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11


[선우 태자의 보시행 11]
善友太子ㅣ 庫藏 여루려 주001)
-려:
의향을 나타낸 ‘-려’는 언제나 선어말 어미 ‘-오-’를 수반하였다.
 저긔 藏 맛 臣下ㅣ 다  나개늘 주002)
나개늘:
나가+잇+거늘.
브르라 니 그르 주003)
그르:
중세국어에 있어서는 ‘그르[誤]’ 이외에도 ‘외[更]’, ‘밋[及]’, ‘하[多]’, ‘일[早]’, ‘바[直]’, ‘브르[飽]’ 등 부사와 용언 어간이 일치하는 예들이 있다.
맛난 주004)
맛나다:
만나다.

월인석보 22:30ㄱ

善友太子ㅣ 닐오 이 죠고맛 주005)
죠고맛:
조그마한.
사미 주006)
제:
스스로. 저절로.
어듸 주007)
어듸:
어찌.
내 들 거슬료 다 주008)
다:
여기서는 ‘마땅히’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父王ㅅ긔 거리샷다 주009)
거리샷다:
중세 문헌에 자주 보이는 ‘-것다’, ‘-놋다’, ‘-닷다’, ‘-샷다’ 등의 ‘-ㅅ-’도 감탄법인 것으로 추정된다.
孝道ㅅ 子息 父母ㅅ 庫藏 주010)
뷔다:
비다. 쪼개다.
에 호미 몯 주011)
몯다:
못하다.
리니 내 이제 아뎌 주012)
아뎌:
사사로이. 원전의 ‘아뎌’에 ‘ㆍ’가 빠진 것은 오각이다.
財寶 주013)
:
-를, -로, -에 대해.
어더 衆生 足게 주리라 내 一切 衆生 옷

월인석보 22:30ㄴ

바 데 주014)
:
뜻.
마초 주015)
마초:
맞추어. 맞게.
足게 몯주면 엇뎨 주016)
엇뎨:
어찌.
大王ㅅ 太子ㅣ라 료 고 즉재 주017)
즉재:
즉시. 곧.
臣下 주018)
:
것을.
뫼호 주019)
뫼호다:
먹이다, 모으다.
아 議論호 쳔 주020)
쳔:
천량.
어두매 므슷 주021)
므슷:
무슨.
이리 주022)
:
가장.
爲頭뇨  大臣 닐오 녀름 주023)
녀름:
여름.
지 주024)
지:
짓기.
 주025)
다:
같다.
니 업스니다 주026)
:
또.
 大臣 닐오  주027)
:
짐승.
부르기 주028)
부르기:
불리는 것. 불리기. 불어나게 하기.
니 업스니

월인석보 22:31ㄱ

다   大臣 닐오 바래 드러가 貴 보 주029)
보:
보배.
어더옴 주030)
얻어옴:
얻어 오는 것. 얻-+-어+오+-ㅁ.
니 업스니 다가 摩尼寶珠 주031)
마니보주(摩尼寶珠):
마니(摩尼)와 같음. 주(珠)·보주(寶珠)라고 번역. 보배 구슬을 통틀어 일컬음. 보배덩어리, 여의주, 용왕의 뇌 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를 어드면 데 마초 주032)
마초:
맞추어.
一切 衆生 足게 주리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11]
선우태자가 창고를 열려 할 때에 곳간마다 신하가 다른 데 나가있거늘 부르라 하니, 잘못 만나니 선우태자가 이르되 “이 조그만 사람이 스스로 어찌 내 뜻을 거스르겠는가? 마땅히 부왕께 건지셨도다.” 효도의 자식은 부모의 창고를 비게 하지 못 하리니 내가 이제 사사로이 재물과 보석을 얻어 많은 사람들을 넉넉하도록 주겠다. 내 일체 중생의 옷 밥을 뜻에 맞추어 넉넉히 못주면 어찌 대왕의 태자라 하겠는가 하고, 즉시 신하들을 모아 의논하되, “재물을 얻음에 무슨 일이 가장 중요한가?” 하니, 한 대신은 이르되 “여름에 농사짓기 같은 것이 없습니다.” 〈하고,〉 또 한 대신은 이르되 “짐승을 쳐서 불리는 것 같은 것이 없습니다.” 또 한 대신은 이르되 “바다에 들어가 귀한 보물을 얻어옴 같은 것이 없으니 만일에 보배덩어리를 얻으면 뜻에 맞추어 많은 사람들을 넉넉하게 줄 것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려:의향을 나타낸 ‘-려’는 언제나 선어말 어미 ‘-오-’를 수반하였다.
주002)
나개늘:나가+잇+거늘.
주003)
그르:중세국어에 있어서는 ‘그르[誤]’ 이외에도 ‘외[更]’, ‘밋[及]’, ‘하[多]’, ‘일[早]’, ‘바[直]’, ‘브르[飽]’ 등 부사와 용언 어간이 일치하는 예들이 있다.
주004)
맛나다:만나다.
주005)
죠고맛:조그마한.
주006)
제:스스로. 저절로.
주007)
어듸:어찌.
주008)
다:여기서는 ‘마땅히’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주009)
거리샷다:중세 문헌에 자주 보이는 ‘-것다’, ‘-놋다’, ‘-닷다’, ‘-샷다’ 등의 ‘-ㅅ-’도 감탄법인 것으로 추정된다.
주010)
뷔다:비다. 쪼개다.
주011)
몯다:못하다.
주012)
아뎌:사사로이. 원전의 ‘아뎌’에 ‘ㆍ’가 빠진 것은 오각이다.
주013)
:-를, -로, -에 대해.
주014)
:뜻.
주015)
마초:맞추어. 맞게.
주016)
엇뎨:어찌.
주017)
즉재:즉시. 곧.
주018)
:것을.
주019)
뫼호다:먹이다, 모으다.
주020)
쳔:천량.
주021)
므슷:무슨.
주022)
:가장.
주023)
녀름:여름.
주024)
지:짓기.
주025)
다:같다.
주026)
:또.
주027)
:짐승.
주028)
부르기:불리는 것. 불리기. 불어나게 하기.
주029)
보:보배.
주030)
얻어옴:얻어 오는 것. 얻-+-어+오+-ㅁ.
주031)
마니보주(摩尼寶珠):마니(摩尼)와 같음. 주(珠)·보주(寶珠)라고 번역. 보배 구슬을 통틀어 일컬음. 보배덩어리, 여의주, 용왕의 뇌 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주032)
마초:맞추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