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2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2]
宿王華 주001)
숙왕화(宿王華):
수왕화(宿王華).

석보상절 20:20ㄴ

주002)
수왕화(宿王華)아:
수왕화(宿王華)야.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수왕화’는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다. ‘수왕화보살’은 여러 보살의 하나로 별자리[星宿]의 왕에 의하여 신통력을 발휘하게 된 보살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뫼나 發心야 주003)
발심(發心)야:
발심(發心)하여. ‘발심’은 불도(佛道)에 들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阿褥多羅三藐三菩提得고져 주004)
득(得)고져:
득(得)하고자. 얻고자. ‘득(得)고져’에서 ‘’가 생략된 표기이다.
주005)
:
하는. -+ㅭ(관형사형어미).
사미 주006)
사미:
사람이. 사[者]+이(주격조사).
能히 가라 주007)
가라:
손가락을. 가락[手指]+(목적격조사).
어나 주008)
어나:
사르거나. 태우거나. -[燃]+거나/어나(선택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나’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9)
발:
발[足].
 가라 주010)
 가라:
한 가락을. [一]#가락[指]+(목적격조사).
어나 야 부텻 주011)
부텻:
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塔 供養면 주012)
공양(供養)면:
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나라콰 잣과 妻子와 주013)
처자(妻子)와:
처자(妻子)와. ‘-와’는 (접속조사)이다.
三千 大千國土앳 주014)
국토(國土)앳:
국토(國土)의. ‘앳’은 부사격과 관형격이 결합된 조사이다.
보로 주015)
보로:
보배로. 보[寶貝]+로(도구 부사격조사).
供養홈 두고 주016)
공양(供養)홈두고:
공양(供養)함보다. 공양(供養)하는 것보다. ‘-홈두고’는 ‘--+옴(명사형어미)+두고(비교의 부사격조사)’로 분석된다.
더으리라 주017)
더으리라:
더할 것이다. 나을 것이다. 더으-[勝]+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44ㄴ

宿王華야 다가 發心야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고져  사미 能히 가라 어나 발  가라개 니르러 佛塔

월인석보 18:45ㄱ

을 供養면 國城 妻子와 三千大千 國土 山林 河池옛 여러 가짓 珍寶앳 거스로 供養호매셔 더으리라【손 발가라 微細 執著 가비시니 能히 菩提 막니 그럴 菩提 得고져  사미 비록 能히 로 리디 몯야도 안 져그닐 브터 더러 리면 有爲福애셔 더으릴 니샤 能

월인석보 18:45ㄴ

히  가라 면 여러 가짓 供養애셔 더으리라 시니라 聖人ㅅ 言行마다 法이 겨샤 갓 末代 치샤 손발 라 福 求라 샤미 아니니 이 기 아디 몯고 얼구를 야리며 더러 것 면 乃終에 므스기 有益리오 그럴 藥王이 쟝 몸 로려  제 안 法行로 根塵 조히 다려 功行이 滿足게 신 後에 神通力으로 브를 化야 걔 샤 그 光明이 河沙 佛界 能히 비취시니 後엣 사미 그 자최 딘

월인석보 18:46ㄱ

댄 이티 야 리라】

〔6:160ㄱ〕 四勸睎法行
〔법화경〕宿王華야 若有發心야 欲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ㅣ 能然手指호 乃至足一指야 供養佛塔면 勝以國城妻子와 及三千大千國土山林河池옛 諸珍寶物로 而供養者리라

〔법화경언해〕○〔6:160ㄴ〕宿王華야 다가 發心야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고져 리 能히 가락 로 밠  가라개 니르러 佛塔을 供養면 國城 妻子와 三千大千 國土 山林 河池옛 여러 가짓 보 거스로 供養호매 더으리라

〔계환해〕手足之指 譬微細執著시니 能障菩提故로 欲得菩提者ㅣ 雖未能頓捨나 且從微而損之면 亦勝有爲之福 故로 曰能然一指면 勝諸供養이라시니라 夫聖人言行은 動必有法시니 非徒教末代샤 然手足〔6:161ㄱ〕以求福也ㅣ시니 苟不明此면 殘形焚穢 竟何益耶ㅣ리오 故로 藥王이 將欲然身실제 且以法行으로 淨治根塵샤 使功行이 滿足게신 然後에 以神通力으로 化火自焚샤 其光이 能照河沙佛界시니 後人이 欲晞其迹인댄 如斯ㅣ 可矣니라

〔계환해언해〕○손밠 가라  執着 가비시니 能히 菩提 마 菩提 得고져 리 비록 能히 다 리디 몯나 안 져그니브터 조리면  有爲福애 더으릴 니샤 能히  가라 면 여러 가짓 供養애 더으리라 시니라 聖人ㅅ 言〔6:161ㄴ〕行은 뮈샤매 모로매 法이 겨시니 갓 末代 치샤 손바 라 福 求라 샤미 아니시니 眞實로 이 기디 몯면 얼구를 야려 더러운 거슬   내애 므스기 益리오 그럴 藥王이  몸 로려 실 쩨 안 法行으로 根塵을 조히 다리샤 功行이 滿足게 신 後에 神通力으로 브를 라 걔 샤 그 光이 能히 河沙 佛界예 비취시니 後ㅅ 사미 그 쵤 라고져 홀뗸 이 호미 리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2]
수왕화(宿王華)야. 아무나 발심(發心)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는 사람은 능히 손가락을 사르거나, 발 한 가락을 사르거나 하여 부처의 탑을 공양하면, 나라와 성(城)과 처자(妻子)와 삼천대천 국토(國土)의 보배로 공양함보다 나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숙왕화(宿王華):수왕화(宿王華).
주002)
수왕화(宿王華)아:수왕화(宿王華)야. ‘아’는 평칭의 호격조사이다. ‘수왕화’는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다. ‘수왕화보살’은 여러 보살의 하나로 별자리[星宿]의 왕에 의하여 신통력을 발휘하게 된 보살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003)
발심(發心)야:발심(發心)하여. ‘발심’은 불도(佛道)에 들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다.
주004)
득(得)고져:득(得)하고자. 얻고자. ‘득(得)고져’에서 ‘’가 생략된 표기이다.
주005)
:하는. -+ㅭ(관형사형어미).
주006)
사미:사람이. 사[者]+이(주격조사).
주007)
가라:손가락을. 가락[手指]+(목적격조사).
주008)
어나:사르거나. 태우거나. -[燃]+거나/어나(선택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나’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9)
발:발[足].
주010)
 가라:한 가락을. [一]#가락[指]+(목적격조사).
주011)
부텻:부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12)
공양(供養)면:공양(供養)하면. ‘-면’은 ‘--+면(종속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3)
처자(妻子)와:처자(妻子)와. ‘-와’는 (접속조사)이다.
주014)
국토(國土)앳:국토(國土)의. ‘앳’은 부사격과 관형격이 결합된 조사이다.
주015)
보로:보배로. 보[寶貝]+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16)
공양(供養)홈두고:공양(供養)함보다. 공양(供養)하는 것보다. ‘-홈두고’는 ‘--+옴(명사형어미)+두고(비교의 부사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7)
더으리라:더할 것이다. 나을 것이다. 더으-[勝]+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