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12


[선우 태자의 보시행 12]
善友太子ㅣ 닐오 이 주001)
‘’:
고대의 ‘사’에 소급, 체언에서는 ‘i, ㄹ’ 뒤에 직접 연결되었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되었다. ‘각시, 오’.
주002)
:
가장.
싀훤타 고 드러 父王  내 이제 大海예 드

월인석보 22:31ㄴ

러가 貴 보 어더 오고져 노이다 王이 니샤 나라히 네 뒷논 거시라 庫藏앳 보  조초 주003)
조초:
따라. -대로.
주004)
다:
쓰다.
거니 므스므라 주005)
므스므라:
무슨 까닭으로.
大海예 드러 갈따 네 기픈 宮의셔 기러 帳 안해 누 주006)
-:
눕다. 자음으로 시작된 어미 앞에서 자동적으로 ‘ㅂ’으로 교체된다.
며 잆 음담다가 주007)
음담다가:
음담(飮啖)다. 음식을 먹다. 마시다.
이제 먼 길헤 딘댄 주008)
 딘댄:
‘-ㄴ대’에 후치사 ‘ㄴ’이 붙어 ‘-ㄴ댄’(간혹 ‘-ㄴ덴’)이 된 것이다. 조건을 나타낸 어미로는 현대에도 쓰이는 ‘-면’과 ‘-든/’이 있었고, 특이한 것으로 ‘-ㄴ대’, ‘-란’ 등이 있었다. ‘-든/’은 선어말 어미 ‘-거-’, ‘-아/어-’에 연결되었다. ‘거든, 야’.
주009)
:
배.
골며 주010)
골며:
고푸며. 형용사 파생접미사 ‘--’는 동사 어간에 연결되는데, 그 말음이 모음이면 ‘-ㅸ-’, ‘ᅀ’이면 ‘-/-’, 그 밖의 자음이면 ‘-/브-’로 나타났다. ‘골-, 알-’는 후대에 ‘ㄹ’의 탈락으로 ‘고프-, 아프-’가 되어 ‘곯-, 앓-’과의 파생 관계가 의식되지 않데 되었다.
며 주011)
며:
마르며.
치며 더

월인석보 22:32ㄱ

주012)
뉘:
누가. 누(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알료 주013)
알료:
알리오. 알겠는가. ‘알-+-리-+-오’. ‘-료’는 용언 어간 뒤에 붙어 ‘-리오’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12]
선우태자가 이르되 “이것이야(말로) 가장 시원하다” 하고 들어 부왕께 아뢰되 “내가 이제 대해에 들어가, 귀한 보배를 얻어 오고자 합니다” 왕이 이르시되 나라가 너의 둔 것이다. 창고의 보배를 마음대로 쓰거니 무엇하러 바다로 들어가려 하는가! 네가 깊은 궁에서, 길어 장막 안에 누으며 입까지 음식을 먹다가, 이제 먼 길을 갈진대 배고프며 목마르며 추우며 더움을 누가 알겠는가?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대의 ‘사’에 소급, 체언에서는 ‘i, ㄹ’ 뒤에 직접 연결되었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되었다. ‘각시, 오’.
주002)
:가장.
주003)
조초:따라. -대로.
주004)
다:쓰다.
주005)
므스므라:무슨 까닭으로.
주006)
-:눕다. 자음으로 시작된 어미 앞에서 자동적으로 ‘ㅂ’으로 교체된다.
주007)
음담다가:음담(飮啖)다. 음식을 먹다. 마시다.
주008)
 딘댄:‘-ㄴ대’에 후치사 ‘ㄴ’이 붙어 ‘-ㄴ댄’(간혹 ‘-ㄴ덴’)이 된 것이다. 조건을 나타낸 어미로는 현대에도 쓰이는 ‘-면’과 ‘-든/’이 있었고, 특이한 것으로 ‘-ㄴ대’, ‘-란’ 등이 있었다. ‘-든/’은 선어말 어미 ‘-거-’, ‘-아/어-’에 연결되었다. ‘거든, 야’.
주009)
:배.
주010)
골며:고푸며. 형용사 파생접미사 ‘--’는 동사 어간에 연결되는데, 그 말음이 모음이면 ‘-ㅸ-’, ‘ᅀ’이면 ‘-/-’, 그 밖의 자음이면 ‘-/브-’로 나타났다. ‘골-, 알-’는 후대에 ‘ㄹ’의 탈락으로 ‘고프-, 아프-’가 되어 ‘곯-, 앓-’과의 파생 관계가 의식되지 않데 되었다.
주011)
며:마르며.
주012)
뉘:누가. 누(의문대명사)+ㅣ(주격조사).
주013)
알료:알리오. 알겠는가. ‘알-+-리-+-오’. ‘-료’는 용언 어간 뒤에 붙어 ‘-리오’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