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6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6
  • [운허]3. 원통(圓通)을 얻다
  • [운허]3-5) 관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
  • 3-5-3) 칠대(七大)의 원통○(13-2. 삼십이응신(三十二應身)○2-1-2. 사성-벽지
메뉴닫기 메뉴열기

3-5-3) 칠대(七大)의 원통○(13-2. 삼십이응신(三十二應身)○2-1-2. 사성-벽지


능엄경언해 권6:9ㄱ

二. 辟支
〔경문〕 若諸有學이 寂靜妙明야 勝妙ㅣ 現圓커든 我於彼前에 現獨覺身야 而爲說法야 令其解脫며

〔경문〕 다가 모 有學이 寂靜며 微妙히 겨 주001)
겨:
밝혀.
勝 微妙ㅣ 現야 두렵거든 내 뎌 알 주002)
알:
앞에.
獨覺 모 現야 爲야 說法야 解脫케 며

〔경문〕 만약 모든 유학 주003)
유학:
아직 더 배워야 할 수행자.
이 고요하며 미묘히 밝혀 승한미묘가 나타나 원만하면 내가 저 앞에 독각 주004)
독각:
부처님이 없는 세상에서 현상의 변역을 보고 진리를 깨닫는 사람. 벽지불.
몸을 나타내어 위하여 설법하여 해탈 주005)
해탈:
번뇌에 묶인 것에서 풀려 미혹의 고에서 풀려서 나오는 것. 열반의 뜻으로도 쓰임.
케 하며

〔주해〕 有學 小聲聞也ㅣ라 獨覺 亦曰麟喩ㅣ니 喩麟之獨也ㅣ라 出無佛世야 觀物變易고 自覺無生 故號獨覺이라 樂獨善寂며 求自然慧 故曰寂靜妙明이오 能妙萬物야 以明自性 故曰勝妙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有學 小聲聞이라 獨覺  닐오 麟喩ㅣ니 麟의  를 주006)
를:
뿔을.
가비니라 부텨 업스신 世예 나 物의 變易을 보고 제 無生 알 이런로 일후미 獨覺이라 오 이슈믈 주007)
이슈믈:
있음을. 「이시-+-우-+-ㅁ」.
즐겨 이대 주008)
이대:
좋게.
寂며 自然 慧 求 이런로 니샨 寂靜며 微妙히 교미오 주009)
교미오:
밝힘이고(-+-이-+-오-+-ㅁ 이-+-고.
能히 萬物을 妙야 제 性을 길 이런로 니샤 勝 微妙ㅣ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유학’은 작은 성문 주010)
성문: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사람.
이다. ‘독각’은 또 말하기를 인유 주011)
인유:
인각유독각의 준말. 기린이 외뿔인 것처럼 홀로 닦아 도를 깨닫는 자. 연각불이 홀로 증득하는 것을 기린의 뿔에 비유한 것.
라 하니 기린의 한 뿔을 비유한 것이다. 부처가 없으신 세상에 나서 사물의 변하여 바뀜을 보고 자기의 무생 주012)
무생:
태어남이 없는 것. 따라서 멸함도 없으므로 무생멸이라 한다. 일체의 현상은 그 본질에 있어서 실체가 없고 공했으므로 생하고 멸하는 변화가 없음.
을 알므로 이런 까닭에 이름이 독각이다. 혼자 있음을 즐겨 적을 잘하며 자연한 혜를 구하므로 이런 까닭에 이른바 적정하며 미묘히 밝힘이고 능히 만물을 묘하여 제 성을 밝히므로 이런 까닭에 말씀하시기를 승한 미묘이다.
Ⓒ 역자 | 장세경 / 1997년 10월 23일

주석
주001)
겨:밝혀.
주002)
알:앞에.
주003)
유학:아직 더 배워야 할 수행자.
주004)
독각:부처님이 없는 세상에서 현상의 변역을 보고 진리를 깨닫는 사람. 벽지불.
주005)
해탈:번뇌에 묶인 것에서 풀려 미혹의 고에서 풀려서 나오는 것. 열반의 뜻으로도 쓰임.
주006)
를:뿔을.
주007)
이슈믈:있음을. 「이시-+-우-+-ㅁ」.
주008)
이대:좋게.
주009)
교미오:밝힘이고(-+-이-+-오-+-ㅁ 이-+-고.
주010)
성문: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사람.
주011)
인유:인각유독각의 준말. 기린이 외뿔인 것처럼 홀로 닦아 도를 깨닫는 자. 연각불이 홀로 증득하는 것을 기린의 뿔에 비유한 것.
주012)
무생:태어남이 없는 것. 따라서 멸함도 없으므로 무생멸이라 한다. 일체의 현상은 그 본질에 있어서 실체가 없고 공했으므로 생하고 멸하는 변화가 없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