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

  •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3집(충신도 권1)
  • 동국신속삼강행실 충신도 제1권 주해
  • 충신도 제1권
  • 숭겸장절(崇謙壯節)
메뉴닫기 메뉴열기

숭겸장절(崇謙壯節)


1:15ㄱ

崇謙壯節

1:15ㄴ

申崇謙 주001)
신숭겸(申崇謙):
(?~927) 평산 신씨(平山申氏)의 고려 초 무신. 궁예를 폐하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개국의 대업을 이루고, 공산(公山)에서 견훤의 군대에 태조가 포위되자 그를 구하고 전사함으로써 개국 일등공신이 되었다. 곡성현(谷城縣) 출신으로 유망(流亡) 농민이 되어 떠돌다가 광해주(光海州 :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에 들어가서 잠시 살았는데, 그의 묘가 이곳에 있다. 이후 태조에게 토지 3백결을 받고 평산(平山 : 지금의 황해북도 평산군)을 관향으로 삼았다.
春川 주002)
춘천(春川):
지명. 현재 강원도의 도청 소재지임.
府人初名能山 주003)
능산(能山):
신숭겸의 원래 이름.
長有武勇與裴玄慶 주004)
배현경(裴玄慶):
아명은 백옥(白玉). 궁예(弓裔)의 장군인데, 918년 다른 장군과 의논하여 고려 태조에게 귀부(歸附)하였다.
推戴 주005)
추대(推戴):
윗사람으로 떠받듦.
高麗太祖賜一等功臣號太祖與後百濟 주006)
후백제(後百濟):
후삼국 시대의 왕조국가. 892년(견훤 1) 견훤(甄萱)에 의해 건국되어 936년 9월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게 멸망당할 때까지 2대 45년간 존속하면서 신라ㆍ태봉ㆍ고려 등과 정립하였다.
甄萱戰於公山 주007)
공산(公山):
지금의 대구 팔공산(八公山).
桐藪不利萱兵圍太祖甚急崇謙力戰死太祖哀之諡壯節後配享 주008)
배향(配享):
공신(功臣)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太祖廟庭 주009)
묘정(廟庭):
조종(祖宗)의 영(靈)을 모신 곳. 조정(朝廷)ㆍ종묘(宗廟)와 명당(明堂)에서 온 말이다.
Ⓒ 편찬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신겸은 츈쳔부 사이니 처암 주010)
처암:
처음. 중세 국어에서는 ‘처’으로 사용되었고, 이 문헌에는 ‘처엄’이 주로 사용되었다.
일홈은 산이라 커셔 주011)
커셔:
크-[大] + -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장대(壯大)하여.
라고 주012)
라고:
날래고. 민첩하고. 15세기에는 ‘나다’로 나타난다.
긔 주013)
긔:
용기(勇氣).
잇더니 현 으로 더브러 고려 태조 주014)
태조:
태조(太祖. 왕건)를. 이 문헌에는 목적격 조사 ‘-’을 ‘-’로 표기한 예가 빈번하다.
츄여 일 신 일홈 주015)
일홈:
이름[名]. 15세기에는 ‘일훔’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문헌에도 ‘일훔’의 형태가 등장한다. ¶내 아비 나 듁듁으로 일훔호(충신도 1 : 9ㄴ).
을 주시니라 태조 후졔 견훤 주016)
견훤(甄萱):
(867~936. 재위 900~935) 후백제의 초대 임금. 전주 견씨의 시조이고, 본성은 이(李)이며, 아자개(阿慈介)의 아들이다. 신라에서 태어나 서남해 지방 방위에 공을 세워 비장(裨將)이 되었는데, 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892년(진성여왕 6) 반기를 들고 일어나 여러 성을 공략하고, 무진주(광주)를 점령하여 독자적인 기반을 닦았다. 900년(효공왕 4) 완산주(전주)에 입성하여 나라 이름을 후백제라 하고 정치 체제를 갖추었다. 나중에 고려 왕건에게 투항하여 상부(尙父) 칭호와 양주를 식읍으로 받았다.
으로 더브러 산 머귀나모 주017)
머귀나모:
오동나무.
수헤 주018)
수헤:
수ㅎ[林] + -에(처격 조사). 숲에. ‘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叢林 모다 난 수히오(월인석보 10 : 69ㄱ).
가 싸화 니티 주019)
니티:
니-[利]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유리(有利)하지.
몯여 주020)
몯여:
못하여. 이 문헌에는 ‘-다’류 용언에서 어간 말음절 ‘--’가 연결 어미 ‘-여’ 앞에서 ‘--’로 변이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츄여(충신도 1 : 15ㄴ). 년여(충신도 1 : 16ㄴ. 효자도 6 : 40ㄴ). 탄여(충신도 1 : 16ㄴ).
견훤이 태조 기 주021)
기:
-[圍] + -기(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둘러싸기를. 포위하기를.
 주022)
:
가장[最]. 매우.
급히 주023)
급히:
위급(危急)하게.
매 겸이 싸화 죽거 태죄 주024)
태죄:
태조(太祖) + -ㅣ(주격 조사). 태조가.
슬허 주025)
슬허:
슳-[哀] + -어(연결 어미). 슬퍼.
시고 시호 주026)
시호(諡號):
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들이 죽은 후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
 졀이라 엿더니 후에 태조 묘에 니라
Ⓒ 언해 | 이성 / 1617년(광해군 9)

숭겸장절 - 신숭겸의 장렬한 절의(節義)
신숭겸은 춘천부(春川府) 사람으로서 처음 이름은 능산(能山)이다. 몸집이 장대하고 민첩하며 용기가 있었다. 배현경(裴玄慶) 등과 더불어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 태조(왕건)를 추대하니 일등공신의 이름을 내리셨다. 태조가 〈공격해 오는〉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맞아 대구의 공산(公山) 오동나무 숲으로 가서 싸웠다. 전세가 불리하게 되어 견훤이 태조를 포위함으로써 〈태조가〉 매우 위급하게 되었을 때, 신숭겸이 맞아 싸우다가 전사하므로, 태조가 슬퍼하시고 시호를 장절(壯節)이라 하였으며, 그 후 태조 사당에 배향하였다.
Ⓒ 역자 | 김문웅 / 2015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숭겸(申崇謙):(?~927) 평산 신씨(平山申氏)의 고려 초 무신. 궁예를 폐하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개국의 대업을 이루고, 공산(公山)에서 견훤의 군대에 태조가 포위되자 그를 구하고 전사함으로써 개국 일등공신이 되었다. 곡성현(谷城縣) 출신으로 유망(流亡) 농민이 되어 떠돌다가 광해주(光海州 : 지금의 강원도 춘천시)에 들어가서 잠시 살았는데, 그의 묘가 이곳에 있다. 이후 태조에게 토지 3백결을 받고 평산(平山 : 지금의 황해북도 평산군)을 관향으로 삼았다.
주002)
춘천(春川):지명. 현재 강원도의 도청 소재지임.
주003)
능산(能山):신숭겸의 원래 이름.
주004)
배현경(裴玄慶):아명은 백옥(白玉). 궁예(弓裔)의 장군인데, 918년 다른 장군과 의논하여 고려 태조에게 귀부(歸附)하였다.
주005)
추대(推戴):윗사람으로 떠받듦.
주006)
후백제(後百濟):후삼국 시대의 왕조국가. 892년(견훤 1) 견훤(甄萱)에 의해 건국되어 936년 9월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게 멸망당할 때까지 2대 45년간 존속하면서 신라ㆍ태봉ㆍ고려 등과 정립하였다.
주007)
공산(公山):지금의 대구 팔공산(八公山).
주008)
배향(配享):공신(功臣)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주009)
묘정(廟庭):조종(祖宗)의 영(靈)을 모신 곳. 조정(朝廷)ㆍ종묘(宗廟)와 명당(明堂)에서 온 말이다.
주010)
처암:처음. 중세 국어에서는 ‘처’으로 사용되었고, 이 문헌에는 ‘처엄’이 주로 사용되었다.
주011)
커셔:크-[大] + -어셔(종속적 연결 어미). 장대(壯大)하여.
주012)
라고:날래고. 민첩하고. 15세기에는 ‘나다’로 나타난다.
주013)
긔:용기(勇氣).
주014)
태조:태조(太祖. 왕건)를. 이 문헌에는 목적격 조사 ‘-’을 ‘-’로 표기한 예가 빈번하다.
주015)
일홈:이름[名]. 15세기에는 ‘일훔’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문헌에도 ‘일훔’의 형태가 등장한다. ¶내 아비 나 듁듁으로 일훔호(충신도 1 : 9ㄴ).
주016)
견훤(甄萱):(867~936. 재위 900~935) 후백제의 초대 임금. 전주 견씨의 시조이고, 본성은 이(李)이며, 아자개(阿慈介)의 아들이다. 신라에서 태어나 서남해 지방 방위에 공을 세워 비장(裨將)이 되었는데, 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892년(진성여왕 6) 반기를 들고 일어나 여러 성을 공략하고, 무진주(광주)를 점령하여 독자적인 기반을 닦았다. 900년(효공왕 4) 완산주(전주)에 입성하여 나라 이름을 후백제라 하고 정치 체제를 갖추었다. 나중에 고려 왕건에게 투항하여 상부(尙父) 칭호와 양주를 식읍으로 받았다.
주017)
머귀나모:오동나무.
주018)
수헤:수ㅎ[林] + -에(처격 조사). 숲에. ‘수ㅎ’은 ㅎ종성 체언이다. ¶叢林 모다 난 수히오(월인석보 10 : 69ㄱ).
주019)
니티:니-[利] + -디(보조적 연결 어미). 유리(有利)하지.
주020)
몯여:못하여. 이 문헌에는 ‘-다’류 용언에서 어간 말음절 ‘--’가 연결 어미 ‘-여’ 앞에서 ‘--’로 변이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츄여(충신도 1 : 15ㄴ). 년여(충신도 1 : 16ㄴ. 효자도 6 : 40ㄴ). 탄여(충신도 1 : 16ㄴ).
주021)
기:-[圍] + -기(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둘러싸기를. 포위하기를.
주022)
:가장[最]. 매우.
주023)
급히:위급(危急)하게.
주024)
태죄:태조(太祖) + -ㅣ(주격 조사). 태조가.
주025)
슬허:슳-[哀] + -어(연결 어미). 슬퍼.
주026)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들이 죽은 후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