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유전질처(有全詄妻)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전질처(有全詄妻)


1:23ㄱ

有全詄妻

1:23ㄴ

許有全 주001)
허유전(許有全):
(1243~1323)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초명은 허안(許安)으로 충주사록(忠州司錄)을 지낸 허연(許延)의 아들이다. 고려 원종 15년(1274) 5월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충숙왕대까지 감찰시사(監察侍使)·국학사예(國學司藝)·감찰대부·도첨의참리·수첨의찬성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충선왕이 토번에 유배되었을 때 임금의 환국을 위하여 81세의 고령으로 민지(閔漬) 등과 함께 원나라에 갔으나 심양왕 일파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왔다.
金海 주002)
김해(金海):
현재 경상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
府人高麗忠宣王 주003)
충선왕(忠宣王):
(1275~1325) 고려 제26대 임금. 제25대 충렬왕(忠烈王)과 원나라(몽고제국) 5대 세조 쿠빌라이(1215~1294)의 딸인 쿠툴룩켈리쉬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장(璋), 몽고명은 이지리부카(益知禮普花)였다. 충선왕은 원 간섭기에 개혁정치를 시행하고,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설치하여 원나라와 고려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학문을 발전시킨 임금으로 알려져 있다.
吐蕃 주004)
토번(吐蕃):
7세기 초에서 9세기 중엽까지 활동한 티베트 왕국 및 티베트인(人)에 대한 당(唐) ·송(宋)나라 때의 호칭.
有全與閔漬等如元請召還有全時年八十一妻亦老病欲止之答曰人皆有一死豈以妻病身老忘君而自逸乎囑其子榮侍疾遂永訣而去聞者歎之後九日妻歿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허유젼은 김부 사이라 고려 튱션왕이 토번의 내텨 갓거 주005)
내텨갓거:
내티-[黜] + -어(연결 어미) + 가-[去] + -앗-(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거(종속적 연결 어미). 내쫓겨갔으므로. 유배(流配)되었으므로.
유젼이 민치 주006)
민치(閔漬):
(1248~1326)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默軒). 충숙왕 때 수정승(守政丞)에 올랐으며,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을 증수하여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를 만들고,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을 편찬하였다. 현대음으로는 ‘민지’이다.
등으로 더브러 원의 가 블러오믈 쳥 주007)
쳥:
요청하니. 청원하니.
유젼이 그제 나히 주008)
나히:
나ㅎ[年齡] + -이(주격 조사). 나이가. ‘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여 나히오 주009)
여 나히오:
여든 하나이고.
안해도  늙고 병드러 머므로고져 주010)
머므로고져:
머믈-[留] + -오-(사동 접미사) + -고져(의도법 어미). 머물게 하고자.
거 답야 오 사이 다  번 죽기 이시니 엇디 겨집의 병들고 몸 늘그므로 주011)
늘그므로:
늙-[老] + -음(명사형 어미) + -으로(조격 조사). 늙은 것을 가지고.
님금 주012)
님금:
임금[王]. 이 문헌에는 ‘님금’ 외에 ‘님군’, ‘님굼’의 형태도 등장한다. ¶님군이 욕 머그면 신해 죽글 거시라 니(충신도 1 : 18ㄴ). 튱셩되고 어딘 신해 졔졔히 근 님굼을 돕다(충신도 1 : 29ㄴ).
닛고 주013)
닛고:
닞-[忘] + -고(대등적 연결 어미). 잊고. 어간 ‘닞-’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닛’으로 교체되었다.
스스로 편료 고 그 아 영을 닐러 시병 주014)
시병(侍病):
간병(看病). 환자를 돌보고 시중을 듦.
라 주015)
코:
‘고’의 축약형.
드듸여 영영 니별코 주016)
니별코:
이별하고.
가니 드 주017)
드:
듣-[聞] + -(관형사형 어미). 들은.
사이 감탄더라 겨지븐 후에 아랜 만의 주018)
아흐랜 만의:
아흐래[九日] + -ㅅ(사이시옷) + 만(의존 명사) + -의(처격 조사). 구일(九日) 만에. ㅅ이 ㅁ 앞에서 비음화(鼻音化)하여 ㄴ으로 되었다.
주그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유전질처 - 허유전이 부인을 잊다
허유전(許有全)은 김해부 사람이다. 고려 제26대 충선왕이 토번에 유배되자 허유전이 민지(閔漬) 등과 더불어 원나라에 가서 임금을 귀국시켜 달라고 청원하였다. 그때 허유전의 나이가 여든 한 살이고, 그의 부인도 늙고 병들어서 만류를 하니, 대답하여 이르기를, “사람은 모두 한 번 죽을 터인데, 아내가 병들고 몸 늙은 것을 가지고 어찌 임금을 잊고 내 스스로만 편하리오.”라 하고, 그의 아들 허영(許榮)에게 일러 간병(看病)하게 하고, 마침내 마지막 이별을 고하고 떠나가니 듣는 사람 모두가 감탄하였다. 부인은 〈허유전이 떠난 지〉 아흐레 만에 죽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허유전(許有全):(1243~1323)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초명은 허안(許安)으로 충주사록(忠州司錄)을 지낸 허연(許延)의 아들이다. 고려 원종 15년(1274) 5월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충숙왕대까지 감찰시사(監察侍使)·국학사예(國學司藝)·감찰대부·도첨의참리·수첨의찬성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충선왕이 토번에 유배되었을 때 임금의 환국을 위하여 81세의 고령으로 민지(閔漬) 등과 함께 원나라에 갔으나 심양왕 일파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왔다.
주002)
김해(金海):현재 경상남도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
주003)
충선왕(忠宣王):(1275~1325) 고려 제26대 임금. 제25대 충렬왕(忠烈王)과 원나라(몽고제국) 5대 세조 쿠빌라이(1215~1294)의 딸인 쿠툴룩켈리쉬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장(璋), 몽고명은 이지리부카(益知禮普花)였다. 충선왕은 원 간섭기에 개혁정치를 시행하고,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설치하여 원나라와 고려의 문화 교류를 촉진하고 학문을 발전시킨 임금으로 알려져 있다.
주004)
토번(吐蕃):7세기 초에서 9세기 중엽까지 활동한 티베트 왕국 및 티베트인(人)에 대한 당(唐) ·송(宋)나라 때의 호칭.
주005)
내텨갓거:내티-[黜] + -어(연결 어미) + 가-[去] + -앗-(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거(종속적 연결 어미). 내쫓겨갔으므로. 유배(流配)되었으므로.
주006)
민치(閔漬):(1248~1326)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默軒). 충숙왕 때 수정승(守政丞)에 올랐으며,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을 증수하여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를 만들고,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을 편찬하였다. 현대음으로는 ‘민지’이다.
주007)
쳥:요청하니. 청원하니.
주008)
나히:나ㅎ[年齡] + -이(주격 조사). 나이가. ‘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09)
여 나히오:여든 하나이고.
주010)
머므로고져:머믈-[留] + -오-(사동 접미사) + -고져(의도법 어미). 머물게 하고자.
주011)
늘그므로:늙-[老] + -음(명사형 어미) + -으로(조격 조사). 늙은 것을 가지고.
주012)
님금:임금[王]. 이 문헌에는 ‘님금’ 외에 ‘님군’, ‘님굼’의 형태도 등장한다. ¶님군이 욕 머그면 신해 죽글 거시라 니(충신도 1 : 18ㄴ). 튱셩되고 어딘 신해 졔졔히 근 님굼을 돕다(충신도 1 : 29ㄴ).
주013)
닛고:닞-[忘] + -고(대등적 연결 어미). 잊고. 어간 ‘닞-’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닛’으로 교체되었다.
주014)
시병(侍病):간병(看病). 환자를 돌보고 시중을 듦.
주015)
코:‘고’의 축약형.
주016)
니별코:이별하고.
주017)
드:듣-[聞] + -(관형사형 어미). 들은.
주018)
아흐랜 만의:아흐래[九日] + -ㅅ(사이시옷) + 만(의존 명사) + -의(처격 조사). 구일(九日) 만에. ㅅ이 ㅁ 앞에서 비음화(鼻音化)하여 ㄴ으로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