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9


[선우 태자의 보시행 9]
善友太

월인석보 22:28ㄴ

ㅣ 즉재 臣下 브려 주001)
브려:
부려. 순음 ‘ㅁ, ㅂ, ㅍ, ᄲ’ 아래오는 모음 ‘ㅡ’의 원순화(圓唇化)는 근대어의 시기에 일어난 주목할 만한 모음 변화의 하나이다. 이 변화로 중세어 이래 있었던 ‘므, 브, 프, ’와 ‘무, 부, 푸, ’의 대립이 국어에서 없어지게 된 것이다. 중세국어에서 ‘블다’와 ‘불다’는 대립을 보인다.
五百象애 보 시러 주002)
시러:
실어. 수레에 싣고서. 기본형은 ‘싣다’이다.
네 城門 밧긔 내야 出令야  주003)
:
마음껏(부사). ‘’은 명사에서 기원한 특수조사로, 속격의 ‘-ㅅ’을 지배한다, 현대어의 ‘까지’와 ‘껏’의 의미에 해당한다.
가져가라 니 아니 한 예 세 分으로  分을 대 庫藏 안 주004)
알다:
주관하다.
臣下ㅣ 王  太子ㅣ 마 세 分으로  分을 시니 王이

월인석보 22:29ㄱ

야
주005)
랑야:
‘랑다’는 생각하다[思]와 사랑하다[愛]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서는 ‘생각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보샤 리다 王이 니샤 太子ㅣ 논 이리라 거스디 몯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9]
선우태자가 즉시 신하 시켜 오백 코끼리에 보배를 실어 네 성문 밖에 내어 명령하여 마음껏 가져가라 하니, 많지 않은 사이에 세 분으로 한 분을 쓰기에, 창고 관리하는 신하가 왕께 아뢰되, 태자가 이미 세 분으로 한 분을 쓰니 왕이 생각하여 보셔야 할 것입니다. 왕이 이르시되 “태자가 하는 일이다. 거스르지 못한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브려:부려. 순음 ‘ㅁ, ㅂ, ㅍ, ᄲ’ 아래오는 모음 ‘ㅡ’의 원순화(圓唇化)는 근대어의 시기에 일어난 주목할 만한 모음 변화의 하나이다. 이 변화로 중세어 이래 있었던 ‘므, 브, 프, ’와 ‘무, 부, 푸, ’의 대립이 국어에서 없어지게 된 것이다. 중세국어에서 ‘블다’와 ‘불다’는 대립을 보인다.
주002)
시러:실어. 수레에 싣고서. 기본형은 ‘싣다’이다.
주003)
:마음껏(부사). ‘’은 명사에서 기원한 특수조사로, 속격의 ‘-ㅅ’을 지배한다, 현대어의 ‘까지’와 ‘껏’의 의미에 해당한다.
주004)
알다:주관하다.
주005)
랑야:‘랑다’는 생각하다[思]와 사랑하다[愛]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서는 ‘생각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