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효립수성(孝立守城)
메뉴닫기 메뉴열기

효립수성(孝立守城)


1:19ㄱ

孝立守城

1:19ㄴ

曹孝立高麗高宗時人以文學 주001)
문학(文學):
고려 시대에, 동궁에서 세자에게 글을 가르치는 일을 맡아보던 정육품 벼슬.
春州 주002)
춘주(春州):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
蒙兵圍城數重累日攻之城中井泉皆竭刺牛馬血飮之孝立知城不守與妻赴火死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조효립 주003)
조효립(曹孝立):
고려 고종 40년(1253) 춘주(春州)의 문학(文學)으로 있었던 사람.
은 고려 고종 주004)
고종(高宗):
고려 제23대 임금(재위 1213~1259), 이름은 철(鐵)이고, 시호는 안효(安孝)이다. 강종(康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이고,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이다. 1212년(강종1) 태자에 책봉되었고,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최씨(崔氏)의 무단정치(武斷政治)로 실권을 잡지 못하다가 1258년 최의(崔誼)가 살해되자 정권을 도로 찾았다. 재위 기간에 거란, 몽고 등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많은 고통을 받았다.
적 사이라 문으로 츈예 이셔 몽병 주005)
몽병(蒙兵):
몽고 병사.
이 셩을 기 주006)
기:
-[圍] + -앗-(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기(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포위하기를. 선어말 어미 ‘-앗-’이 받침 ㅅ, ㄷ의 혼기로 ‘-앋-’이 되었다.
두어 주007)
두어:
두어[二三]. 15세기에는 ‘두’로 표기되었다.
주008)
:
벌. 겹[重].
을 야 여러 날 티니 셩 안히 주009)
셩 안히:
셩(城) + 안ㅎ[內] + -이(주격 조사). 성 안이. 성내(城內)가.
주010)
:
샘[泉].
이 다 라 주011)
라:
-[竭] + -아(연결 어미). 말라. 어간 ‘-’에 모음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ㄹ-’로 교체된다.
쇼  주012)
쇼 :
소[牛]와 말[馬].
피 러 주013)
러:
-[刺] + -어(연결 어미). 찔러. 15세기에는 ‘디르다’로 사용되다가 그 후에 경음화가 일어나 ‘다’로 되었다. 한편에선 경음화 이전의 형태도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듸여 스스로 멱 디되 오히려 죽디 아녇더니(충신도 1 : 55ㄴ).
마시더라 효립이 셩을 디킈디 주014)
디킈디:
지키지[守].
몯 줄 알고 안해 주015)
안해:
아내[妻].
로 더브러 블의 주016)
블의:
블[火] + -의(처격 조사). 불 속에.
드러 주그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효립수성 - 조효립이 성을 지키다
조효립(曹孝立)은 고려 제23대 고종 때의 사람이다. 문학(文學) 벼슬을 하면서 춘주(春州)에 있었는데, 몽고의 군대가 성을 몇 겹으로 포위하여 여러 날을 공격하므로 성 안의 샘이 모두 말라서 소와 말을 잡아 그 피를 마셨다. 조효립은 성을 지키는 것이 불가능할 줄 알고 아내와 함께 불 속에 뛰어들어 죽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문학(文學):고려 시대에, 동궁에서 세자에게 글을 가르치는 일을 맡아보던 정육품 벼슬.
주002)
춘주(春州):지금의 강원도 춘천시.
주003)
조효립(曹孝立):고려 고종 40년(1253) 춘주(春州)의 문학(文學)으로 있었던 사람.
주004)
고종(高宗):고려 제23대 임금(재위 1213~1259), 이름은 철(鐵)이고, 시호는 안효(安孝)이다. 강종(康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이고,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이다. 1212년(강종1) 태자에 책봉되었고,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최씨(崔氏)의 무단정치(武斷政治)로 실권을 잡지 못하다가 1258년 최의(崔誼)가 살해되자 정권을 도로 찾았다. 재위 기간에 거란, 몽고 등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많은 고통을 받았다.
주005)
몽병(蒙兵):몽고 병사.
주006)
기:-[圍] + -앗-(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 + -기(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포위하기를. 선어말 어미 ‘-앗-’이 받침 ㅅ, ㄷ의 혼기로 ‘-앋-’이 되었다.
주007)
두어:두어[二三]. 15세기에는 ‘두’로 표기되었다.
주008)
:벌. 겹[重].
주009)
셩 안히:셩(城) + 안ㅎ[內] + -이(주격 조사). 성 안이. 성내(城內)가.
주010)
:샘[泉].
주011)
라:-[竭] + -아(연결 어미). 말라. 어간 ‘-’에 모음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ㄹ-’로 교체된다.
주012)
쇼 :소[牛]와 말[馬].
주013)
러:-[刺] + -어(연결 어미). 찔러. 15세기에는 ‘디르다’로 사용되다가 그 후에 경음화가 일어나 ‘다’로 되었다. 한편에선 경음화 이전의 형태도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듸여 스스로 멱 디되 오히려 죽디 아녇더니(충신도 1 : 55ㄴ).
주014)
디킈디:지키지[守].
주015)
안해:아내[妻].
주016)
블의:블[火] + -의(처격 조사). 불 속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