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역주 석보상절 제20
  •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2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2]
엇뎨어뇨 주001)
엇뎨어뇨:
어찌해서인가. 어찌하여 그런가. 엇뎨[何]+∅(서술격조사)+거/어(〔ㄱ〕 약화표기)+뇨(‘라’ 체의 설명의문형 종결어미). 부사 ‘엇뎨’가 명사 자격으로 쓰였다. 의문형 종결어미 ‘-뇨’는 ‘-니 오’의 축약형이다. ‘-오’는 ‘-니-’가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에서 문법화한 것이기 때문에 의문형 종결어미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의 차이는 없다. ‘엇뎨’는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란 주002)
란:
할진대. 할 것 같으면. -+란(연결어미).
如來 주003)
여래(如來):
여래(如來)께서. 여래는. ∅주격. ‘여래(如來)’는 교화(敎化)를 위해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에 왔다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大慈悲 주004)
대자비(大慈悲):
큰 자비를. ‘’은 목적격조사. ‘자비(慈悲)’는 부처가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이 앗교미 주005)
앗교미:
아낌이. 아끼는 것이. 앗기-[慳悋]+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스며 주006)
업스며:
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저푸미 주007)
저푸미:
두려움이. 저프-[畏]+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서 주008)
업서:
없어서. 없-[無]+어(연결어미).
衆生그 주009)
중생(衆生)그:
중생에게. ‘그’는 낙착점의 처소부사격조사.
주010)
불(佛):
바른 진리를 깨달은 이를 이른다. 흔히 석가여래(釋迦如來)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불타(佛陀).
□□ □

석보상절 20:2ㄴ

智慧 주011)
지혜(智慧):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自〔然〕 주012)
자연(自然):
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곧 본성(本性)을 이른다.
〔智慧〕 주니 주013)
주니:
주느니. 주느니라. 주-[與]+(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如來 一切 衆生 大施主 주014)
대시주(大施主):
큰 시주(施主). ‘시주(施主)’는 절이나 승려에게 재물을 공양하거나, 공양하는 사람을 이른다.
ㅣ니 너희도 如來 주015)
여래(如來)ㅅ:
여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法을 조차 주016)
조차:
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화 주017)
뵈화:
배워. 뵈호-[學]+아(연결어미).
앗가 주018)
앗가:
아까운. 앗-[慳恡]+(관형사형어미).
들 주019)
들:
뜻을. [意]+을(목적격조사).
내디 주020)
내디:
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주021)
말라:
말라. 말아라. 말-[勿]+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8:16ㄴ

엇뎨어뇨 란 如來 큰 慈悲 잇고 앗굠 업스며  저훔 업서 能히 衆生게 부텻 智慧 如來ㅅ 智慧 自然 智慧 주니 如來 一切 衆生 大

월인석보 18:17ㄱ

施主ㅣ니 너희히 如來ㅅ 法을 조차 화 앗  내디 말라【이 法을 너비 펴게 샤 如來ㅅ 세 行 화 衆生게 큰 法利 施케 시니 나 大慈悲行이니 平等히 거리츠실씨오 둘흔 앗굠 업스신 行이니 內外財 다 실 씨오 세 저품 업스신 行이니 어즈러며 어려믈 리디 아니실 씨라 이 야 能히 衆生게 세 가짓 智慧 주리라 佛智 二乘見

월인석보 18:17ㄴ

을 여희오 如來智菩薩見을 여희오 自然智 證取를 여희여  브터 아디 아니니 通히 다 一乘實智언마 오직 德用 조차 달이 일 미라】

〔6:121ㄴ〕 二示流通行
〔법화경〕所以者何오 如來ㅣ 有大慈悲고 無諸慳悋며 亦無所畏야 能與衆生佛之智慧와 如來ㅅ 智慧와 自然智慧니 如來 是一切衆生之大施主ㅣ니 汝等이 亦應隨學如來之法야 勿生慳恡이니라

〔법화경언해〕〔6:122ㄱ〕○엇뎨어뇨 如來ㅣ 大慈悲 잇고 여러 가짓 앗교미 업스며  저호미 업서 能히 衆生의게 부텻 智慧와 如來ㅅ 智慧와 自然智慧 주니 如來 이 一切 衆生의 大施〔6:122ㄴ〕主ㅣ니 너희  반기 如來ㅅ 法을 조차 화 앗굠 내디 마롤 띠니라

〔계환해〕〔6:122ㄴ〕 所以令其廣宣此法者 使學如來ㅅ 三行샤 與諸衆生샤 施大法利也ㅣ시니 一은 大慈悲行이니시 平等滋濟시고 二 無慳吝行이시니 竭內外財시고 三은 無所畏行이시니 不憚煩難이시니 如是샤 乃能與諸衆生三種智慧시리라 佛智 離二乘見시고 如來ㅅ 智 離菩薩見시고 自然智 離諸證取샤 不由他悟ㅣ시니 通唯一乘實智也〔6:123ㄱ〕ㅣ어신마 但隨德用샤 異稱耳시니라

〔계환해언해〕○이 法을 너비 펴게 샤 如來ㅅ 三行 호샤 諸衆生을 주샤 큰 法利 施케 샤미니 나 大慈悲 行이시니 平等히 利益게 濟度샤미오 둘흔 앗굠 업스신 行이시니 內外財 다 내실 씨오 세흔 저품 업스신 行이시니 잇븐 어려우믈 리디 아니실 씨니 이 샤 能히 諸衆生의게 세 가짓 智慧ㄹ 주시리라 佛智 二乘見을 여희시고 如來ㅅ 智 菩薩見을 여희시고 自然智 여러 證取 여희샤  브터 아디 아니실 씨니 通히 오직 一乘 實智어신마 오직 德用 조샤 달이 일실 니시니라

[석존이 무량보살에게 미래세에 법화경을 널리 설법할 것을 부촉함 2]
어찌하여 그런가 하면 여래는 대자비를 펴서 아낌이 없으며, 두려움이 없어 능히 중생에게 부처의 지혜, 여래의 지혜, 자연의 지혜를 주느니라. 여래는 일체 중생의 대시주(大施主)이니, 너희도 여래의 법을 따라 배워서 아까운 뜻을 내지 말라(아깝다고 여기지 말고 베풀라).
Ⓒ 역자 | 김무봉 / 2012년 12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어뇨:어찌해서인가. 어찌하여 그런가. 엇뎨[何]+∅(서술격조사)+거/어(〔ㄱ〕 약화표기)+뇨(‘라’ 체의 설명의문형 종결어미). 부사 ‘엇뎨’가 명사 자격으로 쓰였다. 의문형 종결어미 ‘-뇨’는 ‘-니 오’의 축약형이다. ‘-오’는 ‘-니-’가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에서 문법화한 것이기 때문에 의문형 종결어미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의 차이는 없다. ‘엇뎨’는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02)
란:할진대. 할 것 같으면. -+란(연결어미).
주003)
여래(如來):여래(如來)께서. 여래는. ∅주격. ‘여래(如來)’는 교화(敎化)를 위해 진여(眞如)에서 이 세상에 왔다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주004)
대자비(大慈悲):큰 자비를. ‘’은 목적격조사. ‘자비(慈悲)’는 부처가 중생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주005)
앗교미:아낌이. 아끼는 것이. 앗기-[慳悋]+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6)
업스며: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주007)
저푸미:두려움이. 저프-[畏]+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8)
업서:없어서. 없-[無]+어(연결어미).
주009)
중생(衆生)그:중생에게. ‘그’는 낙착점의 처소부사격조사.
주010)
불(佛):바른 진리를 깨달은 이를 이른다. 흔히 석가여래(釋迦如來)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불타(佛陀).
주011)
지혜(智慧):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주012)
자연(自然):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곧 본성(本性)을 이른다.
주013)
주니:주느니. 주느니라. 주-[與]+(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4)
대시주(大施主):큰 시주(施主). ‘시주(施主)’는 절이나 승려에게 재물을 공양하거나, 공양하는 사람을 이른다.
주015)
여래(如來)ㅅ:여래의. ‘ㅅ’은 높임 자질을 가진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16)
조차: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주017)
뵈화:배워. 뵈호-[學]+아(연결어미).
주018)
앗가:아까운. 앗-[慳恡]+(관형사형어미).
주019)
들:뜻을. [意]+을(목적격조사).
주020)
내디: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1)
말라:말라. 말아라. 말-[勿]+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