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37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37


[선우 태자의 보시행 37]
그 國

월인석보 22:54ㄱ

王이 주001)
:
한. ① 하나[一]. ② 어떤. ③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많은’.
果園을 뒷더니 주002)
뒷더니:
‘두어잇더니〉두(어)잇더니〉둿더니’ 변모 과정.
【果園은 果實東山이라】 東山 딕 주003)
딕:
딕다 : ‘딕다’는 ‘지키다’.
노미 주004)
노미:
놈+-이.
善友 주005)
선우(善友):
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려 주006)
려:
더러(조사). 주로 유정 체언류 뒤에 붙는다.
닐오 주007)
닐오:
이르되.
爲야 주008)
위(爲)야:
위하여. 위-+-아.
새 이면 주009)
이면:
날리면. ‘이다’는 ‘날리다’.
됴히 주010)
됴히:
좋이. 좋게.
이바도리라 주011)
이바도리라:
대접할 것이다. 봉양할 것이다. ‘이받다’는 ‘대접하다. 봉양하다’.
善友ㅣ  나모 주012)
나모:
나무.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 나타나며, 그 밖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아래 안자 주013)
안자:
앉-+-아.
새 이 을  주를 후늘며 주014)
후늘며:
흔들며. ‘후늘다’는 ‘흔들다’(동사).
주015)
:
또.
箏 노라 주016)
노라:
놀아. 연주하여. ‘놀다’는 ‘연주하다’(동사).
제 즐겨터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37]
그때 국왕이 한 과원을 두었더니【과원은 과실 동산이다.】 동산 지키는 사람이 선우에게 이르되 “날 위해 새를 날리면 내가 좋게 대접하겠다.” 선우가 한 나무 아래 앉아 새 날리는 망을 단 줄을 흔들며 또 아쟁을 연주해 자기가 즐겨하더니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 ① 하나[一]. ② 어떤. ③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많은’.
주002)
뒷더니:‘두어잇더니〉두(어)잇더니〉둿더니’ 변모 과정.
주003)
딕:딕다 : ‘딕다’는 ‘지키다’.
주004)
노미:놈+-이.
주005)
선우(善友):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 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주006)
려:더러(조사). 주로 유정 체언류 뒤에 붙는다.
주007)
닐오:이르되.
주008)
위(爲)야:위하여. 위-+-아.
주009)
이면:날리면. ‘이다’는 ‘날리다’.
주010)
됴히:좋이. 좋게.
주011)
이바도리라:대접할 것이다. 봉양할 것이다. ‘이받다’는 ‘대접하다. 봉양하다’.
주012)
나모:나무.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 나타나며, 그 밖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주013)
안자:앉-+-아.
주014)
후늘며:흔들며. ‘후늘다’는 ‘흔들다’(동사).
주015)
:또.
주016)
노라:놀아. 연주하여. ‘놀다’는 ‘연주하다’(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