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1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1]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지시 관형사)#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釋迦牟尼佛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十方애셔 주003)
시방(十方)애셔:
시방(十方)에서. ‘애셔’는 출발점 부사격 조사. ‘시방(十方)’은 동, 서, 남, 북의 사방(四方)과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사우(四隅), 그리고 상·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시방세계(十方世界)는 시방에 있는 무수한 세계를 이른다.
오신 分身 주004)
분신(分身):
부처님이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세상에 나타나는 일이나 모습.
諸佛 주005)
제불(諸佛):
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을 各各 本土애 주006)
본토(本土)애:
본토(本土)에. ‘애’는 지향점 처소부사격조사. ‘본토’는 본디 살던 고장을 이른다.
도라 가시게 주007)
도라가시게:
돌아가시게. 돌아가-[還]+시(선어말어미)+게(연결어미). ‘돌아가-’는 ‘돌-[還]+아#가-[行]’에서 온 합성어이다.
야 주008)
야:
하여. -+아/어/야(연결어미).
니샤 주009)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諸佛〔은〕 各各 便安〔호〕〔〕 주010)
편안(便安)호:
편안(便安)함을. ‘-호’은 ‘--+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조〕〔〕〔시〕〔며〕 주011)
조시며:
좇으시며. 따르시며. 좇-[隨]+시(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석보상절 20:4ㄴ

多寶佛塔 주012)
다보불탑(多寶佛塔):
동방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도〕 〔도〕〔로〕 주013)
도로:
도로. 다시. 도로[回/還](부사).
〔녜〕 주014)
녜:
예. 옛날. 녜[故].
〔〕야 주015)
야:
같아서. -[如]+아/어/야(연결어미).
겨쇼셔 주016)
겨쇼셔:
있으십시오. 있게 하십시오. 겨-[有]+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19ㄴ

그 釋迦牟尼佛이 十方로셔 오신 分身佛 各各 本土애 도라가쇼셔 야 니샤 諸佛이 各各 便安호 조시며 多寶佛塔도 도로 녜 쇼

월인석보 18:20ㄱ

【分身이 各各 도라가시게 샤 法이 傳호 得 化身이 수므샤 뵈시니라 寶塔 留샤 녜 게 샤 後ㅅ 마리 周티 몯  모로매 圓證케 시니라】

〔6:125ㄴ〕 五遣化留塔
〔법화경〕〔6:126ㄱ〕爾時釋迦牟尼佛이 令十方來신 諸分身佛을 各還本土시게샤 而作是言샤 諸佛이 各隨所安고 多寶佛塔은 還可如故쇼셔

〔법화경언해〕○그 釋迦牟尼佛이 十方애셔 오신 諸分身佛을 各各 本土애 도라가시게 샤 이 마 샤 諸佛이 各各 便安호 좃고 多寶佛塔은 도로 녜 쇼셔

〔계환해〕〔6:126ㄴ〕令分身各還者 示法得其傳시면 化身이 遂隱시고 留寶塔如故者 以後說이 未周실 尚須圓證이시니라

〔계환해언해〕○分身이 各各 도라가시게 샤 法이 傳샤 得시면 化身이 수므샤 뵈시고 寶塔 留샤 녜 샤 後ㅅ 마리 周티 몯실  圓證을 求샤미라

[석존이 분신제불과 다보불을 돌려 보냄 1]
그때에 석가모니불이 시방(十方)에서 오신 분신(分身) 제불(諸佛)을 각각 본토에 돌아가시게 하고 말씀하셨다. “제불은 각각 편안함을 좇으시며, 다보불탑(多寶佛塔)도 도로 예전같이 있게 하십시오.”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지시 관형사)#적[時]+의(처소부사격조사).
주002)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 불교의 개조(開祖)로 세계 4대 성인(聖人) 중 한 분이다. ‘석가모니’는 ‘석가씨(釋迦氏)’의 ‘성자(聖者)’라는 뜻이다.
주003)
시방(十方)애셔:시방(十方)에서. ‘애셔’는 출발점 부사격 조사. ‘시방(十方)’은 동, 서, 남, 북의 사방(四方)과 건(乾), 곤(坤), 간(艮), 손(巽)의 사우(四隅), 그리고 상·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시방세계(十方世界)는 시방에 있는 무수한 세계를 이른다.
주004)
분신(分身):부처님이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세상에 나타나는 일이나 모습.
주005)
제불(諸佛):온 세상의 모든 부처[佛], 또는 최고의 진리를 터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06)
본토(本土)애:본토(本土)에. ‘애’는 지향점 처소부사격조사. ‘본토’는 본디 살던 고장을 이른다.
주007)
도라가시게:돌아가시게. 돌아가-[還]+시(선어말어미)+게(연결어미). ‘돌아가-’는 ‘돌-[還]+아#가-[行]’에서 온 합성어이다.
주008)
야:하여. -+아/어/야(연결어미).
주009)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10)
편안(便安)호:편안(便安)함을. ‘-호’은 ‘--+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1)
조시며:좇으시며. 따르시며. 좇-[隨]+시(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2)
다보불탑(多寶佛塔):동방 보정(寶淨) 세계의 부처인 다보여래(多寶如來)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탑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단, 또는 3단으로 된 아래는 방형(方形), 위는 원형(圓形)이나 팔각형이고, 꼭대기는 상륜(相輪)으로 된 탑이라고 한다.
주013)
도로:도로. 다시. 도로[回/還](부사).
주014)
녜:예. 옛날. 녜[故].
주015)
야:같아서. -[如]+아/어/야(연결어미).
주016)
겨쇼셔:있으십시오. 있게 하십시오. 겨-[有]+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