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

  • 역주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
  • 몽산화상육도보설
  • 육도보설 056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도보설 056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32ㄱ

眞空 不空이오 妙有 不有ㅣ니 方隅로 不可定其居며 劫數로 不可窮其壽이니라 到這裏야 何處에 有諸惡道이며 那討生死輪回이며 焉得飢渴及種種苦惱이리오
Ⓒ 구결 | 순창 취암사 / 1567년(선조 즉위년) 월 일

眞진空 주001)
진공(眞空):
진실한 공(空). 비공(非空)의 공(空)을 가리킴. 묘유(妙有)와 동의어.
 虛허 宛완空 주002)
완공(宛空):
진실한 공(空)이 아닌 공(空). ‘묘유(妙有)’에 대한 ‘망유(妄有)’처럼 ‘진공(眞空)’에 대해 ‘완공(宛空)’으로 대립되는 단어로 제시되었다.
아니오 주003)
아니오:
아니고. 아니+Ø(서술격)+오(연결어미). ‘-오’는 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이-’ 아래서 ‘-고→오’로 약화된 것이다.
妙묘有유 주004)
묘유(妙有):
‘진공(眞空)’과 대응되는 말로, “참된 공(空)의 이해를 통하여 드러나는 세계.”
世셰間간내 주005)
세간(世間)내:
세간에. 세상에. ‘내’는 ‘間간’의 말음 ‘ㄴ’을 뒤에 오는 격조사 ‘애’의 초성에 반영한 중철표기.
妄有유 주006)
망유(妄有):
허망한 유(有). 즉 ‘묘유(妙有)’에 대한 상대어.
이 아니라 東西셔南남北븍 네 모로도 주007)
모로도:
방위로도. 모로도. 공간의 구석이나 모퉁이. 모ㅎ[方](ㅎ 말음체언)+로(도구의 부사격조사)+도(첨가의 보조사). ¶方 모 〈석봉천자문 7ㄱ〉. 四方애 네 모히 조〈석보상절 19:13ㄱ〉.
그 사 一일定 몯며 주008)
일정(一定) 몯며:
‘一定디 몯하며’에서 ‘디’가 생략된 표기. 바로 뒤에 대구로 나오는 ‘혜아리디 몯리로다’ 참조.
劫겁數수 주009)
겁수(劫數):
겁(劫)을 나타낸 수(數). 겁(劫)은 산스크리트어 kalpa의 음역어로 장시(長時), 대시(大時) 등으로 번역한다. 통상적인 시간의 단위로 잴 수 없을 만큼 매우 길고 긴 세월을 가리키는 말이다. 갈랍파(羯臘波)는 동의어이며 겁파(劫波)는 원어이다.
로도 그 목수믈 혜아리디 주010)
혜아리디:
헤아리지. 혜아리-[量]+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로다 이 고대 주011)
고대:
곳에. 곧[處]+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처소부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에, 애, 예’가 쓰였으나 ‘의, ’로도 쓰였는데 주로 신체, 방위, 지리, 천문, 식물, 가옥, 가구 등을 지칭하는 100개 정도의 특수 체언은 관형격(속격)조사로도 쓰이는 ‘/의’를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취하였다. ①  : 낮, 밤, , 나조ㅎ, 새박[曉] 등. ② 의 : 집, , 우ㅎ, 녁, 밑, 곁,  등.
다라 주012)
다라:
다다라서는. 다-[到]+아(어미)+(보조사).
어느 고대 모 惡악道도이 이시며 엇뎨 生死輪륜回회 주013)
생사윤회(生死輪回):
생(生)과 사(死)를 거듭 하는 윤회. 윤회는 끊임없는 흐름으로 중생이 미혹의 세계에 태어나서 죽기를 바퀴가 계속 굴러가는 것처럼 반복하는 것. 3계(界), 6도(道)의 세계에서 생사를 반복하는 것.
며 주014)
며:
찾으며. -[尋]+며(연결어미). ‘다’는 보통 ‘尋’에 대한 번역어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討’에 대한 번역어로 쓰였음.
엇뎨 주륨과 주015)
주륨과:
주림과. 굶주림과. 주리-[飢]+움(명사형어미)+과(공동격조사).
목옴(롬)과 주016)
목옴과:
목마름과. 구결문 ‘飢渴’에서 ‘渴’에 대한 번역. 15,16세기 관판문헌에 나타난 용례에 의하면 ‘목롬과’ 정도가 기대되나 ‘목옴과’로 반영돼 있다. 목-[渴]+옴(명사형어미)+과(공동격조사). ¶ 골폼과 목롬과〈월인석보 2:42ㄴ〉.  골코 라도 모고〈1545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16ㄱ〉.
 種種 苦고惱노 어드리오 주017)
어드리오:
얻으리오. 얻겠는가. 찾겠는가. 얻-[得]+으리+오(설명 의문의 종결어미). ‘오’는 설명 의문문의 종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이-’아래서 후음 ‘ㅇ’(오)로 약화된 형태.
Ⓒ 언해 | 순창 취암사 / 1567년(선조 즉위년) 월 일

진공(眞空)은 비어 있는 완전한 공(空)이 아니고, 묘유(妙有)는 세간(世間)에 있는 망유(妄有)가 아니다. 동서남북(東西南北)의 사방(四方)으로도 사는 데를 분명히 하지 못하며 겁수(劫數)로도 그 목숨을 헤아리지 못할 것이도다. 이곳에 다다라서는 어느 곳에든 모든 악도(惡道)가 있으며, 어찌 생사윤회(生死輪回)를 찾으며, 어찌 굶주림과 목마름과 또 가지가지 고뇌(苦惱)를 찾을 수 있겠는가?
Ⓒ 역자 | 정우영 / 2013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진공(眞空):진실한 공(空). 비공(非空)의 공(空)을 가리킴. 묘유(妙有)와 동의어.
주002)
완공(宛空): 진실한 공(空)이 아닌 공(空). ‘묘유(妙有)’에 대한 ‘망유(妄有)’처럼 ‘진공(眞空)’에 대해 ‘완공(宛空)’으로 대립되는 단어로 제시되었다.
주003)
아니오:아니고. 아니+Ø(서술격)+오(연결어미). ‘-오’는 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이-’ 아래서 ‘-고→오’로 약화된 것이다.
주004)
묘유(妙有):‘진공(眞空)’과 대응되는 말로, “참된 공(空)의 이해를 통하여 드러나는 세계.”
주005)
세간(世間)내:세간에. 세상에. ‘내’는 ‘間간’의 말음 ‘ㄴ’을 뒤에 오는 격조사 ‘애’의 초성에 반영한 중철표기.
주006)
망유(妄有):허망한 유(有). 즉 ‘묘유(妙有)’에 대한 상대어.
주007)
모로도:방위로도. 모로도. 공간의 구석이나 모퉁이. 모ㅎ[方](ㅎ 말음체언)+로(도구의 부사격조사)+도(첨가의 보조사). ¶方 모 〈석봉천자문 7ㄱ〉. 四方애 네 모히 조〈석보상절 19:13ㄱ〉.
주008)
일정(一定) 몯며:‘一定디 몯하며’에서 ‘디’가 생략된 표기. 바로 뒤에 대구로 나오는 ‘혜아리디 몯리로다’ 참조.
주009)
겁수(劫數):겁(劫)을 나타낸 수(數). 겁(劫)은 산스크리트어 kalpa의 음역어로 장시(長時), 대시(大時) 등으로 번역한다. 통상적인 시간의 단위로 잴 수 없을 만큼 매우 길고 긴 세월을 가리키는 말이다. 갈랍파(羯臘波)는 동의어이며 겁파(劫波)는 원어이다.
주010)
혜아리디:헤아리지. 혜아리-[量]+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1)
고대:곳에. 곧[處]+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처소부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에, 애, 예’가 쓰였으나 ‘의, ’로도 쓰였는데 주로 신체, 방위, 지리, 천문, 식물, 가옥, 가구 등을 지칭하는 100개 정도의 특수 체언은 관형격(속격)조사로도 쓰이는 ‘/의’를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취하였다. ①  : 낮, 밤, , 나조ㅎ, 새박[曉] 등. ② 의 : 집, , 우ㅎ, 녁, 밑, 곁,  등.
주012)
다라:다다라서는. 다-[到]+아(어미)+(보조사).
주013)
생사윤회(生死輪回):생(生)과 사(死)를 거듭 하는 윤회. 윤회는 끊임없는 흐름으로 중생이 미혹의 세계에 태어나서 죽기를 바퀴가 계속 굴러가는 것처럼 반복하는 것. 3계(界), 6도(道)의 세계에서 생사를 반복하는 것.
주014)
며:찾으며. -[尋]+며(연결어미). ‘다’는 보통 ‘尋’에 대한 번역어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討’에 대한 번역어로 쓰였음.
주015)
주륨과:주림과. 굶주림과. 주리-[飢]+움(명사형어미)+과(공동격조사).
주016)
목옴과:목마름과. 구결문 ‘飢渴’에서 ‘渴’에 대한 번역. 15,16세기 관판문헌에 나타난 용례에 의하면 ‘목롬과’ 정도가 기대되나 ‘목옴과’로 반영돼 있다. 목-[渴]+옴(명사형어미)+과(공동격조사). ¶ 골폼과 목롬과〈월인석보 2:42ㄴ〉.  골코 라도 모고〈1545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16ㄱ〉.
주017)
어드리오:얻으리오. 얻겠는가. 찾겠는가. 얻-[得]+으리+오(설명 의문의 종결어미). ‘오’는 설명 의문문의 종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이-’아래서 후음 ‘ㅇ’(오)로 약화된 형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