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보준투애(甫俊投崖)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준투애(甫俊投崖)


1:17ㄱ

甫俊投崖

1:17ㄴ

高甫俊 주001)
고보준(高甫俊):
(?~1126(인종 4)) 고려 중기의 충신.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이 척준경(拓俊京)과 더불어 정권을 마음대로 하므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지녹연(智祿延)이 상장군 오탁(吳卓)과 보준의 형 대장군 석(碩)과 함께 이자겸 일파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였다.
高麗仁宗時人李資謙謀不軌使其黨朴永追捕甫俊甫俊登高岩罵永曰資謙等擅權將覆社稷 주002)
사직(社稷):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汝輩皆謟事之曾奴隷之不若義士豈死於汝庸奴手乎乃呼天投岩下而死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고보쥰은 고려 인종 적 주003)
인종 적:
인종(仁宗) 때.
사이라 니겸이 반호믈 주004)
반호믈:
반-[叛] + -오-(삽입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반역하기를. 삽입모음 ‘-오’의 모습이 아직 남아 있다.
야 주005)
야:
모의(謀議)하여.
주006)
당(黨):
어떤 목적을 가지고 여럿이 이룬 무리.
박영 주007)
박영(朴永):
고려 시대 반란을 일으킨 이자겸 일당의 한 사람.
이로 여곰 보쥰이 와 주008)
와:
오-[追] + -아(연결 어미). 따라. 뒤를 밟아.
자브라 주009)
자브라:
잡으라[捕].
니 보쥰이 노픈 주010)
노픈:
높은[高].
바회 주011)
바회:
바위[岩].
예 올라 영이 지저 주012)
지저:
꾸짖어[罵].
오 겸 등이 주013)
권:
권세(權勢).
쳔 주014)
천자(擅恣):
조금도 꺼림이 없이 제 마음대로 함.
야 쟝 주015)
쟝:
장차(將次). 받침에 쓰인 ㅅㆍㄷ의 혼기(混記)로 문헌 전체에 ‘쟝’과 ‘쟝’이 공존하고 있다.
샤직을 업디려 주016)
업디려:
업디-[覆] + -려(의도법 어미). 엎지르려. 뒤엎으려.
거 너의 물이 주017)
물이:
물[輩] + -이(주격 조사). 무리가.
아당야 주018)
아당야:
아첨하여[諂].
셤기니 일즉 주019)
죵:
종[奴]. 노예.
만도 디 주020)
디:
-[如] + -디(보조적 연결 어미). 같지. ‘디’는 또한 ‘디’의 축약형일 수도 있다.
몯니 의 주021)
의:
의(義士) + -ㅣ(주격 조사). 의사(의로운 사람)가.
얻디 주022)
얻디:
어찌[豈]. 원래 ‘엇디’인데 받침에서 ㅅ과 ㄷ이 혼용됨으로 해서 ‘얻디’가 되었다.
사오나온 주023)
사오나온:
사오납-[庸, 歹] + -(관형사형 어미). 나쁜. 못난. 악덕한.
노믜 주024)
노믜:
놈[者]의.
손의 주그리오 이예 하 주025)
하:
하늘을.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블으고 주026)
블으고:
브르-[呼] + -고(대등적 연결 어미). 부르고. 부르짖고. ‘블으다’는 ‘브르다’의 과잉 분철형이다.
바회 아래 려뎌 주027)
려뎌:
리-[降] + -어(연결 어미) + 디-[落] + -어(연결 어미). 내려져. 떨어져.
주그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보준투애 - 고보준이 낭떠러지로 몸을 던지다
고보준(高甫俊)은 고려 제17대 인종 때의 사람이다. 이자겸(李資謙)이 역모(逆謀)를 꾀하여 그 일당인 박영(朴永)으로 하여금 고보준을 추적해서 체포하게 하였다. 그러자 고보준은 높은 바위에 올라 박영에게 꾸짖어 이르기를, “이자겸 등이 권세를 제 마음대로 부려 장차 나라를 뒤엎으려 하고 있다. 이에 너희 무리들은 다 아첨하여 〈그놈들을〉 섬기므로 일찍이 노예만도 못하니 의로운 사람으로서 어찌 너희 악덕한 놈들의 손에 죽겠는가?”라 하고는, 이내 하늘을 향해 부르짖으며 바위 아래로 몸을 던져 죽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보준(高甫俊):(?~1126(인종 4)) 고려 중기의 충신. 인종 때 이자겸(李資謙)이 척준경(拓俊京)과 더불어 정권을 마음대로 하므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지녹연(智祿延)이 상장군 오탁(吳卓)과 보준의 형 대장군 석(碩)과 함께 이자겸 일파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였다.
주002)
사직(社稷):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주003)
인종 적:인종(仁宗) 때.
주004)
반호믈:반-[叛] + -오-(삽입모음) + -ㅁ(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반역하기를. 삽입모음 ‘-오’의 모습이 아직 남아 있다.
주005)
야:모의(謀議)하여.
주006)
당(黨):어떤 목적을 가지고 여럿이 이룬 무리.
주007)
박영(朴永):고려 시대 반란을 일으킨 이자겸 일당의 한 사람.
주008)
와:오-[追] + -아(연결 어미). 따라. 뒤를 밟아.
주009)
자브라:잡으라[捕].
주010)
노픈:높은[高].
주011)
바회:바위[岩].
주012)
지저:꾸짖어[罵].
주013)
권:권세(權勢).
주014)
천자(擅恣):조금도 꺼림이 없이 제 마음대로 함.
주015)
쟝:장차(將次). 받침에 쓰인 ㅅㆍㄷ의 혼기(混記)로 문헌 전체에 ‘쟝’과 ‘쟝’이 공존하고 있다.
주016)
업디려:업디-[覆] + -려(의도법 어미). 엎지르려. 뒤엎으려.
주017)
물이:물[輩] + -이(주격 조사). 무리가.
주018)
아당야:아첨하여[諂].
주019)
죵:종[奴]. 노예.
주020)
디:-[如] + -디(보조적 연결 어미). 같지. ‘디’는 또한 ‘디’의 축약형일 수도 있다.
주021)
의:의(義士) + -ㅣ(주격 조사). 의사(의로운 사람)가.
주022)
얻디:어찌[豈]. 원래 ‘엇디’인데 받침에서 ㅅ과 ㄷ이 혼용됨으로 해서 ‘얻디’가 되었다.
주023)
사오나온:사오납-[庸, 歹] + -(관형사형 어미). 나쁜. 못난. 악덕한.
주024)
노믜:놈[者]의.
주025)
하:하늘을. ‘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주026)
블으고:브르-[呼] + -고(대등적 연결 어미). 부르고. 부르짖고. ‘블으다’는 ‘브르다’의 과잉 분철형이다.
주027)
려뎌:리-[降] + -어(연결 어미) + 디-[落] + -어(연결 어미). 내려져. 떨어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