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4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4]
多寶如來 주001)
다보여래(多寶如來):
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成佛)하여 멸도(滅度)한 뒤 시방세계(十方世界)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誓願)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寶塔 中에 주002)
보탑(寶塔) 중(中)에:
보탑(寶塔)의 가운데. 여기서 ‘보탑(寶塔)’은 ‘다보불탑(多寶佛塔)’을 이르는 것이다. ‘다보불탑(多寶佛塔)’은 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八角形)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겨샤 주003)
겨샤:
계시어. 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宿王華菩薩讚嘆야 주004)
찬탄(讚嘆)야:
찬탄(讚嘆)하여. ‘찬탄(讚嘆)’은 깊이 감동하여 말로써 덕(德)을 찬양하는 것이다.
니샤 주005)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됴타 됴타 宿王華 주006)
수왕화(宿王華)아:
수왕화(宿王華)야. ‘아’는 호격조사이다. ‘수왕화(宿王華)’는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다.
不可思議 주007)
불가사의(不可思議):
말로 나타낼 수 없고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오묘(奧妙)한 이치나 가르침을 이른다. 인도인(印度人)의 수개념 중 가장 많은 수를 말하기도 한다. 또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고,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이(理)와 사(事)를 이르기도 한다.
功德을 주008)
공덕(功德)을:
공덕(功德)을. ‘을’은 목적격조사이다.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한 덕(德)을 이른다.
일워 주009)
일워:
이루어. 일우-[成就]+어(연결어미).
能히 釋迦牟尼

석보상절 20:32ㄴ

주010)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께. ‘’는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여격조사이다.
이런 주011)
이런:
이런. 이러한. 이런[此](관형사).
이 묻 주012)
묻:
묻자와. 여쭈어.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無量 一切 衆生 利益긔 주013)
이익(利益)긔:
이익(利益)이 되게. ‘이익(利益)긔’는 ‘이익(利益)긔’에서 ‘’가 생략된 표기이다. ‘-긔’는 보조적 연결어미이다.
다 주014)
다:
한다. 하는 것이다. -+(직설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잇 자 주015)
잇 자:
이까지는. 여기까지는. 이(지시대명사)+ㅅ(관형격조사)#(명사)+(주제 보조사).
藥王菩薩本事品이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61ㄴ

多寶如來寶塔 中에 宿王華菩薩 讚歎야 니샤 됴타 됴타 宿王華

월인석보 18:62ㄱ

네 不可思議 功德을 일워 能히 釋迦牟尼佛 이  이 묻 無量 一切 衆生 利益다【드러 디녀 自在德을 아래 일우니옷 아니면 能히 이 利 니왇디 몯리라 잇 藥王菩薩本事品 고 아래 妙音菩薩品이라 …】

〔6:184ㄱ〕 十二多寶結讚
〔법화경〕多寶如來ㅣ 於寶塔中에 讚宿王華菩薩言샤 善哉善哉라 宿王華야 汝ㅣ 成就不可思議功德야 乃能問釋迦牟尼佛 如此之〔6:184ㄴ〕事와 利益無量一切衆生다

〔법화경언해〕○多寶如來ㅣ 寶塔 中에 宿王華菩薩을 기려 니샤 善哉 善哉라 宿王華야 네 不可思議 功德을 일워 能히 釋迦牟尼佛 이  이 묻와 無量 一切 衆生 利益다

〔계환해〕非宿曾成就聞持自在之德이시면 不能發起是利시리라

〔계환해언해〕○듣와 디녀 自在신 德을 아 일우시니 아니시면 能히 이 利 니왇디 몯시리라
妙法蓮華經 卷第六
〔6:184ㄴ〕音釋
〔6:185ㄴ〕藥王菩薩本事品
宿王
秀夙二音
殊音
居延切
𧂐
子智切
便語
去聲
郞果切
〔6:186ㄴ〕藥王品
宿王
夙秀二音
當侯
直連
烏浩
𧂐
子智切子賜切
郞果
■遙
亭力
〔6:187ㄴ〕藥王品
宿王
音秀
音殊
居延切
𧂐
子智切
郞果切

[석존이 수왕화보살에게 약왕보살본사품을 호지할 것을 부촉함 4]
다보여래(多寶如來)께서 보탑(寶塔) 중에 계시면서 수왕화보살을 찬탄하여 이르셨다. “좋다. 좋다. 수왕화야 네가 불가사의한 공덕을 이루어 능히 석가모니불께 이런 일을 여쭈어 무량한 일체 중생에게 이익이 되게 한 것이다.”【여기까지는 약왕보살 본사품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보여래(多寶如來):범어로 ‘prabhūtaratna’라고 한다. 동방(東方) 보정세계(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보살로 있을 때 자기가 성불(成佛)하여 멸도(滅度)한 뒤 시방세계(十方世界)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하는 곳에는 자기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할 것이라고 서원(誓願)한 부처님이라고 한다.
주002)
보탑(寶塔) 중(中)에:보탑(寶塔)의 가운데. 여기서 ‘보탑(寶塔)’은 ‘다보불탑(多寶佛塔)’을 이르는 것이다. ‘다보불탑(多寶佛塔)’은 동방(東方)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八角形)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주003)
겨샤:계시어. 겨-[在]+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4)
찬탄(讚嘆)야:찬탄(讚嘆)하여. ‘찬탄(讚嘆)’은 깊이 감동하여 말로써 덕(德)을 찬양하는 것이다.
주005)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주006)
수왕화(宿王華)아:수왕화(宿王華)야. ‘아’는 호격조사이다. ‘수왕화(宿王華)’는 ‘수왕화보살(宿王華菩薩)’을 줄여서 부른 이름이다.
주007)
불가사의(不可思議):말로 나타낼 수 없고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오묘(奧妙)한 이치나 가르침을 이른다. 인도인(印度人)의 수개념 중 가장 많은 수를 말하기도 한다. 또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고,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이(理)와 사(事)를 이르기도 한다.
주008)
공덕(功德)을:공덕(功德)을. ‘을’은 목적격조사이다. ‘공덕(功德)’은 좋은 일을 쌓은 공(功)과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한 덕(德)을 이른다.
주009)
일워:이루어. 일우-[成就]+어(연결어미).
주010)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께. ‘’는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여격조사이다.
주011)
이런:이런. 이러한. 이런[此](관형사).
주012)
묻:묻자와. 여쭈어.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3)
이익(利益)긔:이익(利益)이 되게. ‘이익(利益)긔’는 ‘이익(利益)긔’에서 ‘’가 생략된 표기이다. ‘-긔’는 보조적 연결어미이다.
주014)
다:한다. 하는 것이다. -+(직설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15)
잇 자:이까지는. 여기까지는. 이(지시대명사)+ㅅ(관형격조사)#(명사)+(주제 보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