신령을 이른다. 천신 지기(天神地祇).
주007)
뮈우다:움직이게 하다.
주008)
오라다:오래다(형용사).
주009)
맛다:응하다. 대답하다.
주010)
:때.
주011)
그뒷:그대의, 그대가.
주012)
아:아우. 앗〉〉아우.
주013)
그딧:출현 빈도로는 ‘그디’보다는 ‘그듸’가 훨씬 많다.
주014)
르고:찌르고.
주015)
므슴:‘무엇’에 해당하는 의문대명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