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홍관위주(洪灌衛主)
메뉴닫기 메뉴열기

홍관위주(洪灌衛主)


1:18ㄱ

洪灌衛主

1:18ㄴ

洪灌南陽府人李資謙之亂直宿都省 주001)
도성(都省):
고려의 관청. 백관(百官)을 총령하는 상서도성(尙書都省)을 가리킴.
聞變歎曰主辱臣死吾可自安遂入侍王側爲拓俊京 주002)
척준경(拓俊京):
(?~1144) 고려 시대의 무신. 곡산 척씨(谷山拓氏)의 시조이다. 집이 가난하여 학문을 닦지 못하고 무뢰배들과 교유하였다. 뒤에 계림공(후의 숙종)의 종자로 있다가 추밀원 별가(別駕)가 되었다. 1126년(인종 4) 이자겸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군사를 이끌고 대궐을 침입했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고 그 공으로 추충정국협모동덕위사공신(推忠靖國協謀同德衛社功臣)이 되었다. 이후 세도를 마구 부리다가 탄핵을 받아 암타도(巖墮島)에 유배되고 이내 죽었다.
所害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홍관 주003)
홍관(洪灌):
(?~1126) 고려 시대 학자, 문신. 삼한공신(三韓功臣) 홍은열(洪殷悅)의 후손으로, 당성(唐城 : 지금의 충남 당진) 사람. 홍관(洪瓘)이라고도 하며,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중승(御史中丞) 및 문덕각(文德閣)과 보문각(寶文閣)의 학사(學士)를 역임하였다. 예종이 일찍이 『편년통재(編年通載)』를 열람한 후 홍관에게 명하여 삼한(三韓) 이래의 사적(事跡)을 모아 편찬해서 바치게 하였다.
남양 주004)
남양(南陽):
경기도 화성 지역의 지명.
부 사이라 니겸의 난의 도의 샹딕 주005)
상직(上直):
벼슬아치가 당직이 되어 관가에서 잠.
야 자다가 주006)
변(變):
변란(變亂).
을 듣고 탄야 로 님군 주007)
님군:
임금[王].
이 욕 머그면 신해 주008)
신해:
신하(臣下) + -ㅣ(주격 조사). 신하가.
죽글 주009)
죽글:
죽-[死] + -을(관형사형 어미). 죽을. ‘죽글’은 어간 말음 ㄱ을 어미의 두음으로 한 번 더 적은 중철 표기이다.
거시라 니 내 가히 스스로 편 걷가 주010)
걷가:
것(의존 명사) + -가(의문 조사). 것인가? 말음 ㅅ,ㄷ의 혼용으로 ‘것’을 ‘걷’으로 표기한 것이다.
고 드듸여 드러가 왕의 겨 뫼셛더니 주011)
뫼셛더니:
뫼시-[侍] + -엇-(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 + -니(종속적 연결 어미). 모시고 있었더니.
쳑쥰경의 해 주012)
해:
해치는. 살해하는.
배 되다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홍관위주 - 홍관이 임금을 호위하다
홍관은 남양부(南陽府) 사람이다. 이자겸의 반란 때 당직이 되어 관가에서 자다가 변란의 소식을 듣고 탄식하여 이르기를, “임금이 욕을 당하면 신하는 죽어야 하는 법인데, 내가 가히 스스로 편할 수 있으랴?” 하고, 마침내 〈궁궐로〉 들어가 임금을 곁에서 모시고 있다가 척준경(拓俊京)에게 살해당한 바 되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성(都省):고려의 관청. 백관(百官)을 총령하는 상서도성(尙書都省)을 가리킴.
주002)
척준경(拓俊京):(?~1144) 고려 시대의 무신. 곡산 척씨(谷山拓氏)의 시조이다. 집이 가난하여 학문을 닦지 못하고 무뢰배들과 교유하였다. 뒤에 계림공(후의 숙종)의 종자로 있다가 추밀원 별가(別駕)가 되었다. 1126년(인종 4) 이자겸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군사를 이끌고 대궐을 침입했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고 그 공으로 추충정국협모동덕위사공신(推忠靖國協謀同德衛社功臣)이 되었다. 이후 세도를 마구 부리다가 탄핵을 받아 암타도(巖墮島)에 유배되고 이내 죽었다.
주003)
홍관(洪灌):(?~1126) 고려 시대 학자, 문신. 삼한공신(三韓功臣) 홍은열(洪殷悅)의 후손으로, 당성(唐城 : 지금의 충남 당진) 사람. 홍관(洪瓘)이라고도 하며,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중승(御史中丞) 및 문덕각(文德閣)과 보문각(寶文閣)의 학사(學士)를 역임하였다. 예종이 일찍이 『편년통재(編年通載)』를 열람한 후 홍관에게 명하여 삼한(三韓) 이래의 사적(事跡)을 모아 편찬해서 바치게 하였다.
주004)
남양(南陽):경기도 화성 지역의 지명.
주005)
상직(上直):벼슬아치가 당직이 되어 관가에서 잠.
주006)
변(變):변란(變亂).
주007)
님군:임금[王].
주008)
신해:신하(臣下) + -ㅣ(주격 조사). 신하가.
주009)
죽글:죽-[死] + -을(관형사형 어미). 죽을. ‘죽글’은 어간 말음 ㄱ을 어미의 두음으로 한 번 더 적은 중철 표기이다.
주010)
걷가:것(의존 명사) + -가(의문 조사). 것인가? 말음 ㅅ,ㄷ의 혼용으로 ‘것’을 ‘걷’으로 표기한 것이다.
주011)
뫼셛더니:뫼시-[侍] + -엇-(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 + -니(종속적 연결 어미). 모시고 있었더니.
주012)
해:해치는. 살해하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