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2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2
  • [운허]Ⅱ. 정종분(正宗分)○첫째 사마타를 말하여 진심을 알게 하다 ②
  • [운허]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 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28
메뉴닫기 메뉴열기

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28


능엄경언해 권2:100ㄱ

三. 反辯
〔경문〕 若見暗時예 不與暗과 合인댄 與明과 合者도 應非見明이로다 旣不見明면 云何明과 合다 며 了明의 非暗인  료

〔경문〕 다가 어드움 주001)
:
볼. 보는.
時節에 어드움과 合디 아니딘댄 곰과 合 제도 주002)
제도:
때에도.
반기 고 보디 몯리로다 마 고 보디 몯면 엇뎨 곰과 合다 며 고 주003)
고:
밝음의. 「곰+(매김토)」.
어드움 아닌  주004)
아닌 :
아닌 것을.
알리오

〔경문〕 만일 어두움을 볼 때에 어두움과 합하지 아니했다면 밝음과 합한 때에도 마땅히 밝음을 보지 못할 것이로다. 이미 밝음을 보지 못하면 어찌 밝음과 합했다 하며 밝음의 어두움이 아닌 줄을 알겠느냐?

능엄경언해 권2:100ㄴ

若不合暗야 而能見暗면 則與明과 合時예도 應不見明이로다 然이나 旣不見明면 云何言與明과 合다 며 云何了明의 非暗耶  료 合義不成 則證菩提心이 非和合로 起론 디 明矣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2:100ㄴ

다가 어드움과 合디 주005)
합디:
합하지. 「합디」에서 「」줄음. 뿌리가 「ㄱ·ㄷ·ㅂ」으로 끝나는 다 풀이씨에 「ㄱ·ㄷ」으로 시작되는 씨끝이 붙으면 「」가 줄음.
아니야 能히 어드우 보면 곰과 合 時節에도 반기 고 보디 몯리로다 그러나 마 고 보디 몯면 엇뎨 곰과 合다 니며 엇뎨 고 어드움 아닌 알리오 合논 디 이디 주006)
이디:
일지. 되지. 「일-」[成].
아니 菩提證 미 和合로 니디 주007)
니디:
일어나지. 「닐-」.
아니혼디 주008)
아니혼디:
아니한지. 아니한 것이.
도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만일 어두움과 합하지 아니하여 능히 어두움을 보면, 밝음과 합한 때에도 마땅히 밝음을 보지 못할 것이로다. 그러나, 이미 밝음을 보지 못하면 어찌 밝음과 합했다고 이르며, 어찌 밝음의 어두움 아닌 줄을 알겠는가? 합하는 뜻이 되지 아니하므로 보리를 증한 마음이 화합으로 일어나지 아니한 것이 분명하도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볼. 보는.
주002)
제도:때에도.
주003)
고:밝음의. 「곰+(매김토)」.
주004)
아닌 :아닌 것을.
주005)
합디:합하지. 「합디」에서 「」줄음. 뿌리가 「ㄱ·ㄷ·ㅂ」으로 끝나는 다 풀이씨에 「ㄱ·ㄷ」으로 시작되는 씨끝이 붙으면 「」가 줄음.
주006)
이디:일지. 되지. 「일-」[成].
주007)
니디:일어나지. 「닐-」.
주008)
아니혼디:아니한지. 아니한 것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