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8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8]
아뫼나 주001)
아뫼나:
아무나. 아무이거나. 아모[某]+ㅣ나(주격 기능의 조사), 혹은 아모[某]+ㅣ(서술격조사)+나(선택보조사). ¶아뫼나 이 經을 디녀 닐거 외오며 려 불어 닐어 여러 뵈어〈석상 9:21ㄱ〉. 아모 爲다 시니〈용가 39〉.
주002)
이:
이. 이[是](지시 관형사).
經卷을 주003)
경권(經卷)을:
부처님의 교법(敎法)을 적은 경(經), 율(律) 등의 경전을 이른다.
쓰고 주004)
쓰고:
쓰고. 쓰-[書]+고(대등적 연결어미).
華香 주005)
화향(華香):
부처님 앞에 올리는 꽃과 香(향)을 이른다.
瓔珞과 주006)
영락(瓔珞)과:
영락(瓔珞)과. ‘과’는 접속조사. ‘영락(瓔珞)’은 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서 목과 몸에 달아 장엄하는 장신구(裝身具)이다. 곧 불상이나 불상을 모시는 곳을 장엄하기 위해 금붙이와 주옥(珠玉) 등을 섞어서 만든 꽃모양의 장식(裝飾)을 이른다.
燒香 주007)
소향(燒香):
태우는 향(香)을 이른다.
抹香 주008)
말향(抹香):
붓순나무의 잎과 껍질로 만든 가루향으로 주로 뿌리는 데 사용한다.
塗香 주009)
도향(塗香):
바르는 향을 이른다.
주010)
번(幡):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장엄구(莊嚴具)이다. 다른 명칭으로는 표기(標旗), 번기(幡旗), 증번(繒幡), 당번(幢幡) 등으로도 부른다. 부처와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불전이나 절 앞에 걸어 두는 깃발을 말하며, 도량(道場)을 장엄하거나, 공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불구(佛具)의 하나이다. 나무껍질·잎·대나무·명주 등으로 만든다.
주011)
개(盖):
천개(天蓋)라고도 한다. 법당 안의 탁자 위를 덮도록 만든 닫집을 말하기도 하고, 일산(日傘)이나 우산(雨傘)을 말하기도 하는데, 강렬한 햇볕이나 비를 피하기 위해 바쳐 드는 도구이다. 원래는 부처님이 옥외(屋外)에서 설법할 때 햇빛 가리개로 쓰던 것이었다. 달리는 ‘번개(幡蓋)’라고 하여 불법의 위엄과 덕망을 나타내는 깃발[幡]과 우산 모양의 장식물[盖]을 아울러 이르기도 한다.
와 옷과 種種앳 燈

석보상절 20:26ㄱ

酥燈과 油燈과 諸香油燈瞻蔔油燈須曼那油燈波羅羅油燈婆利師迦油燈那婆摩利油燈과로 供養면 주012)
공양(供養)면:
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得혼 功德이 주013)
:
또한. [亦復](부사).
그지 업스리니 주014)
그지업스리니:
그지없을 것이니. 그지없으리니. 그지없-[無量]+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52ㄴ

다가 이 經卷을 써 華香 瓔珞 燒香 抹香 塗香 幡蓋 衣服 種種앳 燈 蘇燈 油燈 諸香油燈 瞻蔔油燈 須曼那油燈 波羅羅油燈 婆利師迦油燈

월인석보 18:53ㄱ

那婆摩利油燈으로 供養면 得혼 功德이  그지 업스리라【瞻蔔롯 아래 다 곳 일후미니 이 고로 香油 니라】

〔6:171ㄴ〕 二供養益
〔법화경〕〔6:172ㄱ〕若書是經卷야 華香瓔珞燒香末香塗香幡蓋衣服과 種種之燈酥燈油燈諸香油燈瞻蔔油燈須曼那油燈波羅羅油燈婆利師迦油燈那婆摩利油燈으로 供養면 所得功德이 亦復無量리라

〔법화경언해〕○다가 이 經卷 써 華香 瓔珞 燒香 抹香 塗香 幡盖 衣服과 種種앳 燈 蘇燈 油燈 諸香油燈 瞻蔔油燈 須曼那油燈 波羅羅油燈 婆利師迦油燈 那婆摩利油燈으로 供養〔6:172ㄴ〕면 得혼 功德이  그지 업스리라

〔계환해〕薝蔔已下 皆華名이니 以此로 熏作香油니라

〔계환해언해〕○瞻蔔으롯 아랜 다 곳 일후미니 일로 熏야 香油 짓니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8]
아무나 이 경권(經卷)을 쓰고, 화향(華香)영락(瓔珞)소향(燒香)말향(抹香)도향(塗香)번개(幡盖)와 옷과 가지가지의 등(燈)인 소등(酥燈)유등(油燈)과 모든 향유등(香油燈)첨포유등(瞻蔔油燈)수만나유등(須曼那油燈)바라라유등(波羅羅油燈)바리사가유등(婆利師迦油燈)나바마리유등(那婆摩利油燈)으로 공양하면, 얻는 공덕이 또한 그지없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뫼나:아무나. 아무이거나. 아모[某]+ㅣ나(주격 기능의 조사), 혹은 아모[某]+ㅣ(서술격조사)+나(선택보조사). ¶아뫼나 이 經을 디녀 닐거 외오며 려 불어 닐어 여러 뵈어〈석상 9:21ㄱ〉. 아모 爲다 시니〈용가 39〉.
주002)
이:이. 이[是](지시 관형사).
주003)
경권(經卷)을:부처님의 교법(敎法)을 적은 경(經), 율(律) 등의 경전을 이른다.
주004)
쓰고:쓰고. 쓰-[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5)
화향(華香):부처님 앞에 올리는 꽃과 香(향)을 이른다.
주006)
영락(瓔珞)과:영락(瓔珞)과. ‘과’는 접속조사. ‘영락(瓔珞)’은 보배 구슬이나 귀금속을 실에 꿰어서 목과 몸에 달아 장엄하는 장신구(裝身具)이다. 곧 불상이나 불상을 모시는 곳을 장엄하기 위해 금붙이와 주옥(珠玉) 등을 섞어서 만든 꽃모양의 장식(裝飾)을 이른다.
주007)
소향(燒香):태우는 향(香)을 이른다.
주008)
말향(抹香):붓순나무의 잎과 껍질로 만든 가루향으로 주로 뿌리는 데 사용한다.
주009)
도향(塗香):바르는 향을 이른다.
주010)
번(幡):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장엄구(莊嚴具)이다. 다른 명칭으로는 표기(標旗), 번기(幡旗), 증번(繒幡), 당번(幢幡) 등으로도 부른다. 부처와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불전이나 절 앞에 걸어 두는 깃발을 말하며, 도량(道場)을 장엄하거나, 공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불구(佛具)의 하나이다. 나무껍질·잎·대나무·명주 등으로 만든다.
주011)
개(盖):천개(天蓋)라고도 한다. 법당 안의 탁자 위를 덮도록 만든 닫집을 말하기도 하고, 일산(日傘)이나 우산(雨傘)을 말하기도 하는데, 강렬한 햇볕이나 비를 피하기 위해 바쳐 드는 도구이다. 원래는 부처님이 옥외(屋外)에서 설법할 때 햇빛 가리개로 쓰던 것이었다. 달리는 ‘번개(幡蓋)’라고 하여 불법의 위엄과 덕망을 나타내는 깃발[幡]과 우산 모양의 장식물[盖]을 아울러 이르기도 한다.
주012)
공양(供養)면: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3)
:또한. [亦復](부사).
주014)
그지업스리니:그지없을 것이니. 그지없으리니. 그지없-[無量]+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