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원정투화(元禎投火)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정투화(元禎投火)


1:31ㄱ

元禎投火

1:31ㄴ

李元禎 주001)
이원정(李元禎):
고려의 무관. 고려 고종 18년(1231)에 1차로 고려를 침공한 몽고군은 압록강을 건너 함신주(의주)를 함락하고 압록강 아래 철주(鐵州)로 향했다. 그들의 주력 부대는 철주산성을 포위하고 일부 병력은 철주산성 남쪽 40리의 영삭성(寧朔城)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철주 방어사(鐵州防禦使) 이원정(李元禎)과 판관 이희적(李希勣)은 군민들과 군사 2,500인을 철주산성에 입성시켜 몽고군의 공격에 저항하였다. 그러던 중 끝내 성문이 돌파되어 몽고군의 기병 부대가 돌입하자 방어사 이원정과 판관 이희적은 장정들과 함께 최후까지 싸우다가 마침내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義州府人北兵 주002)
북병(北兵):
북방 지역의 군대. 여기서는 몽고군을 말한다.
來寇時元禎爲州倅固守力盡知不免遂焚官倉領妻子投火而死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니원뎡은 의부 사이라 븍병이 와 도적 제 원뎡이 고 원이 되여셔 구디 디킈더니 힘이 진야 주003)
진야[盡]:
다하여. 지쳐서.
면티 주004)
면티:
면-[免] + -디(보조적 연결 어미). 면하지.
몯 줄 알고 고 창 주005)
사창(社倉):
봄에 곡식을 꾸어 주고 가을에 받은 곡식을 넣어 두던 창고.
블 디고 주006)
블 디고:
불을 지르고[放火].
쳐 주007)
쳐:
처자(妻子).
 거려 블에 드러 주그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원정투화 - 이원정이 불에 뛰어들다
이원정(李元禎)은 의주부(義州府) 사람이다. 북방 지역의 군대(몽고군)가 침공하여 노략질할 때 이원정이 고을 원이 되어서 성을 굳게 지키더니 힘이 다하여 〈더 이상 버티지 못함으로써 몽고군의 약탈과 살육에서〉 피할 수 없음을 알고 고을의 창고에 불을 지른 후 처자(妻子)를 거느리고 불에 뛰어들어 죽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원정(李元禎):고려의 무관. 고려 고종 18년(1231)에 1차로 고려를 침공한 몽고군은 압록강을 건너 함신주(의주)를 함락하고 압록강 아래 철주(鐵州)로 향했다. 그들의 주력 부대는 철주산성을 포위하고 일부 병력은 철주산성 남쪽 40리의 영삭성(寧朔城)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철주 방어사(鐵州防禦使) 이원정(李元禎)과 판관 이희적(李希勣)은 군민들과 군사 2,500인을 철주산성에 입성시켜 몽고군의 공격에 저항하였다. 그러던 중 끝내 성문이 돌파되어 몽고군의 기병 부대가 돌입하자 방어사 이원정과 판관 이희적은 장정들과 함께 최후까지 싸우다가 마침내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주002)
북병(北兵):북방 지역의 군대. 여기서는 몽고군을 말한다.
주003)
진야[盡]:다하여. 지쳐서.
주004)
면티:면-[免] + -디(보조적 연결 어미). 면하지.
주005)
사창(社倉):봄에 곡식을 꾸어 주고 가을에 받은 곡식을 넣어 두던 창고.
주006)
블 디고:불을 지르고[放火].
주007)
쳐:처자(妻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