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개동효충(介同効忠)
메뉴닫기 메뉴열기

개동효충(介同効忠)


1:81ㄱ

介同効忠

1:81ㄴ

私奴介同 주001)
개동(介同):
종의 이름.
扶餘縣人金應生之奴也應生死哭泣哀戚衰麻三年本主朴礩及應生夫妻 주002)
부처(夫妻):
부부(夫婦).
木主燒火介同自作木主立祠奉安 주003)
봉안(奉安):
신주나 화상(畵像)을 받들어 모심. 안치(安置).
歲時 주004)
세시(歲時):
한 해의 절기.
忌日 주005)
기일(忌日):
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親備奠具終始不怠朴礩孼子平孫犯軍律當刑介同請以身代受 주006)
장(杖):
곤장(棍杖). 죄인의 볼기를 치던 형벌.
八十幾死而甦今 上朝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로 개은 부여현 주007)
부여현(夫餘縣):
현 충청남도 부여군.
사이니 김의 이라 이 죽거 울며 셜워야 주008)
셜워야:
서러워하여. 슬퍼하여.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셜야’로 표기하였다.
거 주009)
거상(居常):
상중(喪中)에 있음.
호 삼년을 최복 주010)
최복(衰服):
상복(喪服)을 입음.
다 믿 주011)
믿[本]:
본래의.
것 박질이과 주012)
박질이과:
박질[인명] + -이(접미사) + -과(접속 조사). 박질(朴礩)과.
의 부쳐의 신 블 븓거 주013)
블 븓거:
블[火] + 븥-[燒] + -거(종속적 연결 어미). 불에 타므로.
개이 손조 주014)
손조:
손수. 15세기에는 ‘손’로 표기되다가 16세기 이후에는 ‘손조’와 ‘손소’의 두 형태로 되었다. 이 문헌에도 ‘손조’와 ‘손소’가 공존하고 있다.
신쥬 주015)
신주(神主):
죽은 사람의 위패(位牌). 대개 밤나무로 만든다. 그래서 한문 원문에는 신주를 목주(木主)라 하고 있다.
라 주016)
라[作]:
만들어. 15세기의 ‘-’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 지어 안고 셰시와 긔일의 친히 졔믈 주017)
제물(祭物):
제사에 쓰는 음식물.
을 만야 죵내 주018)
죵내:
내내. 끝끝내. 종시(終始). 15세기에는 ‘내내’로 나타나며, 이 문헌에는 ‘나죵내’로 쓰인 예가 발견된다.
게으르디 아니더라 박질의 얼아 주019)
얼아:
서자(庶子). 얼자(孼子).
손이 군법 주020)
군법(軍法):
군대의 형법.
을 범야 죄 닙게 주021)
죄 닙게:
죄에 대하여 벌을 받게.
되엿거 개이 신야지라 주022)
신야지라:
대신(代身)하고 싶다.
야  팔십 마자 죽게 되엿다가 사다 금 됴애 문 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개동효충 - 종 개동이 힘써 충성을 다하다
개인의 종인 개동(介同)은 부여현(夫餘縣) 사람인데, 김응생(金應生)의 종이다. 김응생이 죽자 울며 슬퍼하면서 상중(喪中)에 있되 삼년 동안 상복(喪服)을 입었다. 본래의 주인 박질(朴礩)과 김응생의 부부의 신주(神主)가 불에 타서 개동(介同)이 손수 신주를 만들어 사당 주023)
사당(祠堂):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을 지어 봉안하고, 세시(歲時)나 기일(忌日)이 되면 친히 제물(祭物)을 장만하여 내내 게을리하지 않았다. 박질(朴礩)의 서자(庶子)인 박평손(朴平孫)이 군법(軍法)을 어겨 죄에 대한 벌을 받게 되었을 때 개동이 대신 벌을 받고자 청하여 곤장 팔십 대를 맞아 거의 죽게 되었다가 살았다. 지금의 임금께서 정문을 내리셨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개동(介同):종의 이름.
주002)
부처(夫妻):부부(夫婦).
주003)
봉안(奉安):신주나 화상(畵像)을 받들어 모심. 안치(安置).
주004)
세시(歲時):한 해의 절기.
주005)
기일(忌日):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주006)
장(杖):곤장(棍杖). 죄인의 볼기를 치던 형벌.
주007)
부여현(夫餘縣):현 충청남도 부여군.
주008)
셜워야:서러워하여. 슬퍼하여.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셜야’로 표기하였다.
주009)
거상(居常):상중(喪中)에 있음.
주010)
최복(衰服):상복(喪服)을 입음.
주011)
믿[本]:본래의.
주012)
박질이과:박질[인명] + -이(접미사) + -과(접속 조사). 박질(朴礩)과.
주013)
블 븓거:블[火] + 븥-[燒] + -거(종속적 연결 어미). 불에 타므로.
주014)
손조:손수. 15세기에는 ‘손’로 표기되다가 16세기 이후에는 ‘손조’와 ‘손소’의 두 형태로 되었다. 이 문헌에도 ‘손조’와 ‘손소’가 공존하고 있다.
주015)
신주(神主):죽은 사람의 위패(位牌). 대개 밤나무로 만든다. 그래서 한문 원문에는 신주를 목주(木主)라 하고 있다.
주016)
라[作]:만들어. 15세기의 ‘-’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주017)
제물(祭物):제사에 쓰는 음식물.
주018)
죵내:내내. 끝끝내. 종시(終始). 15세기에는 ‘내내’로 나타나며, 이 문헌에는 ‘나죵내’로 쓰인 예가 발견된다.
주019)
얼아:서자(庶子). 얼자(孼子).
주020)
군법(軍法):군대의 형법.
주021)
죄 닙게:죄에 대하여 벌을 받게.
주022)
신야지라:대신(代身)하고 싶다.
주023)
사당(祠堂):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