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1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1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14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14]
일후미 阿梨耶識이라 ⋘이 生滅 不生滅에 나가면 주001)
나가면:
나아가면.
디 나 아니오 주002)
아니오:
아니고.
언댄 주003)
언댄:
가리건대. 「-」[釋].
미 다디 아니니 이 두 데 주004)
데:
뜻에.
둘 아닌  자바 일후믈 阿梨耶識이라 니라 眞諦 三藏 주005)
진제 삼장:
서인도 사람. 양(梁)나라 때 중국에 와서 금광명경 등 많은 불경을 번역함.
無沒識 주006)
무몰식:
아뢰야식.
이라 며 奘法師 주007)
장법사:
현장법사. 중국 당나라 스님. 대반야경 등 많은 불경을 번역했음.
ㅣ 藏識이라 니 藏 거두자바 주008)
거두자바:
걷어잡아. 다잡아.
초 주009)
초:
간직하는. 감추는. 「초-」.
디오 주010)
디오:
뜻이고.
無沒 일티 아니논 디니 디 가지로 주011)
가지로:
한가지로되.
일후미 다니

월인석보 11:63ㄴ

거두자보 藏이라 호 衆生히 가져 나 삼논 주012)
삼논:
삼는.
젼니 주013)
젼니:
까닭이니.
그러호 주014)
그러호:
그러함은.
眞心이 주015)
제:
자기의. 스스로의. 「저+/의」.
性을 守티 몯야 熏을 조차 和合야 一이 즛며 주016)
즛며:
비슷하며.
常이 즛 어린 주017)
어린:
어리석은.
사히 즛호로 實을 사마 자바 內我 삼니 我見 주018)
아견:
보통 ‘나’라고 함은 5온(蘊)이 화합한 것으로서 참으로 ‘나’라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는 줄 잘못 아는 견해.
의 攝혼 배니 〈攝은 모도자씨라 주019)
모도자씨라:
모아 잡는 것이다.
그럴 일후믈 藏이라 니라 이  젼로 두 가짓 我見을 기리 位 니르왇디 주020)
니르왇디:
일으키지.
아니면 賴耶ㅅ 일후믈 일흐리라 주021)
일흐리라:
잃을 것이다.
 能히 제

월인석보 11:64ㄱ

體 諸法 中에 갈며 주022)
갈며:
갈무리하며. 감추며. 「갊-」.
 能히 諸法을 제 體ㅅ 內예 갊니 주023)
갊니:
갈무리하니.
論애 닐오 能藏 주024)
능장:
온갖 만법을 낳는 종자를 능히 간직하는 것.
所藏 주025)
소장:
만유가 개발하는 원인이 되는 종자가 전7식에 의해 훈장(熏藏)된다는 뜻.
과 我愛執藏 주026)
집장:
제8식이 항상 끊임없이 상속하여 중생의 주체가 되므로 제7말나식이 이를 잘못 알고 참으로 ‘내’가 있는 줄로 집착하는 것.
이라 니 이 니니 이 들 브터 일후믈 지니라 주027)
지니라:
붙인 것이다. 지은 것이다.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일월등명불의 법화경 설법 인연 14]
≪이름이 아리야식이다.⋘이는 생멸 불생멸에 나아가면 뜻이 하나〈가〉 아니고, 가리건대 마음이 다르지 아니하니, 이 두 뜻에 둘 아닌 마음을 잡아 이름을 아리야식이라〈고〉 한 것이다. 진제 3장무몰식이라〈고〉 하며 〈현〉장법사가 장식이라 하니, 「장」은 걷어잡아 감추는(감춘다는) 뜻이고, 무몰은 잃지 아니하는 뜻이니, 뜻이 한가지로되, 이름이 다른 것이다. 걷어잡는 것을 「장」이라〈고〉 하는 것은 중생들이 가지고 나를 삼는 까닭이니, 그러한 것은 진심이 스스로의 「성」을 지키지 못하여 「훈」을 따라서 화합하여 「일」과 비슷하며 「상」과 비슷하므로 어리석은 사람들이 비슷한 것으로 「실」을 삼고 잡아서 내아를 삼으니, 아견이 「섭」한 바이니 〈「섭」은 모아 잡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름을 「장」이라〈고〉 한 것이다. 이〈런〉 뜻〈인〉 까닭으로 두 가지 아견을 길이 「위」를 일으키지 아니하면 〈아〉뢰야의 이름을 잃을 것이다. 또 능히 스스로의 「체」를 제법 중에 갈무리하며, 또 능히 제법을 스스로의 「체」 안에 갈무리하니, 「논」에 이르되, ‘능장소장과 아애 집장이다.’〈고〉 한 것이, 이를 이르니 이는 뜻을 의지하여 이름을 붙인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가면:나아가면.
주002)
아니오:아니고.
주003)
언댄:가리건대. 「-」[釋].
주004)
데:뜻에.
주005)
진제 삼장:서인도 사람. 양(梁)나라 때 중국에 와서 금광명경 등 많은 불경을 번역함.
주006)
무몰식:아뢰야식.
주007)
장법사:현장법사. 중국 당나라 스님. 대반야경 등 많은 불경을 번역했음.
주008)
거두자바:걷어잡아. 다잡아.
주009)
초:간직하는. 감추는. 「초-」.
주010)
디오:뜻이고.
주011)
가지로:한가지로되.
주012)
삼논:삼는.
주013)
젼니:까닭이니.
주014)
그러호:그러함은.
주015)
제:자기의. 스스로의. 「저+/의」.
주016)
즛며:비슷하며.
주017)
어린:어리석은.
주018)
아견:보통 ‘나’라고 함은 5온(蘊)이 화합한 것으로서 참으로 ‘나’라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는 줄 잘못 아는 견해.
주019)
모도자씨라:모아 잡는 것이다.
주020)
니르왇디:일으키지.
주021)
일흐리라:잃을 것이다.
주022)
갈며:갈무리하며. 감추며. 「갊-」.
주023)
갊니:갈무리하니.
주024)
능장:온갖 만법을 낳는 종자를 능히 간직하는 것.
주025)
소장:만유가 개발하는 원인이 되는 종자가 전7식에 의해 훈장(熏藏)된다는 뜻.
주026)
집장:제8식이 항상 끊임없이 상속하여 중생의 주체가 되므로 제7말나식이 이를 잘못 알고 참으로 ‘내’가 있는 줄로 집착하는 것.
주027)
지니라:붙인 것이다. 지은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