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정암충렬(廷馣忠烈)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암충렬(廷馣忠烈)


1:53ㄱ

廷馣忠烈

1:53ㄴ

月川君 주001)
월천군(月川君):
이정암이 별세한 뒤에는 그의 공이 훈적(勳籍)에 책록(策錄)되고 좌의정에 추증되어 월천 부원군(月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충목(忠穆)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부원군(府院君)은 조선 시대 임금의 장인 또는 친공신(親功臣)에게 주던 작호(爵號)이다.
李廷馣 주002)
이정암(李廷馣):
(1541~160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중훈(仲薰)이며, 호는 사류재(四留齋)ㆍ퇴우당(退憂堂)ㆍ월당(月塘)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임금을 호종(扈從), 개성(開城)에서 방어했고, 개성이 함락되자 황해도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한 공으로 황해도 초토사(黃海道招討使)가 되어 연안에서 포위된 왜군 3,000여 명을 격파하였다. 선무공신 2등으로 월천 부원군에 추봉되었고,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京都人孝友能文壬辰倭亂 宣廟西巡 주003)
서순(西巡):
서쪽으로 순행(巡行)함.
前夕 주004)
전석(前夕):
어제의 저녁.
與夫人尹氏酌酒永訣自縊于書室 주005)
서실(書室):
서재(書齋). 서적을 갖추어 두고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방.
幾絶家人奔救獲甦翌日扈 駕至松京 주006)
송경(松京):
조선 시대 이후 고려의 서울인 개성을 이르던 말.
上使守延安城未幾賊數千來圍廷馣晝夜力戰 주007)
역전(力戰):
온 힘을 다하여 싸움.
士卒 주008)
사졸(士卒):
군사(軍士).
疲困賊將登城廷馣坐積藁上使其子濬持炬約城陷火之士卒感泣殊死戰賊大敗而走 昭敬大王錄功贈職今 上朝旌門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월쳔군 니뎡엄은 셔울 사이니 효우 주009)
효우(孝友):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와 우애 있게 지냄.
고 글 잘더라 임진왜난의 션 주010)
션:
션묘(宣廟) + -ㅣ(주격 조사). 선조(宣祖) 임금께서.
셔슌신 젼셕의 부인 윤시 주011)
윤시(尹氏):
이정암의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를 말하며, 윤광부(尹光富)의 딸로서 천성이 인선(仁善)하여 남을 도와주기를 좋아하였다. 이정암보다 먼저 별세하였다.
로 더브러 주012)
술[酒]:
15세기에는 ‘수을’로 등장한다.
브어 주013)
브어:
븟-[注] + -어(연결 어미). 부어. 15세기에는 ‘브’로 표기하였다. ‘브 〉 브어’.
영결 주014)
영결(永訣):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영원히 이별함.
고 셔실의 스스로 목 라 주015)
라:
-[絞] + -아(연결 어미). 〈목을〉 졸라. 동사 어간 ‘-’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ㄹ-’로 교체된다.
거의 죽게 되엳거 가인 주016)
가인(家人):
집안 사람.
이 라가 구니 살믈 주017)
살믈:
삶[生] + -을(목적격 조사). 삶을. 생명을.
얻다 이날 주018)
이날:
이튿날[翌日]. 15세기에는 ‘이틄날, 이틋날’로 표기하였다.
호 가 주019)
호가(扈駕):
임금이 탄 거가(車駕)를 호위하며 뒤따르던 일.
야 숑경의 니러 샹이 여곰 연안 주020)
연안(延安):
황해도 연백 지역의 옛 지명. 1413년(태종 13)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이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연안군이 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배천군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셩을 딕킈라 시니 이윽고 도적 수쳔이 와 니 뎡엄이 듀야 주021)
듀야:
주야(晝夜). 밤낮으로.
녁젼니 졸이 피곤고 도적이 쟝 주022)
쟝:
장차. 곧.
셩의 오게 되거 뎡엄이 싸 주023)
싸:
쌓-[積] + -(관형사형 어미). 쌓은.
주024)
딥:
짚[藁].
우희 안 주025)
고:
앉-[坐] + -고(대등적 연결 어미). 앉고. ‘앉-’의 말음 ㅈ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ㅅ으로 교체되었다.
그  쥰으로 주026)
홰:
횃불[炬].
 잡고 언약호 셩이 함거 주027)
함거:
함락(陷落)되거든.
블 디라 주028)
블 디라:
블[火] + 디-[焚] + -라(명령법 어미). 불을 지르라.
니 졸이 감읍 주029)
감읍(感泣):
감격하여 목메어 욺.
고 죽기야 다랴 여 싸호니 도적기 대패 주030)
대패(大敗):
〈싸움이나 경기에서〉 크게 짐.
야 라나다 쇼경대왕이 녹공 주031)
녹공(錄功):
공신으로 봉해진 사람을 모아 기록한 문서인 훈적(勳籍)에 등록하는 것. 공훈(功勳)을 기록하는 것.
증직 주032)
증직(贈職):
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추증하던 일.
시고 금 샹됴의 졍문 시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정암충렬 - 이정암의 충성과 절의
월천 부원군(月川府院君)인 이정암(李廷馣)은 서울 사람인데, 부모께 효도하고 형제와는 우애 있게 지내며 글에도 능하였다.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께서 서쪽 지방으로 떠나신 전날 저녁에 이정암은 부인 윤씨와 더불어 잔에 술을 부어서 영원한 이별을 고하고는 서재(書齋)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거의 죽게 되었는데, 집안 사람이 달려가서 구함으로 생명을 얻게 되었다. 이튿날 어가(御駕)를 호위하여 송도(松都)에 이르자 임금께서 그로 하여금 연안성(延安城)을 지키게 하셨다. 얼마 뒤 왜적 수천 인이 공격하여 포위하므로 이정암이 주야로 온 힘을 다해 싸우니, 군사들이 피곤해하는 중에 왜적은 곧 성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자 이정암은 짚을 쌓아 놓게 한 다음 그 위에 앉고 그의 아들 이준(李濬) 주033)
이자준(李子濬):
이정암의 아들.
은 횃불을 잡게 하고 약속하기를, “성이 함락되거든 이 짚에다 불을 지르라”고 하니, 군사들이 감격하여 울면서, 죽는 것이 별것이냐 하며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므로 왜적이 크게 패하여 달아났다. 선조 임금께서 그의 공훈을 기록하고 증직하셨으며, 지금의 임금께서는 정문을 내리셨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월천군(月川君):이정암이 별세한 뒤에는 그의 공이 훈적(勳籍)에 책록(策錄)되고 좌의정에 추증되어 월천 부원군(月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충목(忠穆)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부원군(府院君)은 조선 시대 임금의 장인 또는 친공신(親功臣)에게 주던 작호(爵號)이다.
주002)
이정암(李廷馣):(1541~160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중훈(仲薰)이며, 호는 사류재(四留齋)ㆍ퇴우당(退憂堂)ㆍ월당(月塘)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임금을 호종(扈從), 개성(開城)에서 방어했고, 개성이 함락되자 황해도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한 공으로 황해도 초토사(黃海道招討使)가 되어 연안에서 포위된 왜군 3,000여 명을 격파하였다. 선무공신 2등으로 월천 부원군에 추봉되었고,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주003)
서순(西巡):서쪽으로 순행(巡行)함.
주004)
전석(前夕):어제의 저녁.
주005)
서실(書室):서재(書齋). 서적을 갖추어 두고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방.
주006)
송경(松京):조선 시대 이후 고려의 서울인 개성을 이르던 말.
주007)
역전(力戰):온 힘을 다하여 싸움.
주008)
사졸(士卒):군사(軍士).
주009)
효우(孝友):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와 우애 있게 지냄.
주010)
션:션묘(宣廟) + -ㅣ(주격 조사). 선조(宣祖) 임금께서.
주011)
윤시(尹氏):이정암의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를 말하며, 윤광부(尹光富)의 딸로서 천성이 인선(仁善)하여 남을 도와주기를 좋아하였다. 이정암보다 먼저 별세하였다.
주012)
술[酒]:15세기에는 ‘수을’로 등장한다.
주013)
브어:븟-[注] + -어(연결 어미). 부어. 15세기에는 ‘브’로 표기하였다. ‘브 〉 브어’.
주014)
영결(永訣):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영원히 이별함.
주015)
라:-[絞] + -아(연결 어미). 〈목을〉 졸라. 동사 어간 ‘-’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ㄹ-’로 교체된다.
주016)
가인(家人):집안 사람.
주017)
살믈:삶[生] + -을(목적격 조사). 삶을. 생명을.
주018)
이날:이튿날[翌日]. 15세기에는 ‘이틄날, 이틋날’로 표기하였다.
주019)
호가(扈駕):임금이 탄 거가(車駕)를 호위하며 뒤따르던 일.
주020)
연안(延安):황해도 연백 지역의 옛 지명. 1413년(태종 13)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이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연안군이 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배천군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주021)
듀야:주야(晝夜). 밤낮으로.
주022)
쟝:장차. 곧.
주023)
싸:쌓-[積] + -(관형사형 어미). 쌓은.
주024)
딥:짚[藁].
주025)
고:앉-[坐] + -고(대등적 연결 어미). 앉고. ‘앉-’의 말음 ㅈ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ㅅ으로 교체되었다.
주026)
홰:횃불[炬].
주027)
함거:함락(陷落)되거든.
주028)
블 디라:블[火] + 디-[焚] + -라(명령법 어미). 불을 지르라.
주029)
감읍(感泣):감격하여 목메어 욺.
주030)
대패(大敗):〈싸움이나 경기에서〉 크게 짐.
주031)
녹공(錄功):공신으로 봉해진 사람을 모아 기록한 문서인 훈적(勳籍)에 등록하는 것. 공훈(功勳)을 기록하는 것.
주032)
증직(贈職):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추증하던 일.
주033)
이자준(李子濬):이정암의 아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