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8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8]
三昧 주001)
삼매(三眛):
범어로는 ‘samādhi’이다. 들뜨거나 가라앉는 마음을 떠나 평온함을 유지하는 것. 곧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여 산란함이 없는 마음의 상태를 이른다.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는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삼마지(三摩地), 삼마제(三摩提), 정(定)이라고도 한다.
得〔〕

석보상절 20:8ㄴ

주002)
득(得)고:
얻고. 득(得)하고.
매 주003)
매:
마음에. [心]+애(부사격조사).
 주004)
:
가장. 크게. 매우. [大](부사).
깃거 주005)
깃거:
기뻐하여. -[歡喜]+어(연결어미).
너교 주006)
너교:
여기되. 생각하되. 너기-[念]+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07)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격이어서 성조(聲調)가 거성이다.
現一切色身 三昧 得호미 주008)
득(得)호미:
얻음이. 득(得)함이. 득(得)-+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다 이 法華經듣 주009)
듣:
들은.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은(관형사형어미).
히미니 주010)
히미니:
힘이니. 힘[力]+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내 이제 日月淨明德 佛法華經供養리라 주011)
공양(供養)리라:
공양(供養)할 것이다. ‘-리라’는 ‘--+(겸양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리라(의지를 나타내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공양(供養)’은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고 卽時예 이 三昧예 드러 주012)
드러:
들어. 들-[入]+어(연결어미).
虛空 中에 曼陁羅華 주013)
만다라화(曼陁羅華):
부처가 설법(說法)할 때나 여러 부처가 나타날 때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꽃의 이름. 빛깔이 아름답고 묘(妙)하여 보는 이의 마음에 열락(悅樂)을 느끼게 하는 천상(天上)의 꽃이라고 알려져 있다.
摩訶曼陁羅華 주014)
마하만다라화(摩訶曼陁羅華):
부처님을 장엄(莊嚴)한다는 4종 천화(天華)의 하나.

석보상절 20:9ㄱ

細末욘 주015)
세말(細末)욘:
세말(細末)한. ‘-욘’은 ‘--+오/요(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세말(細末)’은 아주 곱게 빻는 일이나 그렇게 빻은 가루를 이른다.
굳고 거믄 주016)
거믄:
검은. 검-[黑]+은(관형사형어미).
栴檀香 주017)
전단향(栴檀香):
인도(印度) 남부의 데칸고원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는 품질이 좋은 향을 이른다.
비니 주018)
비니:
뿌리니. 빟-[散]+니(연결어미).
虛空애 기 주019)
기:
가득히. 기[滿](부사).
구룸 티 주020)
구룸티:
구름같이. 구룸[雲]+티(보조사).
리며 주021)
리며:
내리며. 리-[下]+며(대등적 연결어미).
바 주022)
바:
바다의. 바[海]+ㅅ(관형격조사). ¶楞伽山이 南天竺 바  잇니〈석상 6:43ㄴ〉.
이 녁 주023)
이녁:
이편. 이쪽. 이녁[此](명사).
 주024)
:
가의. 기슭의. [岸]+앳(처소격과 관형격이 결합된 조사).
栴檀香 비니 이 香ㅅ 주025)
향(香)ㅅ:
향(香)의. ‘ㅅ’은 관형격조사. 여기서의 향(香)은 수미산(須彌山) 내해(內海)의 이쪽 기슭, 곧 염부제(閻浮提)의 남단에서 나는 ‘해차안 전단향(海此岸栴檀香)’을 이른다.
銖ㅅ 주026)
수(銖)ㅅ:
수(銖)의. ‘ㅅ’은 관형격조사. 1수(銖)는 무게 1냥(兩)의 24분의 1이다.
갑시 주027)
갑시:
값이. 값[價]+이(주격조사).
娑婆世界 주028)
사바세계(裟婆世界):
‘사바(裟婆)’는 범어(梵語) ‘sabhā’의 음사(音寫)이다.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온갖 괴로움이 많지만, 이 국토에서 벗어나려는 생각이 없으므로, 자연히 참고 견디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부른다. 그런 이유로 사바세계를 달리 감인세계(堪忍世界)라고도 한다.
맛더니 주029)
맛더니:
맞더니. 같더니. 맞-[適]+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一百 기자 주030)
기자:
기장이. ‘기장’은. ‘기자’는 ‘기+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기은 무게의 단위로 1수(銖)의 100분의 1이고, 1냥(兩)의 2,400분의 1에 해당하는 적은 양을 가리킨다. ‘기’은 사용례가 흔하지 않은 어휘이다. 무게의 단위로 1수(銖)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매우 적은 양을 이른다. 1수(銖)는 1냥(兩)의 24분의 1에 해당하므로, 1기장은 1냥(兩)의 2,400분의 1이다. 애초에는 기장쌀[黍] 한 알의 무게를 이르는 말로 쓰였으나, 점점 일반화하여 가벼운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고 있다. 따라서 ‘기’은 매우 가벼운 무게 단위를 나타내는 이른바 도량형(度量衡) 어휘 중 하나이다. 이 어휘를 『고어사전』(교학사)에서는 잡곡 ‘기[黍]’으로 풀었고, 『이조어사전』(연세대 출판부)에서는 ‘기장쌀 한 알의 무게’ 또는 ‘1수(銖)의 10분지 1’이라고 하였으나, 1기장은 ‘1수(銖)의 100분의 1’이므로 잘못이다. 또 『우리말큰사전』(어문각)에서는 ‘①기장[黍]. ②기장 한 알의 너비, 곧 1푼. ③기장 한 알의 무게, 곧 2400냥 분의 1’ 등으로 풀었다. 한자 자전에서는 1서(黍)에 대해 1척(尺)의 100분의 1의 길이, 1홉[合]의 1,200분의 1의 용량(容量), 1수(銖)의 100분의 1의 중량(重量)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기’은 원래 곡식 ‘기[黍]’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변하여 ‘기’처럼 매우 가벼운 무게[量]나, ‘기’ 정도의 길이, 또는 너비를 나타내는 말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처음의 뜻에서 무게 단위나 길이, 또는 너비를 가리키는 말로 바뀐 것이다. ¶ 기장 너븨 分이오 돈 나히 文이라〈영가 상:38ㄴ〉, 열 기장이 絫ㅣ오 열 絫ㅣ 銖ㅣ라〈능엄 3:24ㄱ〉.
주031)
수(銖):
무게 단위로 1냥(兩)의 24분의 1.
ㅣ오 여슷 銖ㅣ  주032)
분(分):
무게 단위로 1분(分)은 6수(銖).
이오 네 分이  兩이라 주033)
양(兩)이라:
냥(兩)이다. 1냥(兩)은 4분(分).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27ㄴ

월인석보 18:28ㄱ

三昧 得고 매  歡喜야 즉재 念호 내 現一切色身三昧 得호니 다 法華經 드론 히미니 내 이제 日月淨明德佛法華經을 供養리라 고 卽時예 이 三昧예 드러 虛

월인석보 18:28ㄴ

空 中에 曼陁羅華摩訶曼陁羅華와 리 末혼 굳고 거믄 旃檀香 비니 虛空 中에 기 구룸티 리며  바 이녁  旃檀香 비니 이 香 六銖ㅣ 갑시 娑婆世界 더니 부텨를 供

월인석보 18:29ㄱ

養고 주034)
『석보상절』에는 “부텨를 供養고[以供養佛와〕”라고 하는 구절이 빠져 있다. 또한 전단향(旃檀香) 6수(六銖)의 값에 대한 설명 방법과 내용 역시 서로 다르다. 곧 『석보상절』이 무게 단위의 단계에 따라 차례로 이어서 하는 설명인데 비해, 『월인석보』 및 『법화경언해』 등에서는 비유로 설명하거나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三昧香이 人間애 가 거시 아닐 六銖ㅅ 갑시 娑婆ㅣ 니라 二十四銖ㅣ  兩이라】

〔6:138ㄱ〕 三苦行尊奉三 一神力供養
〔법화경〕得此三昧已고 心大歡喜야 即作念言호 我ㅣ 得現一切色身三昧호미 皆是得聞法華經力이니 我今에 當供養日月淨明德佛와 及法華經오려코 即時예 入是三昧야 於虛空中에 雨曼陀羅華摩訶曼陀羅華와 細抹堅黑栴檀야 滿虛空中야 如雲而下며 又雨海此〔6:138ㄴ〕岸ㅅ 栴檀之香니 此香六銖ㅣ 價直娑婆世界로 以供養佛와

〔법화경언해〕○이 三昧 得고 매  깃거 즉재 念을 호 내 現一切色身三昧 得호미 다 이 法華經 시러 듣온 히미니 내 이제 반기 日月淨明德佛와  法華經을 供養오려코 卽時예 이 三昧예 드러 虛空 中에 曼陀羅華 摩訶曼陀羅華와 리 온 굳고 거믄 栴檀 비허 虛空 中에 야 구룸티 리며  바 이녁  栴檀〔6:139ㄱ〕香 비흐니 이 香 六銖ㅣ 갑시 娑婆世界 마니로 부텨를 供養와

〔계환해〕此 三昧香이라 非人間比ㄹ 所以六銖ㅣ 價直娑婆也니라 二十四銖ㅣ 爲一兩이니 六銖 言少分耳시니라

〔계환해언해〕○이 三昧香이라 人間애 가빌 껏 아닐 六 銖ㅣ 갑시 娑婆ㅣ 마니라 二十四 銖ㅣ  兩이니 六銖 少分을 니실 미라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8]
일체중생희견보살은〉 이 삼매(三昧)를 얻고 마음에 크게 기뻐하여 생각하였다. ‘내가 현일체색신삼매(現一切色身三昧)를 얻음이 다 이 『법화경』을 들은 힘이니, 내가 이제 일월정명덕불(日月淨明德佛)『법화경』을 공양할 것이다.’ 하고, 즉시에 이 삼매(三昧)에 들어 허공 중에 만다라화마하만다라화와 세말(細末)한 굳고 검은 전단향(栴檀香)을 뿌리니 허공에 가득히 구름같이 나리며, 또 바다 이쪽 가〔海此岸〕의 전단향을 뿌리니, 이 향(香) 6수(銖)의 값이 사바세계와 같았다.【일백 기장이 한 수(銖)이고, 여섯 수가 한 분(分)이고, 네 분이 한 냥(兩)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매(三眛):범어로는 ‘samādhi’이다. 들뜨거나 가라앉는 마음을 떠나 평온함을 유지하는 것. 곧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여 산란함이 없는 마음의 상태를 이른다.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는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삼마지(三摩地), 삼마제(三摩提), 정(定)이라고도 한다.
주002)
득(得)고:얻고. 득(得)하고.
주003)
매:마음에. [心]+애(부사격조사).
주004)
:가장. 크게. 매우. [大](부사).
주005)
깃거:기뻐하여. -[歡喜]+어(연결어미).
주006)
너교:여기되. 생각하되. 너기-[念]+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07)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내’는 주격이어서 성조(聲調)가 거성이다.
주008)
득(得)호미:얻음이. 득(得)함이. 득(得)-+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9)
듣:들은.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은(관형사형어미).
주010)
히미니:힘이니. 힘[力]+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11)
공양(供養)리라:공양(供養)할 것이다. ‘-리라’는 ‘--+(겸양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리라(의지를 나타내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공양(供養)’은 공급(供給)하여 자양(資養)한다는 뜻으로 불·보살(佛菩薩)이나 스승 등에게 음식물을 바치는 일을 이른다.
주012)
드러:들어. 들-[入]+어(연결어미).
주013)
만다라화(曼陁羅華):부처가 설법(說法)할 때나 여러 부처가 나타날 때 하늘에서 내려온다는 꽃의 이름. 빛깔이 아름답고 묘(妙)하여 보는 이의 마음에 열락(悅樂)을 느끼게 하는 천상(天上)의 꽃이라고 알려져 있다.
주014)
마하만다라화(摩訶曼陁羅華):부처님을 장엄(莊嚴)한다는 4종 천화(天華)의 하나.
주015)
세말(細末)욘:세말(細末)한. ‘-욘’은 ‘--+오/요(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세말(細末)’은 아주 곱게 빻는 일이나 그렇게 빻은 가루를 이른다.
주016)
거믄:검은. 검-[黑]+은(관형사형어미).
주017)
전단향(栴檀香):인도(印度) 남부의 데칸고원 지방에서 주로 생산되는 품질이 좋은 향을 이른다.
주018)
비니:뿌리니. 빟-[散]+니(연결어미).
주019)
기:가득히. 기[滿](부사).
주020)
구룸티:구름같이. 구룸[雲]+티(보조사).
주021)
리며:내리며. 리-[下]+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2)
바:바다의. 바[海]+ㅅ(관형격조사). ¶楞伽山이 南天竺 바  잇니〈석상 6:43ㄴ〉.
주023)
이녁:이편. 이쪽. 이녁[此](명사).
주024)
:가의. 기슭의. [岸]+앳(처소격과 관형격이 결합된 조사).
주025)
향(香)ㅅ:향(香)의. ‘ㅅ’은 관형격조사. 여기서의 향(香)은 수미산(須彌山) 내해(內海)의 이쪽 기슭, 곧 염부제(閻浮提)의 남단에서 나는 ‘해차안 전단향(海此岸栴檀香)’을 이른다.
주026)
수(銖)ㅅ:수(銖)의. ‘ㅅ’은 관형격조사. 1수(銖)는 무게 1냥(兩)의 24분의 1이다.
주027)
갑시:값이. 값[價]+이(주격조사).
주028)
사바세계(裟婆世界):‘사바(裟婆)’는 범어(梵語) ‘sabhā’의 음사(音寫)이다. ‘인토(忍土). 감인토(堪忍土), 인계(忍界)’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온갖 괴로움이 많지만, 이 국토에서 벗어나려는 생각이 없으므로, 자연히 참고 견디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부른다. 그런 이유로 사바세계를 달리 감인세계(堪忍世界)라고도 한다.
주029)
맛더니:맞더니. 같더니. 맞-[適]+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0)
기자:기장이. ‘기장’은. ‘기자’는 ‘기+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기은 무게의 단위로 1수(銖)의 100분의 1이고, 1냥(兩)의 2,400분의 1에 해당하는 적은 양을 가리킨다. ‘기’은 사용례가 흔하지 않은 어휘이다. 무게의 단위로 1수(銖)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매우 적은 양을 이른다. 1수(銖)는 1냥(兩)의 24분의 1에 해당하므로, 1기장은 1냥(兩)의 2,400분의 1이다. 애초에는 기장쌀[黍] 한 알의 무게를 이르는 말로 쓰였으나, 점점 일반화하여 가벼운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고 있다. 따라서 ‘기’은 매우 가벼운 무게 단위를 나타내는 이른바 도량형(度量衡) 어휘 중 하나이다. 이 어휘를 『고어사전』(교학사)에서는 잡곡 ‘기[黍]’으로 풀었고, 『이조어사전』(연세대 출판부)에서는 ‘기장쌀 한 알의 무게’ 또는 ‘1수(銖)의 10분지 1’이라고 하였으나, 1기장은 ‘1수(銖)의 100분의 1’이므로 잘못이다. 또 『우리말큰사전』(어문각)에서는 ‘①기장[黍]. ②기장 한 알의 너비, 곧 1푼. ③기장 한 알의 무게, 곧 2400냥 분의 1’ 등으로 풀었다. 한자 자전에서는 1서(黍)에 대해 1척(尺)의 100분의 1의 길이, 1홉[合]의 1,200분의 1의 용량(容量), 1수(銖)의 100분의 1의 중량(重量)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기’은 원래 곡식 ‘기[黍]’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변하여 ‘기’처럼 매우 가벼운 무게[量]나, ‘기’ 정도의 길이, 또는 너비를 나타내는 말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처음의 뜻에서 무게 단위나 길이, 또는 너비를 가리키는 말로 바뀐 것이다. ¶ 기장 너븨 分이오 돈 나히 文이라〈영가 상:38ㄴ〉, 열 기장이 絫ㅣ오 열 絫ㅣ 銖ㅣ라〈능엄 3:24ㄱ〉.
주031)
수(銖):무게 단위로 1냥(兩)의 24분의 1.
주032)
분(分):무게 단위로 1분(分)은 6수(銖).
주033)
양(兩)이라:냥(兩)이다. 1냥(兩)은 4분(分).
주034)
『석보상절』에는 “부텨를 供養고[以供養佛와〕”라고 하는 구절이 빠져 있다. 또한 전단향(旃檀香) 6수(六銖)의 값에 대한 설명 방법과 내용 역시 서로 다르다. 곧 『석보상절』이 무게 단위의 단계에 따라 차례로 이어서 하는 설명인데 비해, 『월인석보』 및 『법화경언해』 등에서는 비유로 설명하거나 보다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