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계두역투(罽頭力鬪)
메뉴닫기 메뉴열기

계두역투(罽頭力鬪)


1:3ㄱ

罽頭力鬪

1:3ㄴ

薛罽頭 주001)
설계두(薛罽頭):
사람 이름. 신라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활동한 무인이다. 621년(진평왕 43) 몰래 배를 타고 당나라에 건너갔다. 645년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치기 위해 출정할 때 종군을 자청하여 좌무위과의(左武衛果毅)가 되자 요동 안시성 부근 주필산 밑에서 고구려 군대와 격전을 벌이다 전사하였다. 당 태종은 그가 신라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옷을 벗어 시신을 덮어주고 대장군의 관직을 내렸다.
慶州府人武德四年隨海舶入唐會太宗征高句麗罽頭自薦爲左武衛果毅至遼東與麗人戰于駐蹕山下力鬪而死帝脫御衣覆其尸授職大將軍 주002)
대장군(大將軍):
무관의 으뜸 벼슬.
以禮葬之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셜계두 경부 사이라 무덕 주003)
무덕(武德):
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의 연호이며, 당의 첫 번째 연호로 618.5~626.12의 8년여 기간 사용되었다. 무덕 4년은 621년(진평왕 43)이다.
년의 바다 주004)
바다:
바다[海].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부터 ‘해(海)’를 가리키는 명사로서 ‘바다ㅎ’와 ‘바’이 공존하고 있다.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인석보 1 : 23ㄱ). 海 바리라(월인석보 2 : 45ㄴ).
주005)
:
배(船).
조차 주006)
조차:
좇-[隨] + -아(연결 어미). 따라서. 의지해서.
당의 드러갓더니 주007)
드러갓더니:
들-[入] + -어(연결 어미) + 가-[往] + -앗-(완료 시제 선어말 어미) + -더-(과거시상 선어말 어미) + -니(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갔더니. 입국(入國)하였더니.
마 주008)
마:
마침[適].
태종 주009)
태종(太宗):
(600~649, 재위 626~649) 중원 왕조 당(618~907)의 제2대 황제. 이름은 세민(世民). 실질적인 창건자로 평가받고 있다. 아버지인 고조(高祖) 이연(李淵)을 도와 당(唐)의 창건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반란(618)을 주도했다.
이 고구려 졍벌 주010)
:
-[爲] + -ㄹ(종속적 연결 어미). 하므로. 『원각경 언해』(1465) 이전까지는 ‘’로 표기되었다.
계뒤 주011)
계뒤:
계두(사람 이름) + -ㅣ(주격 조사). 설계두가.
스스로 주012)
스스로:
스스로[自]. 이 문헌에 ‘스로’도 나타난다. ¶블 디 후의 스로 멱 디련노라(충신도 1 : 85ㄴ).
쳔야 주013)
쳔야:
쳔-[薦] + -야(연결 어미). 추천하여.
좌무위과의 주014)
좌무위과의(左武衛果毅):
벼슬 이름.
 야 뇨동 주015)
뇨동:
요동(遼東). 중국 요하(遼河)의 동쪽 지방. 지금의 요녕성(遼寧省) 동남부 일대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고, 특히 중국으로 가는 중요한 육상 통로가 되었다.
의 니러 고구려 사으로 더브러 주016)
더브러:
더불어. ~와 함께. 이는 동사 ‘더블다[與]’에서 파생된 부사이다. ¶梵志 더블오 그 뫼해 山行 가샤(월인천강지곡, 기109).
듀필산 주017)
듀필산:
주필산(駐蹕山). 당 태종이 보장왕 4년(645) 친히 고구려 침략 때에 머물렀던 산.
아래셔 주018)
아래셔:
아래[下]에서.
싸호 주019)
싸호:
싸호-[戰] + -(설명법 어미). 싸우되.
힘 주020)
힘:
힘[力] + -[用] + -어(연결 어미). 힘을 써서. 힘을 다하여. 이 문헌에는 ‘힘서’ ‘힘써’가 ‘힘’와 함께 혼용되고 있다. ¶뎍국의 가 힘서 사호니(충신도 1 : 14ㄴ). 진셩의 드러 힘써 사화 죽다(열녀도 6 : 14ㄴ).
사화셔 주021)
사화셔:
사호-[戰] + -아셔(종속적 연결 어미). 싸워서. 이 문헌에서 ‘사호다’와 ‘싸호다’가 혼용되고 있다.
죽거 주022)
죽거:
죽-[死] + -거(종속적 연결 어미). 죽으므로.
황뎨 주023)
황뎨:
황뎨(皇帝) + Ø(zero 주격 조사). 황제가.
어의 주024)
어의(御衣):
임금이 입는 옷.
버서 주025)
버서:
벗-[脫] + -어(연결 어미). 〈옷을〉 벗어.
주검 주026)
주검:
죽-[死] + -엄(명사 접미사). 시신[尸].
덥고 주027)
덥고:
덮-[覆] + -고(대등적 연결 어미). 덮고. 어간 ‘덮-’은 자음 어미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해 ‘덥-’으로 교체되었다.
대쟝군 벼슬 주028)
벼슬:
관직(官職).
주고 녜로 주029)
녜로:
녜(禮) + -로(조격 조사). 예로써. 예의를 갖추어.
영장 주030)
영장(永葬):
편안하게 장사 지냄. 안장(安葬).
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계두역투 - 설계두가 힘을 다해 싸우다
설계두(薛罽頭)는 경주부 사람이다. 그는 진평왕 43년(武德 四年, 621)에 바다의 배를 타고 당나라에 들어갔었다. 마침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정벌 주031)
정벌(征伐):
적을 무력으로써 침.
하려 하므로 설계두가 〈종군하기를〉 자천(自薦)하여 좌무위과의(左武衛果毅)가 되었다. 그리하여 요동에 이르러 고구려 병사들을 상대로 주필산 아래에서 힘을 다해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이에 황제가 자신의 옷을 벗어 설계두의 시신을 덮어 주고 대장군의 벼슬을 내려 준 후 예의를 갖추어 장사 지내셨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설계두(薛罽頭):사람 이름. 신라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활동한 무인이다. 621년(진평왕 43) 몰래 배를 타고 당나라에 건너갔다. 645년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치기 위해 출정할 때 종군을 자청하여 좌무위과의(左武衛果毅)가 되자 요동 안시성 부근 주필산 밑에서 고구려 군대와 격전을 벌이다 전사하였다. 당 태종은 그가 신라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옷을 벗어 시신을 덮어주고 대장군의 관직을 내렸다.
주002)
대장군(大將軍):무관의 으뜸 벼슬.
주003)
무덕(武德):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의 연호이며, 당의 첫 번째 연호로 618.5~626.12의 8년여 기간 사용되었다. 무덕 4년은 621년(진평왕 43)이다.
주004)
바다:바다[海].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부터 ‘해(海)’를 가리키는 명사로서 ‘바다ㅎ’와 ‘바’이 공존하고 있다.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인석보 1 : 23ㄱ). 海 바리라(월인석보 2 : 45ㄴ).
주005)
:배(船).
주006)
조차:좇-[隨] + -아(연결 어미). 따라서. 의지해서.
주007)
드러갓더니:들-[入] + -어(연결 어미) + 가-[往] + -앗-(완료 시제 선어말 어미) + -더-(과거시상 선어말 어미) + -니(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갔더니. 입국(入國)하였더니.
주008)
마:마침[適].
주009)
태종(太宗):(600~649, 재위 626~649) 중원 왕조 당(618~907)의 제2대 황제. 이름은 세민(世民). 실질적인 창건자로 평가받고 있다. 아버지인 고조(高祖) 이연(李淵)을 도와 당(唐)의 창건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반란(618)을 주도했다.
주010)
:-[爲] + -ㄹ(종속적 연결 어미). 하므로. 『원각경 언해』(1465) 이전까지는 ‘’로 표기되었다.
주011)
계뒤:계두(사람 이름) + -ㅣ(주격 조사). 설계두가.
주012)
스스로:스스로[自]. 이 문헌에 ‘스로’도 나타난다. ¶블 디 후의 스로 멱 디련노라(충신도 1 : 85ㄴ).
주013)
쳔야:쳔-[薦] + -야(연결 어미). 추천하여.
주014)
좌무위과의(左武衛果毅):벼슬 이름.
주015)
뇨동:요동(遼東). 중국 요하(遼河)의 동쪽 지방. 지금의 요녕성(遼寧省) 동남부 일대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고, 특히 중국으로 가는 중요한 육상 통로가 되었다.
주016)
더브러:더불어. ~와 함께. 이는 동사 ‘더블다[與]’에서 파생된 부사이다. ¶梵志 더블오 그 뫼해 山行 가샤(월인천강지곡, 기109).
주017)
듀필산:주필산(駐蹕山). 당 태종이 보장왕 4년(645) 친히 고구려 침략 때에 머물렀던 산.
주018)
아래셔:아래[下]에서.
주019)
싸호:싸호-[戰] + -(설명법 어미). 싸우되.
주020)
힘:힘[力] + -[用] + -어(연결 어미). 힘을 써서. 힘을 다하여. 이 문헌에는 ‘힘서’ ‘힘써’가 ‘힘’와 함께 혼용되고 있다. ¶뎍국의 가 힘서 사호니(충신도 1 : 14ㄴ). 진셩의 드러 힘써 사화 죽다(열녀도 6 : 14ㄴ).
주021)
사화셔:사호-[戰] + -아셔(종속적 연결 어미). 싸워서. 이 문헌에서 ‘사호다’와 ‘싸호다’가 혼용되고 있다.
주022)
죽거:죽-[死] + -거(종속적 연결 어미). 죽으므로.
주023)
황뎨:황뎨(皇帝) + Ø(zero 주격 조사). 황제가.
주024)
어의(御衣):임금이 입는 옷.
주025)
버서:벗-[脫] + -어(연결 어미). 〈옷을〉 벗어.
주026)
주검:죽-[死] + -엄(명사 접미사). 시신[尸].
주027)
덥고:덮-[覆] + -고(대등적 연결 어미). 덮고. 어간 ‘덮-’은 자음 어미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해 ‘덥-’으로 교체되었다.
주028)
벼슬:관직(官職).
주029)
녜로:녜(禮) + -로(조격 조사). 예로써. 예의를 갖추어.
주030)
영장(永葬):편안하게 장사 지냄. 안장(安葬).
주031)
정벌(征伐):적을 무력으로써 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