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1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1
  • 사리불이 묘법의 설법을 청함
  • 사리불이 묘법의 설법을 청함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불이 묘법의 설법을 청함 4


[사리불이 묘법의 설법을 청함 4]
舍利弗이 다시  주001)
:
사뢰되.
世尊하 願

월인석보 11:107ㄱ

니르쇼셔 願 니르쇼셔 모 주002)
모:
모인.
中에 우리  가짓 百千萬億이 世世예 마 부텨졷 주003)
졷:
좇자와. 따라. 객체인 「부텨」를 높이기 위해 「--」이 쓰임.
敎化 受 주004)
-:
-하와. 하여.
잇니 이  사히 반기 能히 恭敬야 信 바 주005)
바:
밤에.
便安야 饒益 주006)
요익:
재물이 넉넉하고 많음.
호미 만리다 주007)
만리다:
많을 것입니다.
그

월인석보 11:107ㄴ

舍利弗려 니샤 네 브즈러니 세 버늘 請거니 어드리 주008)
어드리:
어찌.
아니 니르료 주009)
니르료:
이르랴?
네 차려 드러 이대 주010)
이대:
잘.
思念 주011)
사념:
사려. 여러 가지 일에 대한 생각과 근심.
라 주012)
내:
내가.
너 爲야 야 주013)
야:
가리어. 「-/-」.
닐오리라 주014)
닐오리라:
이르리라. 「니-+오/우+리라」 「-오-」 1인칭 활용.
이 말 니르실 쩌긔 주015)
니르실 쩌긔:
이르실 적에. 「니-/니르-」.
모 中에 比丘 比丘尼 優婆塞 優婆夷 五千 사미

월인석보 11:108ㄱ

로셔 주016)
-로셔:
-에서.
니러 부텻禮數 주017)
예수:
예배.
고 믈러나니 엇뎨어뇨 란 무리 주018)
무리:
무리가. 「물」[群].
罪根 주019)
죄근:
죄악의 근본. 무명 번뇌.
이 깁고 增上慢야 몯 得혼 이 得호라 너기며 몯 證혼 이 證호라 너겨 이런 허므리 주020)
허므리:
허물이.
이실 잇디 몯거늘 世尊이 샤 말이디 주021)
말이디:
말리지.
아니시니라
부톄 니디 주022)
니디:
이르지.
아니샤 주023)
샤:
하심은. 하신 것은.
무 주024)
무를:
무리를. 「물」[群].

월인석보 11:108ㄴ

실 增上慢히 果然 믈러나니 그러나 靈山 노 주025)
노:
높은.
會集에 엇뎨 凡材 이시리오 주026)
이시리오:
있으리오. 있겠는가?
큰 權이 자최 주027)
자최:
자취를.
뵈야 주028)
뵈야:
보이어.
末世 주029)
말세:
사람들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조악이 성행하는 시대.
 주030)
:
배울.
사 警戒야 나니라 주031)
나니라:
나아 오게 한 것이다. 「나-」.
材 주032)
:
쓸. 「-+오/우+을」.
남기니 주033)
남기니:
나무이니. 「나모/」.
根機 주034)
근기:
교법을 듣고 닦아 증하여 얻는 신통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성능.
라 호미 가지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사리불이 묘법의 설법을 청함 4]
사리불이 다시 사뢰되,
세존이시여, 원하건대 이르소서. 원하건대 이르소서. 이 모인 가운데 우리가 한 가지 백천만억이 세세에 이미 부처님을 좇자와 교화를 얻고 있으니, 이와 같은 사람들이 반드시 능히 공경하여 믿어서 긴 밤에 편안하여 요익함이 많을 것입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사리불더러 이르시되,
“네가 부지런히 세 번을 청하거니, 어찌 이르지 아니하라? 너는 〈정신〉 차려 듣고 잘 사념하라. 내가 너를 위하여 가려서 이르리라.”
이 말씀 이르실 적에 모인 가운데 비구·비구니·우바새·무바이 〈등〉 오천 사람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예배하옵고 물러나니, 어째서냐 하면, 이 무리가 죄근이 깊고 증상만하여 얻지 못한 일을 얻었다〈고〉 여기며, 「증」하지 못한 일을 「증」했다〈고〉 여겨 이런 허물이 있으므로 〈이 자리에〉 있지 못하거늘, 세존께서 잠잠하여 말리지 아니하신 것이다.부처님이 이르지 아니하신 것은 이 무리를 위하시〈ㄴ것이〉므로 증상만들이 과연 물러나니, 그러나 영산의 높은 모임에 어찌 범재가 있겠는가? 큰 「권」이 자취를 보 말세의 배울 사람〈들〉을 경계하여 나아오게 한 것이다. 「재」는 쓸 나무이니, 근기라 함과 한가지다.】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뢰되.
주002)
모:모인.
주003)
졷:좇자와. 따라. 객체인 「부텨」를 높이기 위해 「--」이 쓰임.
주004)
-:-하와. 하여.
주005)
바:밤에.
주006)
요익:재물이 넉넉하고 많음.
주007)
만리다:많을 것입니다.
주008)
어드리:어찌.
주009)
니르료:이르랴?
주010)
이대:잘.
주011)
사념:사려. 여러 가지 일에 대한 생각과 근심.
주012)
내:내가.
주013)
야:가리어. 「-/-」.
주014)
닐오리라:이르리라. 「니-+오/우+리라」 「-오-」 1인칭 활용.
주015)
니르실 쩌긔:이르실 적에. 「니-/니르-」.
주016)
-로셔:-에서.
주017)
예수:예배.
주018)
무리:무리가. 「물」[群].
주019)
죄근:죄악의 근본. 무명 번뇌.
주020)
허므리:허물이.
주021)
말이디:말리지.
주022)
니디:이르지.
주023)
샤:하심은. 하신 것은.
주024)
무를:무리를. 「물」[群].
주025)
노:높은.
주026)
이시리오:있으리오. 있겠는가?
주027)
자최:자취를.
주028)
뵈야:보이어.
주029)
말세:사람들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가지 조악이 성행하는 시대.
주030)
:배울.
주031)
나니라:나아 오게 한 것이다. 「나-」.
주032)
:쓸. 「-+오/우+을」.
주033)
남기니:나무이니. 「나모/」.
주034)
근기:교법을 듣고 닦아 증하여 얻는 신통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성능.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