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정운돌진(鄭運突陣)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운돌진(鄭運突陣)


1:58ㄱ

鄭運突陣

1:58ㄴ

判官鄭運 주001)
정운(鄭運):
(1543~1592)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자는 창진(昌辰)이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영암(靈巖) 출신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거산도찰방(居山道察訪)ㆍ웅천현감(熊川縣監)을 지냈다. 제주 판관(濟州判官) 때 목사(牧使)와의 불화로 파직되었다가 1591년(선조 24) 녹도(鹿島) 만호(萬戶)가 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군절도사 이순신의 선봉장이 되어 옥포 해전ㆍ당포 해전ㆍ한산도 대첩 등의 여러 해전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부산포 해전에서 추격 도중 적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靈巖郡 주002)
영암군(靈巖郡):
현 전라남도 영암군.
廉潔 주003)
염결(廉潔):
청렴하고 결백함.
有膽略壬辰倭亂衝突賊 주004)
진(陣):
진영(陣營).
射殺五十餘賊中丸而死今 上朝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판관 뎡운은 녕암군 사이라 념결고 담긔 주005)
담기(膽氣):
담력. 겁이 없고 용감한 기운.
모략 주006)
모략(謀略):
계략(計略). 어떤 일을 이루어 내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
이 잇더니 임진왜난의 도적 딘의 텨 주007)
텨:
-[貫] + -티-(강세 접미사) + -어(연결 어미). 꿰뚫어.
려드러 쉰나믄 주008)
나믄:
여(餘). ~넘은.
도적을 와 주009)
와:
쏘아[射].
주기고 텰환 마자 죽다 금 샹됴애 졍문 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정운돌진 - 정운이 적진으로 돌진하다
판관인 정운(鄭運)은 영암군 사람이다. 청렴하고 결백하며 담력과 계략을 지녔는데, 임진왜란 때 왜적의 진영을 꿰뚫고 달려들어 오십여 명의 왜적을 쏘아 죽이고 탄환을 맞아 전사하였다. 지금의 임금께서는 정문을 내리셨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정운(鄭運):(1543~1592)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자는 창진(昌辰)이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영암(靈巖) 출신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거산도찰방(居山道察訪)ㆍ웅천현감(熊川縣監)을 지냈다. 제주 판관(濟州判官) 때 목사(牧使)와의 불화로 파직되었다가 1591년(선조 24) 녹도(鹿島) 만호(萬戶)가 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군절도사 이순신의 선봉장이 되어 옥포 해전ㆍ당포 해전ㆍ한산도 대첩 등의 여러 해전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부산포 해전에서 추격 도중 적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주002)
영암군(靈巖郡):현 전라남도 영암군.
주003)
염결(廉潔):청렴하고 결백함.
주004)
진(陣):진영(陣營).
주005)
담기(膽氣):담력. 겁이 없고 용감한 기운.
주006)
모략(謀略):계략(計略). 어떤 일을 이루어 내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
주007)
텨:-[貫] + -티-(강세 접미사) + -어(연결 어미). 꿰뚫어.
주008)
나믄:여(餘). ~넘은.
주009)
와:쏘아[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