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
부톄 주001)
부톄:
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로 성조가 바뀌었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佛은 부톄시니라〈월석 1, 석상 서:1ㄱ〉.
宿王華 菩薩 주002)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
여러 보살(菩薩) 중의 하나. 별자리[星宿]의 왕에 의하여 신통력을 발휘하게 된 보살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는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여격조사이다.
니샤 주003)
니샤:
이르시되. 이르시기를. 니르-/니-[說/云/謂/言]+시/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 양보의 연결어미). ¶ 爲야 니거나 제 쓰거나〈월석 17:41ㄱ〉.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주004)
네:
너의. 네[汝]+ㅣ(관형격조사). ‘네’는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평성(平聲)이다.
덴 주005)
덴:
뜻에는. [意]+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엇뎨 주006)
엇뎨:
어찌. 어떻게. 엇뎨[何](부사).
너기다 주007)
너기다:
여기느냐. 생각하느냐. 너기-[念]+(직설법 선어말어미)+ㄴ다(의문형 종결어미). ‘라’체의 2인칭 의문형이다.
一切衆生喜見菩薩다 주008)
다:
다른. 다-[異]+ㄴ(관형사형어미).
사미리여 주009)
사미리여:
사람이겠는가. 사람이겠느냐. 사+이(서술격조사)+리/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가/아/어(판정의문형 종결어미). 해당 원문은 ‘豈異人乎ㅣ리오’이어서 현토된 정음구결 ‘-오’는 설명의문형 종결어미이다.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엇뎨 다 사미리오’이어서 원문의 ‘豈’를 ‘엇뎨’로 언해하고 종결어미도 정음구결과 같은 설명의문 종결어미로 언해하였다. ¶彌勒아 아라라 妙光菩薩 다 사미리여 내 모미 긔오 求名菩薩 그딋 모미 긔라〈석상 13:36ㄴ〉.
이젯 주010)
이젯:
지금의. 이제의. 이제[今]+ㅅ(관형격조사).
藥王菩薩 주011)
약왕보살(藥王菩薩):
범어로는 ‘bhaiṣajya-rāja’라고 한다. 좋은 약(藥)을 베풀어 중생들의 몸과 마음의 병을 구완(救援)하고 치료하는 보살을 이른다. 『법화경』에서 설하는 25보살의 하나이다. 일찍이 일체중생희견보살이었을 때에 양팔을 태워 수행했다고 전한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긔라 주012)
긔라:
그이다. 이 사람이다. 그[是]+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그 몸 주013)
그 몸:
그 몸을. 그[其]#몸[身].
려 주014)
려:
버리어. 버려서. 리-[捨]+어(연결어미). ¶拂은 能히 듣그를 앗고 요 더럽디 아니호 니고 左右는 空假ㅅ 듣그를 러 려 中道애 가샤 表니라(불(拂)은 능히 티끌을 없이하고, 흰 것은 더럽지 아니함을 말하고, 좌우는 공(空)과 가(假)의 티끌을 떨어 버리고 중도에 가심을 나타낸 것이다.)〈법화 2:195ㄴ~197ㄱ〉.
布施호미 주015)
보시(布施)호미:
보시(布施)함이. ‘-호미’는 ‘--+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보시’는 절이나 승려에게 돈이나 물품 등을 베푸는 행위, 또는 그 돈이나 물품을 이른다.
無量 주016)
무량(無量):
헤아릴 수 없이 많거나 그지없음을 이른다.
百千萬億 那由他 數ㅣ라 주017)
수(數)ㅣ라:
수(數)이다. ‘ㅣ라’는 ‘-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44ㄱ

부톄 宿王華菩薩려 니샤 네 데 엇더뇨 一切衆生喜見菩薩이 엇뎨 다 사미리오 이제 藥王菩

월인석보 18:44ㄴ

이 긔라 몸 려 布施호미 이티 無量 百千萬億 那由他 數ㅣ라

三結〔6:159ㄴ〕指今緣
〔법화경〕宿王華菩薩샤 於汝意云何오 一切衆生喜見菩薩은 豈異人乎ㅣ리오 今藥王菩薩이 是也ㅣ라 其所捨身布施ㅣ 如是無量百千萬億那由他數ㅣ니라

〔법화경언해〕○부톄 宿王華菩薩려 니샤 네 데 엇더뇨 一切衆生喜見菩薩은 엇뎨 다 사미리오 오 藥王菩薩이 이라 그 몸 려 布施호미 이티 無量 百千萬億 那由他 數ㅣ라

〔계환해〕此 結答若干難行苦行之問시니라

〔계환해언해〕○이 若〔6:160ㄱ〕干 難行 苦行이라 묻오 結야 對答시니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
부처님께서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께 이르셨다. “너의 뜻에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다른 사람이겠느냐? 이제의 약왕보살(藥王菩薩)이 그이다. 그가 몸을 버려서 보시하는 것이 무량 백천만억 나유타의 수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님이. 부처께서. 부텨[佛]+이/ㅣ/(∅주격조사). 주격조사는 체언말음이 자음일 때 ‘-이’, 체언말음이 모음일 때 ‘-ㅣ’, 체언말음이 ‘-이’나 ‘-ㅣ’ 모음일 때는 조사가 나타나지 않고, ∅(zero) 형태가 되면서 ‘부텨(평성-평성)+ㅣ(거성)’ ⟶ ‘부:톄(평성-상성)’로 성조가 바뀌었다. 이러한 현상은 서술격조사 ‘-이라/-ㅣ라/-∅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佛은 부톄시니라〈월석 1, 석상 서:1ㄱ〉.
주002)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여러 보살(菩薩) 중의 하나. 별자리[星宿]의 왕에 의하여 신통력을 발휘하게 된 보살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는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여격조사이다.
주003)
니샤:이르시되. 이르시기를. 니르-/니-[說/云/謂/言]+시/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 양보의 연결어미). ¶ 爲야 니거나 제 쓰거나〈월석 17:41ㄱ〉.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주004)
네:너의. 네[汝]+ㅣ(관형격조사). ‘네’는 관형격조사가 통합되어 평성(平聲)이다.
주005)
덴:뜻에는. [意]+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06)
엇뎨:어찌. 어떻게. 엇뎨[何](부사).
주007)
너기다:여기느냐. 생각하느냐. 너기-[念]+(직설법 선어말어미)+ㄴ다(의문형 종결어미). ‘라’체의 2인칭 의문형이다.
주008)
다:다른. 다-[異]+ㄴ(관형사형어미).
주009)
사미리여:사람이겠는가. 사람이겠느냐. 사+이(서술격조사)+리/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가/아/어(판정의문형 종결어미). 해당 원문은 ‘豈異人乎ㅣ리오’이어서 현토된 정음구결 ‘-오’는 설명의문형 종결어미이다.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엇뎨 다 사미리오’이어서 원문의 ‘豈’를 ‘엇뎨’로 언해하고 종결어미도 정음구결과 같은 설명의문 종결어미로 언해하였다. ¶彌勒아 아라라 妙光菩薩 다 사미리여 내 모미 긔오 求名菩薩 그딋 모미 긔라〈석상 13:36ㄴ〉.
주010)
이젯:지금의. 이제의. 이제[今]+ㅅ(관형격조사).
주011)
약왕보살(藥王菩薩):범어로는 ‘bhaiṣajya-rāja’라고 한다. 좋은 약(藥)을 베풀어 중생들의 몸과 마음의 병을 구완(救援)하고 치료하는 보살을 이른다. 『법화경』에서 설하는 25보살의 하나이다. 일찍이 일체중생희견보살이었을 때에 양팔을 태워 수행했다고 전한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주012)
긔라:그이다. 이 사람이다. 그[是]+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3)
그 몸:그 몸을. 그[其]#몸[身].
주014)
려:버리어. 버려서. 리-[捨]+어(연결어미). ¶拂은 能히 듣그를 앗고 요 더럽디 아니호 니고 左右는 空假ㅅ 듣그를 러 려 中道애 가샤 表니라(불(拂)은 능히 티끌을 없이하고, 흰 것은 더럽지 아니함을 말하고, 좌우는 공(空)과 가(假)의 티끌을 떨어 버리고 중도에 가심을 나타낸 것이다.)〈법화 2:195ㄴ~197ㄱ〉.
주015)
보시(布施)호미:보시(布施)함이. ‘-호미’는 ‘--+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보시’는 절이나 승려에게 돈이나 물품 등을 베푸는 행위, 또는 그 돈이나 물품을 이른다.
주016)
무량(無量):헤아릴 수 없이 많거나 그지없음을 이른다.
주017)
수(數)ㅣ라:수(數)이다. ‘ㅣ라’는 ‘-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