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1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1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4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4]
≪○여듧 가짓 주001)
가짓:
가지의.
이 세 가짓 能히 變호미 니 주002)
니:
구비하니.
나 주003)
나:
하나는.
異熟 주004)
이숙:
선악의 업인으로 얻은 무기성(無記性)의 결과.
이니 ⋘異 다씨오 주005)
다씨오:
다른 것이고.
熟은 니글씨라 주006)
니글씨라:
익는 것이다.
곧 第八識 異熟性이 할니라 주007)
할니라:
많기 때문이다.
둘흔 주008)
둘흔:
둘은.
思量이니 곧 第七識이 時常 子細히 思量니라 주009)
-니라:
하기 때문이다.
세 주010)
세:
셋은.
了境이니 곧 알 六識이 멀터 주011)
멀터:
거칠게. 대강.
境을 알니라 ○阿賴耶 藏識이라 주012)
혼:
하는.
마리니 諸法 種 能히 含藏 주013)
함장:
포함하여 감춤.
니라 ○能히 變호미 두 가지 잇니 나 因能變 주014)
인능변:
만유가 벌여지는 원인을 제8식 중에 들어 있는 종자라 하고, 종자 자신이 종자를 낳아 전변(轉變)을 계속하는 것.

월인석보 11:48ㄴ

이니 第八識 中엣 等流와 異熟과 두 가짓 因엣 習氣 니니 等流 習氣 주015)
등류습기:
자기와 비슷한 과(果)를 재는 종자.
 第七識中엣 善惡 無記 주016)
무기:
선도 악도 아닌 성지로서, 선악 중 어떤 결과도 끌어 오지 않는 중간성.
熏야 길어 주017)
길어:
길러. 「기르-」.
낼씨오 주018)
낼씨오:
내는 것이고.
無記 아야 주019)
아야:
혼미하여.
아로미 업슬씨라 熏은 發며 닐윌씨라 주020)
닐윌씨라:
이르게 하는 것이다. 「닐위 -/니르위-」.
異熟 習氣 주021)
이숙습기:
이숙과를 가져온 습기.
 六識 中엣 有漏 善惡이 주022)
훈:
향이 냄새를 옷에 배게 함과 같이 사람의 언어·동작·생각 등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어떠한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심·체(心體)에 머무르게 하는 것.
야 길어 낼씨라 주023)
낼씨라:
내는 것이다.
둘흔 果能變이니 알 두 가짓 習氣力으로 八識이 나 種種 相 나토 주024)
나토:
나타냄을.
니니 等流 習氣 因緣 젼로 주025)
젼로:
까닭으로.
八識 體相이 여러 가지로 나니 일후미 等流果ㅣ니

월인석보 11:49ㄱ

ㅣ 因과  젼라 ⋘果ㅣ 因과  等流ㅣ라 니 等流는  주비라 주026)
주비라:
무리이다.
혼 마리라 ⋙異熟 習氣 增上緣 주027)
증상연:
다른 것이 생겨나는 데 힘을 주어 돕거나 방해 하지 않는 것.
이 외야 第八識을 感야 引業을 갑논 주028)
갑논:
갚는.
히미 ⋘引 씨니 주029)
씨니:
끄는 것이니.
引業은 아래 잇니라 주030)
잇니라:
있는 것이다.
時常 서르 니 주031)
니:
이으므로.
異熟 일후믈 지흐니라 주032)
지흐니라:
붙인 것이다. 지은 것이다.
알 六識을 感

월인석보 11:49ㄴ

야 滿業 갑논 거스란 주033)
거스란:
것일랑. 것은.
異熟을 브터셔 닐 주034)
닐:
일므로. 일어나므로.
異熟生 주035)
이숙생:
이숙인으로 생긴 것.
이라 일훔 지코 異熟이라 일훔 아니 지호 긋드루미 주036)
긋드루미:
끌어 듦이.
이실니 주037)
이실니:
있기 때문이니.
異熟과 주038)
이숙과:
이숙인으로 받는 과보.
異熟生 異熟果ㅣ라 일훔 짇니 주039)
짇니:
지으니. 「짛-」.
果ㅣ 因과 다니라 주040)
다니라: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因 前生앳 善惡業이라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4]
≪○ 이 여덟 가지 「식」은 세 가지 능히 변하는 것이 구비되니, 하나는 이숙이니 ⋘「이」는 다른 것이고, 「숙」은 익는 것이다.⋙ 곧 제8식이 이숙성이 많기 때문이다. 둘은 사량이니, 곧 제7식이 늘 자세히 생각하기 때문이다. 셋은 요경이니, 곧 앞의 6식이 대강 「경」을 알기 때문인 것이다.
○ 아뢰야는 장식이라〈고〉 하는 말이니, 제법종을 능히 포함하여 감추기 때문이다.
○ 능히 변하는 것이 두 가지 있으니, 하나는 인능변이니 제8식 중의 등류와 이숙 두 가지의 「인」의 습기를 이르니, 등류습기는 제7식 중의 선·악·무기를 「훈」하여 길러 내는 것이고 ⋘「무기」는 혼미하여 앎이 없는 것이다. 「훈」은 발하며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숙습기는 6식 중의 유루·선악이 「」하여 길러 내는 것이다. 둘은 과능변이니, 앞에서 두 가지 습기력으로 8식이 나서 갖가지 모양 나타내는 것을 이르니, 등류습기의 인연인 까닭으로 8식의 체상이 여러 가지로 나니, 이름이 등류과이니, 「과」는 「인」과 같은 까닭이다 ⋘「과」가 「인」과 같으므로 등류라 하니, 등류는 한 무리라〈고〉 하는 말이다.⋙ 이숙습기는 증상연이 되어 제8식을 감하여 인업을 갚는 힘이 ⋘「인」은 끄는 것이니, 인업은 아래〈에〉 있는 것이다.⋙ 늘 서로 이으므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앞의 6식을 감하여 만업〈을〉 갚는 것은 이숙을 의지하여서 일어나므로 이숙생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이숙이라〈고〉 이름을 붙이지 아니한 것은 끌어 듦이 있기 때문이니, 이숙과 이숙생을 이숙과라〈고〉 이름 붙이니, 「과」가 「인」과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인」은 전생의 선·악의 업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짓:가지의.
주002)
니:구비하니.
주003)
나:하나는.
주004)
이숙:선악의 업인으로 얻은 무기성(無記性)의 결과.
주005)
다씨오:다른 것이고.
주006)
니글씨라:익는 것이다.
주007)
할니라:많기 때문이다.
주008)
둘흔:둘은.
주009)
-니라:하기 때문이다.
주010)
세:셋은.
주011)
멀터:거칠게. 대강.
주012)
혼:하는.
주013)
함장:포함하여 감춤.
주014)
인능변:만유가 벌여지는 원인을 제8식 중에 들어 있는 종자라 하고, 종자 자신이 종자를 낳아 전변(轉變)을 계속하는 것.
주015)
등류습기:자기와 비슷한 과(果)를 재는 종자.
주016)
무기:선도 악도 아닌 성지로서, 선악 중 어떤 결과도 끌어 오지 않는 중간성.
주017)
길어:길러. 「기르-」.
주018)
낼씨오:내는 것이고.
주019)
아야:혼미하여.
주020)
닐윌씨라:이르게 하는 것이다. 「닐위 -/니르위-」.
주021)
이숙습기:이숙과를 가져온 습기.
주022)
훈:향이 냄새를 옷에 배게 함과 같이 사람의 언어·동작·생각 등이 그냥 없어지지 않고 어떠한 인상이나 세력을 자기의 심·체(心體)에 머무르게 하는 것.
주023)
낼씨라:내는 것이다.
주024)
나토:나타냄을.
주025)
젼로:까닭으로.
주026)
주비라:무리이다.
주027)
증상연:다른 것이 생겨나는 데 힘을 주어 돕거나 방해 하지 않는 것.
주028)
갑논:갚는.
주029)
씨니:끄는 것이니.
주030)
잇니라:있는 것이다.
주031)
니:이으므로.
주032)
지흐니라:붙인 것이다. 지은 것이다.
주033)
거스란:것일랑. 것은.
주034)
닐:일므로. 일어나므로.
주035)
이숙생:이숙인으로 생긴 것.
주036)
긋드루미:끌어 듦이.
주037)
이실니:있기 때문이니.
주038)
이숙과:이숙인으로 받는 과보.
주039)
짇니:지으니. 「짛-」.
주040)
다니라: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