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5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5]
淸凉 주001)
청량(淸凉):
청량(淸凉)한. ‘청량’은 ‘맑고 서늘함’이라는 뜻이다.
모시 주002)
모시:
못이. 못[池]+이(주격조사).
一切 목 주003)
목:
목마른. 목-[渴乏]+ㄴ(관형사형어미). ‘목-’는 ‘목[咽喉]+-[渴]’의 합성어이다.
사 데 주004)
데:
뜻에. [情]+에(부사격조사).
能히 게 주005)
게:
차게. -[滿]+게(보조적 연결어미).
호미 주006)
호미:
함과. 하는 것과. -+옴(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며 주007)
며:
같으며. -[如]+며(대등적 연결어미).
치 주008)
치:
추운. -[寒]+은(관형사형어미).
사미 블 어둠 주009)
어둠:
얻음과. 얻-[得]+움(명사형어미).
며 주010)
옷:
옷을. 옷[衣].
바 주011)
바:
벗은. 밧-[裸]+(관형사형어미).
사미 옷 어둠 며 商人이 주012)
상인(商人)이:
상인(商人)이. 장사하는 사람이. ‘이’는 주격조사.
主人 주013)
주인(主人):
주인(主人)을.
어둠 며 子息이 주014)
자식(子息)이:
자식(子息)이. ‘이’는 주격조사.
어미 주015)
어미:
어머니를. 어미를. 어미[母].
어둠 며 주016)
믈:
물을. 믈[水].
걷나매 주017)
걷나매:
건넘에. 건너는데. 걷나-[渡]+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018)
:
배를. [舟].
어둠 며 病니 주019)
병(病)니:
아픈 이가. 병(病)든 이가. 병(病)-+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醫員 어둠 

석보상절 20:25ㄱ

어드 주020)
어드:
어두운. 어-[暗]+은(관형사형어미).
주021)
:
데서. 곳에서. [所].
燈 어둠 며 艱難니 주022)
간난(艱難)니:
가난한 이가. 간난(艱難)-+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간난’은 동음인 〔ㄴ〕 생략에 의해 ‘가난’으로 바뀌었다.
보 주023)
보(寶貝):
보배를. ‘보(寶貝)’는 금은(金銀), 주옥(珠玉) 등의 귀중한 물건을 이른다.
어둠 며 百姓이 王 어둠 며 賈客이 주024)
고객(賈客)이:
고객(賈客)이. 장사꾼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바 주025)
바:
바다를. 바[海]. 당시에 ‘바다[海]’를 가리키는 단어로 ‘바다ㅎ’와 함께 쓰였다. ¶楞伽山이 南天竺 바  잇니〈석상 6:43ㄴ〉.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석 1:23〉.
어둠 며 商 주026)
상(商):
상(商)은. ‘’은 보조사.
두루 녀 주027)
녀:
다니어. 니-[行]+어(연결어미).
 씨오 주028)
 씨오:
흥정하는 것이고. -[賣買]+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賈 주029)
고(賈):
고(賈)는. ‘’은 보조사.
안자셔 주030)
안자셔:
앉아서. 앉-[留]+아셔(연결어미).
 씨라 주031)
 씨라:
흥정하는 것이다. 매매(賣買)하는 것이다. -[賣買]+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客 주032)
객(客):
객(客)은. 손님은. ‘’은 보조사이다.
소니라 주033)
소니라:
손[客]이다. 손님이다. 손[客]+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홰 주034)
홰:
횃불이. 홰[炬]+/의(관형격조사). 명사절이어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주어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어드믈 주035)
어드믈:
어두움을.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더루미 주036)
더루미:
더는 것과. 걷어냄과. 덜-[除]+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니 주037)
니:
같으니. -[如]+니(연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51ㄱ

淸涼 모시 야 能히 一切 渴게 게 며 치 사미 블 얻 며 바 사미 옷 얻 며 바지 主人 얻 며 子息이

월인석보 18:51ㄴ

어미 얻 며 믈 걷 제  얻 며 病니 醫員 얻 며 어드  燈 얻 며 艱難니 보 얻 며 百姓이 王 얻 며 賈客이 바 얻 며 홰 어드 더 야

〔6:170ㄱ〕 二喻明
〔법화경〕如清涼池의 能滿一切諸渴乏者며 如寒者ㅣ 得火며 如裸者ㅣ 得衣며 如商人이 得主며 如子ㅣ 得母며 如渡애 得船며 如病애 得醫며 如暗애 得燈며 如貧이 得寶며 如民이 〔6:170ㄴ〕得王며 如賈客이 得海며 如炬의 除暗야

〔법화경언해〕○淸凉 모 能히 一切 渴 사 게 홈 며 치우니 블 어둠 며 옷 바니 옷 어둠 며 리 主人 어둠 며 아리 어미 어둠 며 믈 걷나리  어둠 며 病니 醫員 어둠 며 어드우니 燈 어둠 며 艱難니 보 어둠 며 百姓이 王 어둠 며 리 바 어둠 며 홰의 어드움 더룸 야

〔계환해〕燈은 能發明고 未能除暗니라

〔계환해언해〕○燈은 能히 〔6:171ㄱ〕고 發코 能히 어드우믈 더디 몯니라

[법화경을 수지하여 얻는 복덕이 희견보살의 법공양보다 크다는 석존의 설법 15]
청량(淸凉)한 못이 일체 목마른 사람의 뜻에 능히 차게 함과 같으며, 추운 사람이 불을 얻음과 같으며, 옷을 벗은 사람이 옷을 얻음과 같으며, 상인(商人)이 주인을 얻음과 같으며, 자식이 어머니를 얻음과 같으며, 물을 건넘에 배를 얻음과 같으며, 병으로 아픈 이가 의원(醫員)을 얻음과 같으며, 어두운 데서 등을 얻음과 같으며, 가난한 이가 보배를 얻음과 같으며, 백성이 왕을 얻음과 같으며, 고객(賈客)이 바다를 얻음과 같으며,【상(商)은 두루 다니어 흥정하는 것이고, 고(賈)는 앉아서 흥정하는 것이다. 객(客)은 손님이다.】 횃불이 어두움을 걷어냄과 같은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청량(淸凉):청량(淸凉)한. ‘청량’은 ‘맑고 서늘함’이라는 뜻이다.
주002)
모시:못이. 못[池]+이(주격조사).
주003)
목:목마른. 목-[渴乏]+ㄴ(관형사형어미). ‘목-’는 ‘목[咽喉]+-[渴]’의 합성어이다.
주004)
데:뜻에. [情]+에(부사격조사).
주005)
게:차게. -[滿]+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06)
호미:함과. 하는 것과. -+옴(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주007)
며:같으며. -[如]+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8)
치:추운. -[寒]+은(관형사형어미).
주009)
어둠:얻음과. 얻-[得]+움(명사형어미).
주010)
옷:옷을. 옷[衣].
주011)
바:벗은. 밧-[裸]+(관형사형어미).
주012)
상인(商人)이:상인(商人)이. 장사하는 사람이. ‘이’는 주격조사.
주013)
주인(主人):주인(主人)을.
주014)
자식(子息)이:자식(子息)이. ‘이’는 주격조사.
주015)
어미:어머니를. 어미를. 어미[母].
주016)
믈:물을. 믈[水].
주017)
걷나매:건넘에. 건너는데. 걷나-[渡]+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018)
:배를. [舟].
주019)
병(病)니:아픈 이가. 병(病)든 이가. 병(病)-+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20)
어드:어두운. 어-[暗]+은(관형사형어미).
주021)
:데서. 곳에서. [所].
주022)
간난(艱難)니:가난한 이가. 간난(艱難)-+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간난’은 동음인 〔ㄴ〕 생략에 의해 ‘가난’으로 바뀌었다.
주023)
보(寶貝):보배를. ‘보(寶貝)’는 금은(金銀), 주옥(珠玉) 등의 귀중한 물건을 이른다.
주024)
고객(賈客)이:고객(賈客)이. 장사꾼이. ‘이’는 주격조사이다.
주025)
바:바다를. 바[海]. 당시에 ‘바다[海]’를 가리키는 단어로 ‘바다ㅎ’와 함께 쓰였다. ¶楞伽山이 南天竺 바  잇니〈석상 6:43ㄴ〉.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석 1:23〉.
주026)
상(商):상(商)은. ‘’은 보조사.
주027)
녀:다니어. 니-[行]+어(연결어미).
주028)
 씨오:흥정하는 것이고. -[賣買]+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29)
고(賈):고(賈)는. ‘’은 보조사.
주030)
안자셔:앉아서. 앉-[留]+아셔(연결어미).
주031)
 씨라:흥정하는 것이다. 매매(賣買)하는 것이다. -[賣買]+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2)
객(客):객(客)은. 손님은. ‘’은 보조사이다.
주033)
소니라:손[客]이다. 손님이다. 손[客]+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4)
홰:횃불이. 홰[炬]+/의(관형격조사). 명사절이어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가 왔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주어에 관형격조사가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035)
어드믈:어두움을.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036)
더루미:더는 것과. 걷어냄과. 덜-[除]+옴/움(명사형어미)+이(비교 부사격조사).
주037)
니:같으니. -[如]+니(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