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80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80


[지장경 설법 80]
地藏菩薩이 對答샤 長者야 내 이제 未來 現

월인석보 21 상:108ㄱ

在 一切衆生 爲야 부텻 威力 받 이 이 어둘 닐오리라 長者야 未來 現在 衆生히 마 命終 주001)
명종(命終):
다른 곳에서는 ‘명종’로 표기되어 있다. ‘ㆆ’이 쓰여 차이를 보인다.
나래 一佛名 一菩薩名 一辟支佛名을 드르면 有罪 無罪 묻디 아니야 다

월인석보 21 상:108ㄴ

버서나 得리라 다가 男子 女人이 사라 주002)
사라:
살아 있을. ‘잇다’는 ‘잇-, 이시-’로 교체가 되나 경우에 따라 ‘시-’로도 실현되었다.
제 善因 닷디 아니고 한 罪 만히 지면 命終 後에 眷屬 大小ㅣ 爲야 福利 주003)
복리(福利):
행복과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복(利福).
一切 聖事 지도 七分 주004)
칠분(七分):
십분의 칠이라는 뜻으로, 어느 정도 상당한 부분을 이르는 말.
中에 나 얻고 六分 功德은 산 사미

월인석보 21 상:109ㄱ

제 利니 이럴 未來 現在 善男女히 듣고 세우 주005)
세우:
세게.
제 닷면 分마다 오로 어드리라 無常 주006)
무상(無常):
변화함. 생성하고 소멸함.
大鬼 期約 업시 다면 주007)
다면:
기본형은 ‘다다’. 다다르다. 도저(到底)하게하다. 다다르면.
아히 노니 神이 罪福 주008)
죄복(罪福):
죄악과 복덕.
 몰라 七七日 內예 어린 주009)
어리다:
① 어리석다. ② 어리다.
귀머근 야 시혹 諸司 주010)
제사(諸司):
백관(百官). 모든 벼슬아치.
애 이셔 【司

월인석보 21 상:109ㄴ

臣下 주011)
신하(臣下):
임금을 섬기어 벼슬을 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
ㅣ 일 아 주012)
아:
기본형은 ‘알다’. 가말다(헤아려 처리하다). 주관하다.
히라】
業果 주013)
업과(業果):
업보.
辯論 주014)
변론(辯論):
사리를 밝혀 옳고 그름을 따짐.
야 一定 後에 業을브터 生 受니 測量 주015)
측량(測量):
기계(機械)를 써서 물건(物件)의 깊이·높이·길이·넓이·거리(距離) 등을 재어 헤아림.
몯 예 千萬 가짓 시름 受苦ㅣ어니 며 惡趣해 러듀미녀 이 命終 사미 受生 주016)
수생(受生):
사람이라면 누구나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덕을, 후천적인 수행을 통해서 드러나게 하는 일.
몯야 七七日 內예 이셔

월인석보 21 상:110ㄱ

念念 예 骨肉 眷屬히 福力 지 救야 과뎌 라니 주017)
라니:
바라니.
이날 디난 後ㅣ면 業을 조차 報 受야 이 罪人이 곧 千百歲 디내야 버서날 나리 업스니 다가 五無間罪 주018)
오무간죄(五無間罪):
5가지 큰 가르침을 어기는 것.
로 大地獄애 러디면 千

월인석보 21 상:110ㄴ

劫 萬劫에 기리 한 受苦 受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80]
지장보살이 대답하시되 장자야! 내가 이제 미래 현재 모든 중생을 위하여 부처의 신력을 받아 이 일을 대강 이르리라. 장자야 미래 현재 중생들이 머지않아 명종할 날에 일불명 일보살명 일벽지불명을 들으면 유죄 무죄를 묻지 아니하여 다 벗어남을 얻으리라. 만약에 남자 여인이 살아계실 때 선인을 닦지 아니하고 큰 죄를 많이 지으면 명종한 후에 권속 대소가 위하여 복리 일체 성사를 지어도 칠분 중에 하나를 얻고 육분 공덕은 산 사람이 자기가 이로우니 이러기에 미래 현재 선남녀들이 듣고 세차게 자기가 닦으면 분마다 온전히 얻을 것이다. 무상 대귀 기약이 없이 다다르면 아득히 노니는 신이 죄복을 몰라 사십구일 안에 어리석은 듯 귀먹은 듯하여 혹시 제사에 있어 【사는 신하가 일 주관하는 곳이다.】 업과를 변론하여 일정한 후에 업으로 부처 생을 얻으니 측량 못한 사이에 천만 가지의 시름 수고이거니 하물며 악취들에 떨어짐이랴. 이 명종한 사람이 수생 못하여 사십구일 안에 있어 념념 사이에 골육 권속들이 복력을 지어 구하여 빼어내고자 바라니 이날 지난 후이면 업을 좇아 보를 얻어 이 죄인이 곧 천백세를 지내어 벗어날 날이 없으니 만약에 오무간죄로 대지옥에 떨어지면 천겁 만겁에 길이 많은 수고를 얻느니라.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명종(命終):다른 곳에서는 ‘명종’로 표기되어 있다. ‘ㆆ’이 쓰여 차이를 보인다.
주002)
사라:살아 있을. ‘잇다’는 ‘잇-, 이시-’로 교체가 되나 경우에 따라 ‘시-’로도 실현되었다.
주003)
복리(福利):행복과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복(利福).
주004)
칠분(七分):십분의 칠이라는 뜻으로, 어느 정도 상당한 부분을 이르는 말.
주005)
세우:세게.
주006)
무상(無常):변화함. 생성하고 소멸함.
주007)
다면:기본형은 ‘다다’. 다다르다. 도저(到底)하게하다. 다다르면.
주008)
죄복(罪福):죄악과 복덕.
주009)
어리다:① 어리석다. ② 어리다.
주010)
제사(諸司):백관(百官). 모든 벼슬아치.
주011)
신하(臣下):임금을 섬기어 벼슬을 하는 자리에 있는 사람.
주012)
아:기본형은 ‘알다’. 가말다(헤아려 처리하다). 주관하다.
주013)
업과(業果):업보.
주014)
변론(辯論):사리를 밝혀 옳고 그름을 따짐.
주015)
측량(測量):기계(機械)를 써서 물건(物件)의 깊이·높이·길이·넓이·거리(距離) 등을 재어 헤아림.
주016)
수생(受生):사람이라면 누구나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덕을, 후천적인 수행을 통해서 드러나게 하는 일.
주017)
라니:바라니.
주018)
오무간죄(五無間罪):5가지 큰 가르침을 어기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