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월인천강지곡 기445~기494(50곡)
  • 월인천강지곡 기49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93


其 四百九十三

월인석보 22:20ㄱ

옷과 구슬와 쇠 주001)
쇠:
‘팔찌’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는 ‘빈혀와 쇠 자바 오〈두시 20:9ㄱ〉’와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와 곳과 金銀 七寶 주002)
칠보(七寶):
일곱 가지 보석. ① 금(金), 은(銀), 유리(琉璃, 검푸른 빛이 나는 보석), 파리(頗梨)나 수정(水晶), 차거(硨磲, 백산호 또는 대합), 적진주(赤眞珠, 붉은 빛이 나는 진주), 마노(碼瑙, 짙은 녹색 빛이 나는 보석) 등을 이름. 그러나 경론(經論)에 따라 다름. ②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소유하고 있다는 일곱 가지 보물.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주보(珠寶), 여보(女寶), 거사보(居士寶), 주병신보(主兵臣寶)를 이름.
ㅣ 다 오니다
이 주003)
이:
이에야. ‘-’는 ‘-야’(조사). 강세의 첨사 ‘’는 고대의 ‘사(沙)’에 소급하는 것이다. 체언에서는 i나 ‘ㄹ’ 뒤에 직접 연결되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된다. ‘’는 ‘야’로 변했는데, 16세기 후반의 문헌에 이미 나타난다. 〈소학언해〉에는 ‘’와 ‘아’가 나타난다.
나타 風流 니르리 주004)
니르리:
① 이르게. ② 영원히, 오래도록.
오니 寶珠ㅅ 威德이 긔 엇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구십삼
옷과 구슬과 팔찌와 꽃과 금은 칠보가 다 옵니다.
이에야 나타나 풍류 이르도록 오니 보주의 위덕(威德)이 그 어떠하니.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쇠:‘팔찌’를 가리킨다. 〈두시언해〉에는 ‘빈혀와 쇠 자바 오〈두시 20:9ㄱ〉’와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002)
칠보(七寶):일곱 가지 보석. ① 금(金), 은(銀), 유리(琉璃, 검푸른 빛이 나는 보석), 파리(頗梨)나 수정(水晶), 차거(硨磲, 백산호 또는 대합), 적진주(赤眞珠, 붉은 빛이 나는 진주), 마노(碼瑙, 짙은 녹색 빛이 나는 보석) 등을 이름. 그러나 경론(經論)에 따라 다름. ②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소유하고 있다는 일곱 가지 보물.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주보(珠寶), 여보(女寶), 거사보(居士寶), 주병신보(主兵臣寶)를 이름.
주003)
이:이에야. ‘-’는 ‘-야’(조사). 강세의 첨사 ‘’는 고대의 ‘사(沙)’에 소급하는 것이다. 체언에서는 i나 ‘ㄹ’ 뒤에 직접 연결되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된다. ‘’는 ‘야’로 변했는데, 16세기 후반의 문헌에 이미 나타난다. 〈소학언해〉에는 ‘’와 ‘아’가 나타난다.
주004)
니르리:① 이르게. ② 영원히, 오래도록.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