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2

  • 역주 능엄경언해 제2
인쇄 의견 제시
역주 능엄경언해 제2
역주 능엄경언해 제2

중국 송나라 온릉 개원련사의 비구 계환이 요해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릉엄경》을 조선 세조가 한글로 입겿(토)을 달고, 왕사 신미대사의 도움을 받아 한계희, 김수온 등이 언해한 책으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불경 언해본. 원래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이 세종 31년(1449)에 번역에 착수하였으나 세조 7년 10월에야 완성하여 간행한 활자본(을해자)임.

김영배 교수

1931년 평북 영변 출생.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문학석사, 문학박사.
1973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전임강사, 조교수.
1976 상명여자대학(현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1980~1997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교수.
1987.4-1988.3 일본 축파(筑波)대학 외국인교사, 현재 동국대학교 국문학과 명예교수.

〈저서〉

『석보상절 제23·24주해』
『평안방언의 음운체계연구』
『국어사자료연구』
『증보 평안방언연구』
『평안방언연구 자료편』 외.

〈역주〉

『역주 석보상절 제6, 9, 11』(공동)
『역주 석보상절 제13, 19』(공동)
『역주 능엄경언해 제1, 2』
『역주 능엄경언해 제3, 4』
『역주 능엄경언해 제7, 8』
『역주 능엄경언해 제9, 10』
『역주 월인석보 제11, 12』
『역주 법화경언해 제1』
『역주 법화경언해 권2』
『역주 법화경언해 권3』
『역주 법화경언해 제4』
『역주 법화경언해 제6』
『역주 월인석보 제20』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1』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2』
『역주 월인석보 제25(상)』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역주 월인석보 제4』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역주위원

  • 능엄경언해 제2 : 김영배

  • 편집위원

  • 위원장 : 박종국
  • 위원 : 김구진 김석득 성경린
  • 손보기 안덕균 이태극
  • 이해철 전상운 차형근
  • 최기호 최영보 한무희
  • 허웅
  • 제자 : 서희환

간행의 말씀

금년 10월 9일은 훈민정음 반포 550돌이 되는 한글날이자 우리 회가 창립된 지 40돌이 되는 날이다.

우리나라 반만년 역사상에 최대의 위인이요, 최고의 은인이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여 이를 길이 보존 선양하기 위한 기념사업의 수행을 목적으로 창립한 이래 본 회가 오늘에 이르기까지 40년 동안 이룩한 사업을 대강 살펴보면, 초기 10여 년 동안인 1966년경까지는 한글날과 세종날의 기념행사 및 학술강연회 등의 일을 실시하면서 기구의 조직 정비와 원대한 사업 목표의 설정 등 기초 작업에 대한 추진에 주력하였고, 그 뒤부터 30년 동안은 첫째 사업인 「세종대왕기념관」을 건립 세종문화전열실을 마련하여 개관 운영하면서 세종문화에 관한 연구와 자료 수집, 한문고전 국역과 한글고전 역주, 교양국사총서 편찬, 한글기계화 연구, 한글 글자체 연구개발,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 학술지 발간 등 연구·국역·편찬 사업을 실시하였으니, 그간 발간한 책의 수가 무려 4백여 책이요, 연구 개발한 한글 기계 기본 글자본이 1종이며, 연구 개발한 한글 글자체 8종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우리 회가 이번에 새로 「능엄경언해」를 역주하여 「역주 능엄경언해」 제l, 2집을 발간하게 되었다. 「능엄경언해」는 중국 송나라 휘종(徽宗) 때 온릉(溫陵) 개원련사(開元蓮寺)의 비구 계환(戒環)이 요해한 불교 경전인 「능엄경」을 조선 시대 세조가 한글로 입겿을 달고 한계희·김수온 등이 신미의 도움을 받아 번역한 언해본으로 국어의 음운 변천과 우리 옛말 연구 및 불교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이다.

이 「능엄경언해」는 현재 원간본으로서 주자본과 목판본의 두 가지 종류가 전하는데, 주자본인 을해자본은 세조 7년(1461), 10월에 교서관(校書館)에서 발간한 것이고, 목판본은 세조 8년(1462) 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것으로 여겨지나, 주자본은 완질이 전하지 않고 전체 10권 중 권3, 4를 제외한 그 나머지만 우리 회를 비롯하여 몇 곳에 흩어져 보존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권수에 따라서는 여러 장 내지 몇십 장씩 결락되어 있고, 또 매우 서둘러 간행된 책이므로 상당한 잘못이 나타난다. 목판본은 주자본의 잘못이 수정되어 간행된 것으로 그 완질 10권이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전한다. 그러므로 우리 회가 이번에 역주하여 내는 「역주 능엄경언해」는 간경도감 간행의 목판본 중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인 「능엄경언해」를 역주한 것이다.

끝으로 우리 회에서 「한글고전역주사업계획」에 따라 1990년 1월에 착수 연차적으로 펴냄에 있어, 특히 이번에 「능엄경언해 권1, 2, 3, 4」를 연구 집필하여 주신 동국대학교 김영배 교수님과 이 사업을 계속 지원해 주는 문화체육부에 감사드리고, 이 책이 나오기까지 여러모로 심혈을 기울이신 여러분께도 심심한 사의를 드린다.

1996년 9월 22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박종국

일러두기

1. 역주 목적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후, 언해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어 우리말·글로 기록된 다수의 언해류 고전과 한글 관계 문헌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말이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어서 15, 6세기의 우리말을 연구하는 전문학자 이외의 다른 분야 학자나 일반인들이 이를 읽어 해독하기란 여간 어려운 실정이 아니다. 그러므로 현대어로 풀이와 주석을 곁들여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 방면의 지식을 쌓으려는 일반인들에게 필독서가 되게 함은 물론, 우리 겨레의 얼이 스며 있는 옛 문헌의 접근을 꺼리는 젊은 학도들에게 중세 국어 국문학 연구 및 우리말 발달사 연구 등에 더욱 관심을 갖게 하며, 나아가 주체성 있는 겨레 문화를 이어가는 데 이바지하고자 함에 역주의 목적이 있다.

2. 편찬 방침

(1) 이 책은, 동국대학교 도서관 소장인 통칭 〈능엄경언해〉(목판본) 제1~10의 10권을 그 영인본을 바탕으로 역주한 것이다.

(2) 이 책은 본문의 편집 내용은 한 쪽(면)을 4단으로 나누어, ‘원문 띄어쓰기(방점 생략)·옛말의 주해·현대말 풀이·불교용어 주해’의 차례로 조판하였으며, 또 원전과 비교하여 찾아 보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각 쪽의 왼편 첫 단 앞에 원문의 각 장(張) 앞·뒤 쪽 표시를 아래와 같이 「표로 나타내었다.

〈보기〉
제3장 앞쪽이 시작되는 낱말 앞 : 3ㄱ…사「미 거츠리…
제8장 뒤쪽이 시작되는 낱말 앞 : 8ㄴ …名相이「一切 셔디…

다만, 해당 쪽 첫줄 첫낱말부터의 시작이 아닐 때는 「표 없이 ‘38ㄱ’으로만 적었다.

(3) 원문 영인은 동국대학교(1959년) 영인본을 사용하였다.

(4) 경전 본문에 대한 계환(戒環)의 주해는 한 자 들여 써서 구분하였다.

(5) 읽는 이의 편의를 위하여 언해본에는 없는 문단 제목을 이운허(1974) 〈불교의 철리와 수행의 완성〉(수릉엄경 주해) (동국대학교 역경원)에 따라서 붙였다.

(6) 현대말로 옮기는데 있어서 될 수 있는 대로 옛글과 ‘문법적으로 같은 값어치의 글’이 되도록 하는 데 기준을 두었다.

(7) 현대말 풀이에서, 옛글의 구문(構文)과 달라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충한 말을 ( ) 안에 넣었다. 다만, 인용문 “…” 다음의 생략된 인용동사는 여기에 따르지 않았다.

(8) 언해문 가운데 【…】 표의 주해는 〈…〉로 나타냈다.

이전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