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1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1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1]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釋迦牟尼佛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多寶佛 주003)
다보불(多寶佛):
다보불(多寶佛)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샤 妙音菩

석보상절 20:45ㄱ

보고져 다 주004)
보고져 다:
보고자 합니다. 보고자 하나이다.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고져(의도형 연결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다’는 ‘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이다.
그저긔 多寶佛妙音 주005)
다보불(多寶佛)이 묘음(妙音):
다보불(多寶佛)이 묘음(妙音). ‘’는 높임 여격조사이다. ‘묘음(妙音)’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이른다.
니샤 됴타 됴타 주006)
됴타 됴타:
좋다. 좋다. 둏-[善]+다(평서형 종결어미).
네 능히 주007)
네 능(能)히:
네가 능(能)히. ‘:네[汝]’는 주격 통합이어서 상성(上聲)이다.
釋迦牟尼佛 供養며 주008)
공양(供養)며:
공양(供養)하며. ‘-며’는 ‘--+(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法華經 드르며 주009)
드르며:
들으며. 듣-[聞]+으며(연결어미).
文殊師利 주010)
문수사리(文殊師利):
문수사리(文殊師利) 등을.
보 위야 이긔 오도다 주011)
이긔 오도다:
여기 왔구나. 이긔[此](근칭 지시대명사)#오-[來]+도(감동법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1ㄱ

그 釋迦牟尼佛多寶佛 샤 이 妙音菩薩이 보고져 다 그 多寶佛

월인석보 18:81ㄴ

妙音려 니샤 됴타 됴타 네 能히 釋迦牟尼佛을 供養며  法華經 드르며  文殊師利 等 보 爲야 이 오도다

〔법화경〕

법화경 7:22ㄴ

爾時釋迦牟尼佛이 語多寶佛샤 是妙音

법화경 7:23ㄱ

菩薩
이 欲得相見다 時多寶佛이 告妙音言샤 善哉善哉라 汝ㅣ 能爲供養釋迦牟尼佛오며 及聽法華經며 并見文殊師利等야 故來至此도다

〔법화경언해〕○그 釋迦牟尼佛多寶佛 오샤 이 妙音菩薩이 보고져 다 그 多寶佛妙音菩薩 니샤 됴타 됴타 네 能히 釋迦牟尼佛을 供養오며  法華經 듣오며 文殊師利 等 조쳐 봄 爲야 와 이 니르도다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21]
그때에 석가모니불다보불께 사뢰셨다. “이 묘음보살이 보고자 하나이다.” 그때에 다보불묘음께 이르셨다. “좋다. 좋다. 네가 능히 석가모니불을 공양하며, 『법화경』을 들으며, 문수사리 등을 보기 위하여 여기 왔구나.”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爾]#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적[時]’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주003)
다보불(多寶佛):다보불(多寶佛)께. ‘’는 높임의 여격조사이다.
주004)
보고져 다:보고자 합니다. 보고자 하나이다. 보-[見]+(겸양법 선어말어미)+고져(의도형 연결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다’는 ‘쇼셔’체의 평서형 종결어미이다.
주005)
다보불(多寶佛)이 묘음(妙音):다보불(多寶佛)이 묘음(妙音). ‘’는 높임 여격조사이다. ‘묘음(妙音)’은 ‘묘음보살(妙音菩薩)’을 이른다.
주006)
됴타 됴타:좋다. 좋다. 둏-[善]+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07)
네 능(能)히:네가 능(能)히. ‘:네[汝]’는 주격 통합이어서 상성(上聲)이다.
주008)
공양(供養)며:공양(供養)하며. ‘-며’는 ‘--+(겸양법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9)
드르며:들으며. 듣-[聞]+으며(연결어미).
주010)
문수사리(文殊師利):문수사리(文殊師利) 등을.
주011)
이긔 오도다:여기 왔구나. 이긔[此](근칭 지시대명사)#오-[來]+도(감동법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