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월인천강지곡 기445~기494(50곡)
  • 월인천강지곡 기458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58


其 四百五十八
닐웻 주001)
닐웻:
이레(칠일, 일곱날). 닐웨+ㅅ(속격 시옷).
녀샤 주002)
녀샤:
가시어. ‘녀다’는 ‘가다, 다니다’(동사).
무릎 틸 주003)
믈:
물. 순음 ‘ㅁ, ㅂ, ㅍ, ᄲ’ 아래 오는 모음 ‘ㅡ’의 원순화(圓唇化)는 근대어의 시기에 일어난 주목할 만한 모음 변화의 하나이다. 이 변화로 중세어 이래 있었던 ‘므, 브, 프, ’와 ‘무, 부, 푸, ’의 대립이 국어에서 없어지게 된 것이다.
걷나샤 주004)
걷나샤:
건너시어. ‘걷나다 〉 건너다’(동사).

월인석보 22:6ㄴ

닐웨 주005)
닐웨:
이레(칠일, 일곱날).
예 목 틸 믈 걷나샤
닐웻 길  녀샤 믈 헤여 걷나샤 세 닐웨예 바애 가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오십팔
한 이레 길 가시어 무릎 칠 주006)
무릎 틸 물:
무릎만큼 오는 물.
건너시어 두 이레에 목 칠 물을 건너시어
이레 길 또 가시어 물 헤어 건너시어 세 이레에 바다에 가시니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웻:이레(칠일, 일곱날). 닐웨+ㅅ(속격 시옷).
주002)
녀샤:가시어. ‘녀다’는 ‘가다, 다니다’(동사).
주003)
믈:물. 순음 ‘ㅁ, ㅂ, ㅍ, ᄲ’ 아래 오는 모음 ‘ㅡ’의 원순화(圓唇化)는 근대어의 시기에 일어난 주목할 만한 모음 변화의 하나이다. 이 변화로 중세어 이래 있었던 ‘므, 브, 프, ’와 ‘무, 부, 푸, ’의 대립이 국어에서 없어지게 된 것이다.
주004)
걷나샤:건너시어. ‘걷나다 〉 건너다’(동사).
주005)
닐웨:이레(칠일, 일곱날).
주006)
무릎 틸 물:무릎만큼 오는 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