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2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2
  • [운허]Ⅱ. 정종분(正宗分)○첫째 사마타를 말하여 진심을 알게 하다 ②
  • [운허]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 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12. 망(妄)에서 진(眞)을 보이다 10


능엄경언해 권2:85ㄱ

二. 局喩
〔경문〕 阿難아 若復此中에 有一小洲호 秖有兩國거든 唯一國人이 同感惡緣 則彼小洲ㅣ옛 當土衆生 覩諸一切不祥境界호 或見二日며 或見兩月며 其中에 乃至暈適珮玦와 彗孛飛流와 負耳虹蜺히 種種惡相 但此國見고 彼國衆生 本所不見이며 亦復不聞니라

〔경문〕 阿難아 다가  이 中에  小州ㅣ 이쇼 오직 두 나라히 잇

능엄경언해 권2:85ㄴ

거든 오직  나랏 사미 가지로 모딘 주001)
모딘:
모진. 「모딜-」.
緣을 感 뎌 小州엣 그 해 주002)
해:
땅에.
當 衆生 모 一切祥瑞 아닌 境界 보 시혹 두  주003)
:
해를.
보며 시혹 두  주004)
:
달을.
보며 그 中에 暈과 適과 佩玦와 彗와 孛와 飛와 流와 負와 耳와 虹과 蜺예 니르리 種種 구즌 주005)
구즌:
궂은. 「궂-」.
相 오직 이 나라히 보고 뎌 나랏 衆生 本來보디 몯며 듣디 몯니라

〔경문〕 아난아, 만일 또 이 가운데 한 소주가 있는데, 〈거기〉 오직 두 나라가 있거든, 〈그 중〉 한 나라 사람〈들〉은 한가지로 모진 연을 감하므로(=만나게 되어) 저 소주의 땅에 당한(=있는) 중생은 모든, 일체의 상서 주006)
상서:
복되고 길한 일이 있을 조짐.
아닌 경계를 보는데, 혹 두 해를 보〈기도 하〉며 혹 두 달을 보〈기도 하〉며 그 중에 ‘운’ 주007)
운:
햇무리.
‘적’ 주008)
적:
월식·일식.
‘패결’ 주009)
패결:
해의 귀걸이.
‘혜’ 주010)
혜:
혜성.
‘발’ 주011)
발:
발성.
‘비’와 ‘유’ 주012)
비·유:
유성 모두 별똥.
‘부’와 ‘이’ 주013)
부와 이:
등 무지개·결 무지개.
‘홍’과 ‘예’ 주014)
홍과 예:
쌍무지개가 떴을 때 선명한 무지개와 희미한 무지개.
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궂은 상을 오직 이 나라가 〈사람들만이〉 보고, 저 나라 중생들은 본래 보지 못하며 또 듣지도 못하는 것이다.

〔주해〕 不祥氣現에 唯灾地 見之 乃同業妄感也ㅣ오 彼無灾地ㅣ 不見不聞 喩有漏境界 唯妄覺이 見之 卽同業妄見也ㅣ오 彼無漏者 見이 本淸淨인  시니 故로 釋迦化土ㅣ 現淨穢之不同시며 諸天飯食이 隨福德而有異也니라 暈適珮玦 日月之灾象也ㅣ오 彗孛飛流 星辰之灾象也ㅣ오 負耳虹蜺 陰陽之灾象也ㅣ라 惡氣ㅣ 環日호미 爲暈이오 日食曰適이니 所謂適見于日月之灾也ㅣ라 珮玦 謂妖氣ㅣ 近日야 如環珮之狀시라 星芒이 偏指 시 曰彗니 如彗箒也ㅣ라 芒氣ㅣ 四出 시 曰孛이니 孛孛然也ㅣ라 絶迹而去 시 曰飛오 光迹이 相連 시 曰流ㅣ라 陰陽之氣ㅣ 或背日호미 如負며 旁日호미 如耳며 或明而爲虹며 暗而爲霓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2:86ㄴ

祥瑞 아닌 氣分이 現호매 오직 灾異 잇 히 주015)
히:
땅이야.
보 가짓 業의 妄히 感호미오 뎌 灾異 업슨 히 보디 몯며 듣디 몯호 漏 잇 境界 오직 妄 覺이 보 곧 가짓 業의 妄見이오 주016)
-이오:
-이고.
뎌 漏 업스닌 주017)
업스닌:
없는 이는.
보미 本來淸淨 가비시니 주018)
가비시니:
견주시니.
이런로 釋迦ㅅ 化土ㅣ 조며 주019)
조며:
깨끗하며.
더러움 나토샤미 주020)
나토샤미:
나타내심이.
디 아니시며 諸天의 밥 머고미 주021)
머고미:
먹음이.
福德을 조차 달오미 주022)
달오미:
다름이. 「다-ㅡ오/우+ㅁ+이」.
잇니라 暈과 適과 佩玦 日月의 灾異ㅅ 象이오 彗와 孛와 飛와 주023)
-와-와:
-와-은.
星晨의 灾

능엄경언해 권2:87ㄱ

異ㅅ 象이오 負와 耳와 虹과 蜺와 陰陽의 灾異ㅅ 象이라 모딘 氣分이 예 주024)
예:
해에.
둘우미 주025)
둘우미:
두름이. 「둘우」.
暈이오 日食 닐오 適이니 닐온 日月에 適이 낟다 주026)
낟다:
나타났다.
혼 灾異라 【適 謫이니 주027)
책:
꾸짖음.
씨라 주028)
-씨라:
-하는, 것이다.
佩玦 妖怪옛 氣分이 예 갓가와 주029)
갓가와:
가까와.
環佩ㅅ 이 주030)
이:
모양이.
씨라 【環 도렫 주031)
도렫:
동그란. 「도렫-」.
구스리오 玦 環 호 녀기 주032)
녀기:
한쪽이. 「녁〈녁」.
이즈니 주033)
이즈니:
이지러지니. 「잊-」.
다 佩玉이라】
볈 비치 녀그로 칠씨 주034)
칠씨:
가리키는 것이.
닐오 彗니 주035)
뷔:
비. 빗자루.
니라 빗 氣分이 四方로 날씨 주036)
날씨:
나는 것이.
닐오 孛이니 孛孛씨라 【孛孛 리 주037)
리:
가리어.
어즈러이 디 몯 라】
자최 주038)
자최:
자취를.
그쳐 주039)
그쳐:
끊어.
갈씨 주040)
갈씨:
가는 것이.
닐오 飛오 빗 자최 서르 니씨 주041)
니씨:
있는 것이.
닐오 流ㅣ라 陰陽ㅅ 氣分이 시혹  뒤도라슈미 주042)
뒤도라슈미:
뒤돌아 있음이.
지여숌 주043)
지여숌:
지어 있음. 지고 있음.
며  겨틔 이쇼

능엄경언해 권2:87ㄴ

주044)
이쇼미:
있음이. 「이시-+오/우+ㅁ+이」.
귀 며 시혹 가 虹이 외며 어드워 霓ㅣ 외니라 【虹 수므지게오 주045)
수므지게오:
수무지개이고.
霓 암므지게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상서〈롭지〉 아니한 기운이 나타남에 재이 주046)
재이:
재앙이 되는 괴이 한 일.
있는 땅이야(=땅만이) 보는 것은 한 가지 업의 〈허〉망하게 감하는(=만나는) 것이고, 저 재이가 없는 땅〈에서는〉 보지 못하며 듣지 못함은(=을) ‘누’ 주047)
누:
번뇌.
가 있는 경계는 오직 망각이야(=망각만이) 보는 것은, 곧 한 가지 업의 망견이고, 저 ‘누’ 없는 이가 보는 것은 본래 청정한 것을 견주시니, 이런 까닭에 석가모니의 화토 주048)
화토:
부첨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그들의 근기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내는 국토.
가 깨끗하며 더러움 나타내시는 것과 않으시며, 제천의 밥 먹음이 복덕을 따라 다름이 있는 것이다. ‘운’과 ‘적’과 ‘패결’은 해와 달의 재이의 현상이고, ‘혜’와 ‘발’과 ‘비’와 ‘유’는 성신 주049)
성신:
뭇별.
의 재이 현상이고, ‘부’와 ‘이’와 ‘홍’과 ‘예’는 음양의 재이 현상이다. 모진 기운이 해에 두른 것이 ‘운’이고, 일식을 이르기를 ‘적’이〈라 하〉니, 이른바 해와 달에 ‘적’이 나타났다고 하는 재이이다. 【‘적’은 ‘적’이니꾸짖는 것이다.】 ‘패결’은 요괴의 기분이 해에 가까워 환패의 모양과 같은 것이다. 【‘환’은 동그란 구슬이고, ‘결’은 ‘환’과 같되 한 쪽이 이지러지니 다 패옥이다.】 별빛이 한 쪽으로 〈치우쳐〉 가리키는 것은 이르기를 ‘혜’이니, 비와 같은 것이다. 빛 기운이 사방으로 나는 것은 이르기를 ‘발’이니, 발발한 것이다. 【‘발발’은 가리끼어 어지럽게 밝지 못한 모양이다.】 자취를 끊어 가는 것은 이르기를 비〈성〉이고, 빛의 자취가 서로 잇는 것은 이르기를 유성이라 〈한다〉. 음양의 기운이 혹 해를 뒤돌아 있는 것이 〈해를〉 지고 있는 것과 같으며 해 곁에 있는 것은 귀와 같으며, 혹 밝아서 ‘홍’이 되며, 〈혹〉 어두워서 ‘예’가 되는 것이다. 【‘홍’은 수무지개이고, ‘예’는 암무지개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딘:모진. 「모딜-」.
주002)
해:땅에.
주003)
:해를.
주004)
:달을.
주005)
구즌:궂은. 「궂-」.
주006)
상서:복되고 길한 일이 있을 조짐.
주007)
운:햇무리.
주008)
적:월식·일식.
주009)
패결:해의 귀걸이.
주010)
혜:혜성.
주011)
발:발성.
주012)
비·유:유성 모두 별똥.
주013)
부와 이:등 무지개·결 무지개.
주014)
홍과 예:쌍무지개가 떴을 때 선명한 무지개와 희미한 무지개.
주015)
히:땅이야.
주016)
-이오:-이고.
주017)
업스닌:없는 이는.
주018)
가비시니:견주시니.
주019)
조며:깨끗하며.
주020)
나토샤미:나타내심이.
주021)
머고미:먹음이.
주022)
달오미:다름이. 「다-ㅡ오/우+ㅁ+이」.
주023)
-와-와:-와-은.
주024)
예:해에.
주025)
둘우미:두름이. 「둘우」.
주026)
낟다:나타났다.
주027)
책:꾸짖음.
주028)
-씨라:-하는, 것이다.
주029)
갓가와:가까와.
주030)
이:모양이.
주031)
도렫:동그란. 「도렫-」.
주032)
녀기:한쪽이. 「녁〈녁」.
주033)
이즈니:이지러지니. 「잊-」.
주034)
칠씨:가리키는 것이.
주035)
뷔:비. 빗자루.
주036)
날씨:나는 것이.
주037)
리:가리어.
주038)
자최:자취를.
주039)
그쳐:끊어.
주040)
갈씨:가는 것이.
주041)
니씨:있는 것이.
주042)
뒤도라슈미:뒤돌아 있음이.
주043)
지여숌:지어 있음. 지고 있음.
주044)
이쇼미:있음이. 「이시-+오/우+ㅁ+이」.
주045)
수므지게오:수무지개이고.
주046)
재이:재앙이 되는 괴이 한 일.
주047)
누:번뇌.
주048)
화토:부첨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그들의 근기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내는 국토.
주049)
성신:뭇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