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9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9]
久滅度 주001)
구멸도(久滅度):
오래 전에 멸도(滅度)하신.
多寶如來 주002)
다보여래(多寶如來):
다보여래(多寶如來)가. ‘다보여래(多寶如來)’의 끝음절인 ‘來’ 다음에서 ‘주격 ∅’이 실현되었다. ‘다보여래’는 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하여 멸도한 뒤 시방세계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七寶塔中에 겨샤 와 주003)
겨샤 와:
계시다 와서. 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오-[來]+아(연결어미).
주004)
법(法):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다르게는 자신의 독특한 성품이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을 이르기도 한다. 여기서는 주로 부처님의 교법(敎法)을 이른다.
드르시니가 주005)
드르시니가:
들으시는 것입니까. 들으십니까. 듣-[聞]+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니잇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 어미이다.
多寶如來 問訊샤 便安히 측 일 주006)
측 일:
섭섭한 일이. 원망(怨望)스러운 일이. 측은(惻隱)한 일이. 측-[恨]+ㄴ(관형사형어미)#일[事].
업스시며 마 오래 겨시니가 주007)
마 오래 겨시니가:
참고 오래 계신 것입니까. -[堪忍]+아(연결어미)#오래[久](부사)#겨-[住]+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니잇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 어미이다.
더시다 주008)
더시다:
하셨습니다.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80ㄱ

久滅度 多寶如來 七寶塔 中에 겨샤와 法 드르시니가  多

월인석보 18:80ㄴ

如來 問訊샤 安隱 少惱샤 堪忍에 오래 住야 겨시니가【우흔 다 宿王 옮겨 묻시 마리라】

〔법화경〕

법화경 7:21ㄱ

久滅度多寶如來 在七寶塔中샤 來聽法시니가 不ㅣ가 又問訊多寶如來오샤 安

법화경 7:21ㄴ

隱少惱샤 堪忍久住시니가 不ㅣ가

〔법화경언해〕○久滅度多寶如來 七寶塔 中에 겨샤와 法 드르시니가 아니가  多寶如來 묻오샤 便安히 惱 져그샤 어루 마 오래 住시니가 아니가

〔계환해〕

법화경 7:22ㄱ

上은 皆宿王ㅅ 傳問之辭ㅣ시니라

〔계환해언해〕○우흔 다 宿王ㅅ 옮겨 묻오시논 마리시니라

[묘음보살이 석존과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9]
이미 멸도하신 다보여래께서 칠보탑 중에 계시다가 와서 법을 들으시는 것입니까?’ 또 다보여래께 문신(問訊)하시되, ‘편안히 섭섭한 일 없으시며, 참고 오래 계신 것입니까?’ 하셨습니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구멸도(久滅度):오래 전에 멸도(滅度)하신.
주002)
다보여래(多寶如來):다보여래(多寶如來)가. ‘다보여래(多寶如來)’의 끝음절인 ‘來’ 다음에서 ‘주격 ∅’이 실현되었다. ‘다보여래’는 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하여 멸도한 뒤 시방세계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주003)
겨샤 와:계시다 와서. 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오-[來]+아(연결어미).
주004)
법(法):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다르게는 자신의 독특한 성품이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을 이르기도 한다. 여기서는 주로 부처님의 교법(敎法)을 이른다.
주005)
드르시니가:들으시는 것입니까. 들으십니까. 듣-[聞]+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니잇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 어미이다.
주006)
측 일:섭섭한 일이. 원망(怨望)스러운 일이. 측은(惻隱)한 일이. 측-[恨]+ㄴ(관형사형어미)#일[事].
주007)
마 오래 겨시니가:참고 오래 계신 것입니까. -[堪忍]+아(연결어미)#오래[久](부사)#겨-[住]+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원칙법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니잇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 어미이다.
주008)
더시다:하셨습니다. -+더(회상법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청자높임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