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5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52


[선우 태자의 보시행 52]
그 惡友ㅣ 손 바래 두드레 주001)
두드레:
차꼬. 수갑.
박고 모 갈 메오 솨줄  자히 善友를 가 보아 善友ㅣ 父母  다 벗겨 리고 나

월인석보 22:66ㄱ

 드러 아나 네 至極受苦야다 安否 묻고 내 寶珠ㅣ 어듸 잇뇨 니 세 번 무러 주002)
무러:
묻+어. 물어야.
해 주003)
해:
ㅎ+애. 땅에.
잇니라 야 善友太子ㅣ 도로 寶珠 어더 父母ㅅ 알 주004)
알:
앒+. 앞에.
러 주005)
러:
꿇어.
香 퓌오고 비러 盟誓야 닐오 이 寶珠ㅣ 如意寶

월인석보 22:66ㄴ

댄 내 父母ㅅ 두 누니 녜 티 시리라 니 즉재 녜 야 父母ㅣ 아 보시고 歡喜 踊躍야 吉慶며 주006)
길경(吉慶)며:
아주 경사스러운 일다우며. ‘길경며’의 ‘며’는 일반적으로 ‘며’나 ‘외며’로 나타난다. ‘되며’ 정도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본 역주의 대상이 되는 월인석보 권22가 간행되던 시절에는 이미 음소 ‘ㅸ’이 소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예가 된다. 길경(吉慶)은 아주 경사스러운 일을 뜻한다.
幸호미 그지업더시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52]
그때 악우가 손발에 수갑을 박고 목에 칼을 메고 쇠줄에 매인 채 선우를 가 보거늘 선우가 부모께 사뢰어 다 벗겨버리고 나아 들어가 안아 “네가 지극수고하였다.” 안부 묻고 “내 보배로운 구슬이 어디 있는가?” 하니 세 번 물어야 저 땅에 있다 하거늘 선우태자가 도로 보배로운 구슬을 얻어 부모의 앞에 가서 꿇어 향 피우고 빌어 맹세하며 이르되 “이 보배로운 구슬이 여의주라면 내 부모의 두 눈이 예전같이 밝으실 것입니다.” 즉시 예전과 같아서 부모가 아들을 보시고 환희 용약하여 경사스러우며 행복함이 그지 없으시었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두드레:차꼬. 수갑.
주002)
무러:묻+어. 물어야.
주003)
해:ㅎ+애. 땅에.
주004)
알:앒+. 앞에.
주005)
러:꿇어.
주006)
길경(吉慶)며:아주 경사스러운 일다우며. ‘길경며’의 ‘며’는 일반적으로 ‘며’나 ‘외며’로 나타난다. ‘되며’ 정도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본 역주의 대상이 되는 월인석보 권22가 간행되던 시절에는 이미 음소 ‘ㅸ’이 소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예가 된다. 길경(吉慶)은 아주 경사스러운 일을 뜻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