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1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1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24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24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24]
일록 주001)
일록:
이것으로부터.
우흔 주002)
우흔:
위는.
無明이 緣이 외야 三細 주003)
3세:
무명업상·능견상·경계상.
내요미오 주004)
내요미오:
내는 것이고.
일록 아랜 주005)
아랜:
아래는.
境界 緣이 외야 六麤 주006)
6추:
지상·상속상·집취상·계명자상·기업상·업계고상.
내요미니 分別事識 주007)
분별사식:
전 6식.
이니 棱伽經니 주008)
니:
이르듯.
야 境界  뮈미 주009)
뮈미:
움직이게 함이. 「뮈우-/뮈-」.
외야 種種

월인석보 11:80ㄱ

앳 識浪히라 호미 주010)
호미:
함이.
이 니니라 주011)
니니라:
이른 것이다.
무로 三細 賴耶 屬고 六麤 意識에 屬거시니 엇뎨 주012)
엇뎨:
어찌.
末那識 아니 니뇨 주013)
니뇨:
이르느냐?
對答호 두 디 잇니 나 주014)
나:
하나는.
알 주015)
알:
앞에.
마 닐오 주016)
닐오:
이르되.
賴耶 末那ㅣ 모로매 자바 서르 應다 주017)
-다:
-한다.
 니디 아니며 瑜伽論 주018)
유가론:
유가사지론. 미륵보살 지음. 무착보살 엮음. 당나라 현장 번역. 100권. 법상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경전.
애 닐오 賴耶識이 니뎬 주019)
니뎬:
이를진대.
모로매 두 識이 서르 應다 주020)
혼:
한. 하는.
젼라  意識이 外境 緣 저긔 모로매 안로 주021)
안로:
안으로.
末那 브터 더러 불휘 주022)
불휘를:
뿌리를.
사마 주023)
사마:
삼아야.
니러나니 주024)
니러나니:
일어나니.
이럴

월인석보 11:80ㄴ

 마 六麤 니면 다 주025)
다:
마땅히.
안로 末那 브틀 주026)
브틀:
붙으므로.
 各別히 아니 니니라 둘흔 주027)
둘흔:
둘은.
디 편다티 주028)
편다티:
푼더분하지. 평온하지.
아니 조려 주029)
조려:
줄여. 「조리-」.
이(아)니 주030)
이니:
되니.
니니 편다티 아니 相 無明住地 本來 寂靜 주031)
적정:
마음에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편안한 모양.
  뮈워 니르왇게 주032)
니르왇게:
일으키게.
야 和合야 梨耶 일우니 末那 이 디 업슬 알 三細 中에 조려 아니 니며  外境이 事識을 잇거 주033)
잇거:
이끌어. 「잇그-」.
니르왇니 주034)
니르왇니:
일으키니.
末那 外境 緣논 주035)
-논:
-하는.
디 주036)
디:
뜻이.
업슬 주037)
업슬:
없으므로.
六麤 中에  조려 아니 니며 안 주038)
안:
안을. 속을.
혜여 주039)
혜여:
헤아려.
사모 주040)
사모:
삼는 것은.

월인석보 11:81ㄱ

三細예 屬 주041)
-고:
-하고.
밧 주042)
밧:
밖을. 「+」.
혜여 我所 주043)
아소:
나에게 딸린 것으로 나에게 집착되는 사물. 곧 나의 소유물.
사모 後六麤애 屬 조려 아니 論니라 棱伽經 中에  이 마리 니 주044)
마리 니:
말과 같으니.
뎌 經에 닐오 大慧 주045)
대혜:
대혜서. 대혜 선사 종고(宗杲)의 편지를 모은 책.
여 조려 니면 세 가짓 識이 잇고 너펴 주046)
너펴:
넓혀.
니면 여듧 주047)
여듧:
여덟.
가짓 相이 잇니 므스거시 주048)
므스거시:
무엇이.
세코 주049)
세코:
셋인가?
眞識 주050)
진식:
능가경에서 말한 3식의 1. 자성청정심.
現識 分別事識이라 니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24]
⋘이것으로(여기서부터) 위는 무명이 「연」이 되어 3세를 내는 것이고, 이것으로 아래는 경계가 「연」이 되어 6추를 내는 것이니, 곧 분별사식이니, 능가경에 이르듯 하여 경계가 바람의 움직이게 함이 되어 가지가지의 「식」의 물결들이라 함이 이것을 〈두고〉 이르는 것이다. 묻되,
‘3세는 〈아〉뢰야에 속하고 6추는 의식에 속하시거니, 어찌 말나식을 말하지 아니하느냐?’ 대답하되,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앞에 이미 이르되, 〈아〉뢰야와 말나가 모름지기 잡아 서로 응한다 하므로 이르지 아니하며, 유가론에 이르되, ‘〈아〉뢰야식이 이를진대 모름지기 두 「식」이 서로 응한다.’〈고〉 한 까닭이다. 또 의식이 외경을 「연」할 적에 모름지기 안으로 말나〈식〉을 말미암아 더러운 뿌리를 삼아야 일어나니, 이러므로 이미 6추를 이르면 마땅히 안으로 말나〈식〉을 말미암으므로 또 따로 말하지 아니한 것이다.
둘은 뜻이 푼더분하지 아니하므로 줄여서 이르지 아니하니, 푼더분하지 아니한 「상」은 무명주지, 본래 적정한 마음을 일으키게 하여 화합하여 〈아〉리야를 이루니, 말나는 이 뜻이 없으므로 앞의 3세 중에 줄여서 이르지 아니하며(했으며), 또 외경 이 사식을 이끌어 일으키니, 말나는 외경을 「연」하는 뜻이 없으므로 6주 중에 또 줄여서 이르지 아니하며, 또 속을 헤아려 나를 삼는 것은 앞의 3세에 속하고, 밖을 헤아려 아소를 삼는 것은 뒤의 6추에 속하므로 줄여서 논하지 않은 것이다.’
능가경 중에 또 이 말과 같으니, 저(그) 경에 이르되,
대혜〈서〉에서 줄여 이르면 세 가지 「식」이 있고, 넓혀서 이르면 여덟 가지 「상」이 있으니, 무엇이 셋인가? 진식·현식·분별사식이라’ 하니⋙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일록:이것으로부터.
주002)
우흔:위는.
주003)
3세:무명업상·능견상·경계상.
주004)
내요미오:내는 것이고.
주005)
아랜:아래는.
주006)
6추:지상·상속상·집취상·계명자상·기업상·업계고상.
주007)
분별사식:전 6식.
주008)
니:이르듯.
주009)
뮈미:움직이게 함이. 「뮈우-/뮈-」.
주010)
호미:함이.
주011)
니니라:이른 것이다.
주012)
엇뎨:어찌.
주013)
니뇨:이르느냐?
주014)
나:하나는.
주015)
알:앞에.
주016)
닐오:이르되.
주017)
-다:-한다.
주018)
유가론:유가사지론. 미륵보살 지음. 무착보살 엮음. 당나라 현장 번역. 100권. 법상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경전.
주019)
니뎬:이를진대.
주020)
혼:한. 하는.
주021)
안로:안으로.
주022)
불휘를:뿌리를.
주023)
사마:삼아야.
주024)
니러나니:일어나니.
주025)
다:마땅히.
주026)
브틀:붙으므로.
주027)
둘흔:둘은.
주028)
편다티:푼더분하지. 평온하지.
주029)
조려:줄여. 「조리-」.
주030)
이니:되니.
주031)
적정:마음에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없는 편안한 모양.
주032)
니르왇게:일으키게.
주033)
잇거:이끌어. 「잇그-」.
주034)
니르왇니:일으키니.
주035)
-논:-하는.
주036)
디:뜻이.
주037)
업슬:없으므로.
주038)
안:안을. 속을.
주039)
혜여:헤아려.
주040)
사모:삼는 것은.
주041)
-고:-하고.
주042)
밧:밖을. 「+」.
주043)
아소:나에게 딸린 것으로 나에게 집착되는 사물. 곧 나의 소유물.
주044)
마리 니:말과 같으니.
주045)
대혜:대혜서. 대혜 선사 종고(宗杲)의 편지를 모은 책.
주046)
너펴:넓혀.
주047)
여듧:여덟.
주048)
므스거시:무엇이.
주049)
세코:셋인가?
주050)
진식:능가경에서 말한 3식의 1. 자성청정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