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

  • 역주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
  • 몽산화상육도보설
  • 육도보설 033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도보설 033


覺林菩薩云샤 주001)
운(云)샤:
이르시오되. 말씀하시되. 云+시(주체높임)+아(연결어미). ‘-오/우’(여기서는 ‘-아’)는 어떤 사실을 서술하면서 그와 관련된 조건을 뒤에 덧붙이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이다. ‘-오’는 모음으로 끝나는 1음절 어간과 결합하면 ‘오’가 실현되지 않고 대신 어간의 성조가 변동한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거성이므로 예를 들어 평성인 1음절 어간 ‘보-’와 ‘-오’가 결합하면 ‘:보(상성)’처럼 나타난다.
應觀法界 주002)
법계(法界):
dharma-dhātu. 달마타도(達磨馱都)라 음역. 3종의 뜻이 있다. 1. 계(界)는 인(因)이란 뜻, 법(法)은 성법(聖法)이니, 성법을 내는 원인이 되는 것. 곧 진여(眞如). 2. 계는 성(性)이란 뜻. 법은 일체 모든 법이니, 만유 제법의 체성이 되는 것. 곧 진여. 3. 계는 분제(分齊)란 뜻. 법은 모든 법이니 분제가 서로 같지 않은 모든 법의 모양. 곧 만유 제법을 포함하여 말한다.
性이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19ㄴ

一切唯心造인  라 시니라
Ⓒ 구결 | 순창 취암사 / 1567년(선조 즉위년) 월 일

이러 주003)
이러:
이렇기 때문에. 이러한 까닭에. 그러므로. 이러+ㄹ(이유의 연결어미).
覺각林님菩보薩살리 주004)
각림보살(覺林菩薩)리:
각림보살이. ‘각림(覺林)보살’은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숲속의 나무처럼 “깨달음을 얻은 여러 보살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래 한자음대로 표기한다면 ‘각림(覺林)’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강님]으로 발음할 것이므로, ‘ㄹ→ㄴ’규칙만 적용하여 [각님]으로 표기한 것이라 추정한다.
니샤 반기 법계이 일쳬 오직 로 진  주005)
진 :
짓는 것을. 짓-[造]+(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어간의 기본형태를 고려하면 ‘짓’이 일반적 표기이나, 비음화한 표면형을 그대로 표기에 반영해 [진]으로 적은 것이다.
보라 시니라
Ⓒ 언해 | 순창 취암사 / 1567년(선조 즉위년) 월 일

○이러한 까닭에 각림보살(覺林菩薩)이 이르시되, 반드시 법계성(法界性)이 모두 오직 마음으로 짓는 것을 보라고 하셨느니라.
Ⓒ 역자 | 정우영 / 2013년 11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운(云)샤:이르시오되. 말씀하시되. 云+시(주체높임)+아(연결어미). ‘-오/우’(여기서는 ‘-아’)는 어떤 사실을 서술하면서 그와 관련된 조건을 뒤에 덧붙이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이다. ‘-오’는 모음으로 끝나는 1음절 어간과 결합하면 ‘오’가 실현되지 않고 대신 어간의 성조가 변동한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거성이므로 예를 들어 평성인 1음절 어간 ‘보-’와 ‘-오’가 결합하면 ‘:보(상성)’처럼 나타난다.
주002)
법계(法界):dharma-dhātu. 달마타도(達磨馱都)라 음역. 3종의 뜻이 있다. 1. 계(界)는 인(因)이란 뜻, 법(法)은 성법(聖法)이니, 성법을 내는 원인이 되는 것. 곧 진여(眞如). 2. 계는 성(性)이란 뜻. 법은 일체 모든 법이니, 만유 제법의 체성이 되는 것. 곧 진여. 3. 계는 분제(分齊)란 뜻. 법은 모든 법이니 분제가 서로 같지 않은 모든 법의 모양. 곧 만유 제법을 포함하여 말한다.
주003)
이러:이렇기 때문에. 이러한 까닭에. 그러므로. 이러+ㄹ(이유의 연결어미).
주004)
각림보살(覺林菩薩)리:각림보살이. ‘각림(覺林)보살’은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숲속의 나무처럼 “깨달음을 얻은 여러 보살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래 한자음대로 표기한다면 ‘각림(覺林)’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강님]으로 발음할 것이므로, ‘ㄹ→ㄴ’규칙만 적용하여 [각님]으로 표기한 것이라 추정한다.
주005)
진 :짓는 것을. 짓-[造]+(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어간의 기본형태를 고려하면 ‘짓’이 일반적 표기이나, 비음화한 표면형을 그대로 표기에 반영해 [진]으로 적은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