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3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3]
주001)
그:
그. 그[其](지시관형사).
부톄 (八十)億 大菩薩摩訶薩 주002)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키고, ‘보살(菩薩)’은 성불(成佛)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와 七十二恒河沙 주003)
항하사(恒河沙):
항하(恒河,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를 비유하여 이른 말.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大聲聞 주004)
중(衆):
대중(大衆), 범어로 ‘mahāsaṃgha(摩訶僧伽)’라고 한다. 모든 승려, 많은 승려를 이른다.
뒷더시니 주005)
뒷더시니:
두시었더니. 두고 있으시더니. ‘뒷-’은 ‘두-[置]+어(연결어미)#잇/이시-[有]’에서 연결어미 ‘어’가 탈락된 형태이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더시니’는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24ㄴ

부톄 八十億 大菩薩摩訶薩와 七十二 恒河沙 大聲聞衆을 뒷

월인석보 18:25ㄱ

더시니【眷屬 法侶ㅣ 三乘體 시니라 侶는 버디라】

〔법화경〕〔6:134ㄱ〕其佛이 有八十億大菩薩摩訶薩와 七十二恒河沙大聲聞衆더시니

〔법화경언해〕○그 부톄 八十億 大菩薩摩訶薩와 七十二 恒河沙 大聲聞衆을 뒷더시니

〔계환해〕眷屬法侶ㅣ 三乘體具샷다

〔계환해언해〕○眷屬 法侶ㅣ 三乘 體 샷다

[약왕보살의 전신인 일체중생희견보살이 몸과 팔을 태워 법공양을 한 인연 3]
부처께서는 팔십억의 큰 보살마하살과 72항하사 큰 성문 대중을 두고 있으셨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 그[其](지시관형사).
주002)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마하살(摩訶薩)’은 큰 보살, 또는 대성인(大聖人)을 가리키고, ‘보살(菩薩)’은 성불(成佛)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므로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은 보살행(菩薩行)을 닦아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지덕(智德)이 높은 보살의 총칭이다.
주003)
항하사(恒河沙):항하(恒河,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無數), 무량(無量)의 대수를 비유하여 이른 말. 극(極)의 억(億) 곱절이면서 아승기(阿僧衹)의 1억분의 1이다.
주004)
중(衆):대중(大衆), 범어로 ‘mahāsaṃgha(摩訶僧伽)’라고 한다. 모든 승려, 많은 승려를 이른다.
주005)
뒷더시니:두시었더니. 두고 있으시더니. ‘뒷-’은 ‘두-[置]+어(연결어미)#잇/이시-[有]’에서 연결어미 ‘어’가 탈락된 형태이다. 이 형태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엣’이 ‘두-’ 아래에서 ‘-’으로 바뀐 것이다. ‘-더시니’는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