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9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9]
아모 주001)
아모:
아무. 아모[某](관형사).
사미나 주002)
사미나:
사람이나. 사[人]+이나(선택 보조사).
藥王菩薩本事品을 듣고 能히 隨喜야 주003)
수희(隨喜)야:
수희(隨喜)하여. ‘수희(隨喜)’는 5회(悔)의 하나이다. 남이 행하는 선(善)을 보고, 기쁜 마음을 일으켜서 마치 자기의 좋은 일과 같이 생각하는 것을 이른다.
讚歎면 주004)
찬탄(讚歎)면:
찬탄(讚歎)하면. ‘찬탄(讚歎)’은 깊이 감동하여 찬양하는 일을 이른다.
이 사미 주005)
이 사미:
이 사람이. 이[是](지시관형사)#사[人]+이(주격조사).
現 주006)
현(現):
현(現)한. 현재 살고 있는. 현(現)-+ㄴ(관형사형어미).
뉘예 주007)
뉘예:
세상에. 뉘[世]+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현(現) 뉘예’는 ‘현세(現世)’를 이르는 말이다.
이베셔 주008)
이베셔:
입에서. 입[口]+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녜 주009)
녜:
늘. 항상. 언제나.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자음 동화가 반영된 표기인 ‘녜’로 나타난다. 일찍이 우리말화하여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靑蓮華 주010)
청련화(靑蓮華):
청련화(靑蓮華)의. ‘청련화(靑蓮華)’는 푸른색 연꽃을 이른다.
香내 주011)
향(香)내:
향(香)내가. 향기(香氣)가. 향(香) 냄새가. 향(香)#내[臭]+∅(주격조사).
나며 주012)
나며:
나며. 나-[出]+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3)
몸:
몸의. 몸[身].
터럭 주014)
터럭:
터럭. 털. 터럭[毛].
굼긔셔 주015)
굼긔셔:
구멍에서. 굼긔[孔]+셔(출발점 부사격조사).
녜 牛頭栴檀香 주016)
우두전단향(牛頭栴檀香):
범어로는 ‘gośirṣacandana’라고 한다. 인도의 우두산(牛頭山)에서 나는 질 좋은 향나무의 이름이다. 향기(香氣)가 진하고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아서 불상(佛像) 제작 등 불구(佛具)로 많이 사용해 왔다.
주017)
내:
냄새가. 향기(香氣)가. 내[香氣]+∅(주격조사).
나며 得혼 주018)
득(得)혼:
얻은. 득(得)한. 득(得)-+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석보상절 20:30ㄱ

德이 우희 주019)
우희:
위에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니 주020)
니:
이르듯. 말하듯. 니-[說]+(연결어미).
리라 주021)
리라:
하리라. 할 것이다.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우흔 주022)
우흔:
위는. 우ㅎ[上]+은(보조사).
隨喜品이라 주023)
수희품(隨喜品)이라:
수희품(隨喜品)이다. ‘수희품(隨喜品)’은 5품위(品位)의 하나이다. 『법화경(法華經)』에서 말한 3체(諦)의 이치를 듣고 따라서 기뻐하며, 이 묘리(妙理)를 알아 지혜를 얻고 스스로 기뻐하거나 자비로써 남을 기쁘게 함을 이른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57ㄴ

아모 사미나 이 藥王菩薩

월인석보 18:58ㄱ

本事品
듣고 能히 隨喜야 讚善면 이 사미 現世예 이베셔 녜 靑蓮華香이 나고 터럭 구무마다 녜 牛頭旃檀香이 나 得혼 功德이 우희 니르 리라【 번 經ㅅ 일훔 일면 蓮華ㅣ 이베 나고  번 能히 隨喜면 法香이 모매 이쇼

월인석보 18:58ㄴ

 善  업디 아니야 功 이루미 절로 나니라 우 다 샤 隨喜品을 니시니라】

〔6:179ㄱ〕 五隨喜益
〔법화경〕若有人이 聞是藥王菩薩本事品고 能隨喜〔6:179ㄴ〕讚善者 是人이 現世예 口中에 常出青蓮華香고 身毛孔中에 常出牛頭栴檀之香고 所得功德은 如上所說리라

〔법화경언해〕○다가 사미 이 藥王菩薩本事品 듣고 能히 隨喜야 讚善닌 이 사미 現世예 口中에 녜 靑蓮華香이 나고 몸 터럭 굼긔 녜 〔6:180ㄱ〕牛頭栴檀香이 나고 得혼 功德은 우희 니 리라

〔계환해〕一稱經名시면 則蓮華ㅣ 出口시고 一能隨喜시면 則法香이 在身샤 善種이 不亡샤 功成이 自著ㅣ샷다 如上者 指隨喜品시니라

〔계환해언해〕○ 번 經ㅅ 일훔 일시면 蓮華ㅣ 이베셔 나시고  번 能히 隨喜시면 法香이 모매 겨샤 善種이 업디 아니샤 功 이루미 절로 나샷다 우 호 隨喜品을 치시니라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수지하여 얻는 공덕 9]
아무 사람이나 이 약왕보살본사품을 듣고 능희 수희(隨喜)하여 찬탄하면, 이 사람이 살고 있는〔現〕 세상에는 입에서 언제나 청련화(靑蓮華)의 향내가 나며, 몸의 털구멍에서 언제나 우두전단향(牛頭栴檀香)의 향내가 나며, 얻은 공덕이 위에서 이르듯 할 것이다.【위는 수희품(隨喜品)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모:아무. 아모[某](관형사).
주002)
사미나:사람이나. 사[人]+이나(선택 보조사).
주003)
수희(隨喜)야:수희(隨喜)하여. ‘수희(隨喜)’는 5회(悔)의 하나이다. 남이 행하는 선(善)을 보고, 기쁜 마음을 일으켜서 마치 자기의 좋은 일과 같이 생각하는 것을 이른다.
주004)
찬탄(讚歎)면:찬탄(讚歎)하면. ‘찬탄(讚歎)’은 깊이 감동하여 찬양하는 일을 이른다.
주005)
이 사미:이 사람이. 이[是](지시관형사)#사[人]+이(주격조사).
주006)
현(現):현(現)한. 현재 살고 있는. 현(現)-+ㄴ(관형사형어미).
주007)
뉘예:세상에. 뉘[世]+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현(現) 뉘예’는 ‘현세(現世)’를 이르는 말이다.
주008)
이베셔:입에서. 입[口]+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주009)
녜:늘. 항상. 언제나. 한자어 ‘상례(常例)’에서 온 말인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자음 동화가 반영된 표기인 ‘녜’로 나타난다. 일찍이 우리말화하여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주010)
청련화(靑蓮華):청련화(靑蓮華)의. ‘청련화(靑蓮華)’는 푸른색 연꽃을 이른다.
주011)
향(香)내:향(香)내가. 향기(香氣)가. 향(香) 냄새가. 향(香)#내[臭]+∅(주격조사).
주012)
나며:나며. 나-[出]+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3)
몸:몸의. 몸[身].
주014)
터럭:터럭. 털. 터럭[毛].
주015)
굼긔셔:구멍에서. 굼긔[孔]+셔(출발점 부사격조사).
주016)
우두전단향(牛頭栴檀香):범어로는 ‘gośirṣacandana’라고 한다. 인도의 우두산(牛頭山)에서 나는 질 좋은 향나무의 이름이다. 향기(香氣)가 진하고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아서 불상(佛像) 제작 등 불구(佛具)로 많이 사용해 왔다.
주017)
내:냄새가. 향기(香氣)가. 내[香氣]+∅(주격조사).
주018)
득(得)혼:얻은. 득(得)한. 득(得)-+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19)
우희:위에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0)
니:이르듯. 말하듯. 니-[說]+(연결어미).
주021)
리라:하리라. 할 것이다.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2)
우흔:위는. 우ㅎ[上]+은(보조사).
주023)
수희품(隨喜品)이라:수희품(隨喜品)이다. ‘수희품(隨喜品)’은 5품위(品位)의 하나이다. 『법화경(法華經)』에서 말한 3체(諦)의 이치를 듣고 따라서 기뻐하며, 이 묘리(妙理)를 알아 지혜를 얻고 스스로 기뻐하거나 자비로써 남을 기쁘게 함을 이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