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월인천강지곡 기412~기417(6곡)
  • 월인천강지곡 기4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14


其 四百十四
처 주001)
처:
‘처음’의 옛말.
라 주002)
라:
① ‘바라보다’의 옛말. ② ‘바라다’의 옛말. 여기서는 ‘바라보다’의 의미이다.
涅槃 주003)
열반(涅槃):
①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니르바나·대적정·멸도(滅度)라고도 한다. ② 입적(入寂).
 듣시고 煩惱 주004)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계박(繫縛)·염오(染汚)·진구(塵垢)·진로(塵勞)라고도 한다.
여희시니 주005)
여희시니:
① ‘여의다’의 옛말.(가.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나. 딸을 시집보내다. 다. 멀리 떠나보내다.) ② ‘떠나다’의 옛말.
다시 說法 주006)
설법(說法):
불법(佛法)을 설명함. 불교의 교의(敎義)를 풀어 밝힘.
신대 주007)
신대:
‘-ㄴ대’는 조건을 나타내는 어미이다. ‘-ㄴ대’에 후치사 ‘ㄴ’이 붙어 ‘-ㄴ댄’이나 ‘-ㄴ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須陁洹 주008)
수다원(須陁洹):
성문 사과(聲聞四果)의 첫째. 무루도(無漏道)에 처음 참례하여 들어간 증과(證果). 곧 사체(四諦)를 깨달아 욕계(欲界)의 탐(貪)·진(瞋)·치(癡)의 삼독(三毒)을 버리고 성자(聖者)의 무리에 들어가는 성문(聲聞)의 지위이다.
 得시고 믈 주009)
믈:
눈물.
로 여희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십사
처음 바라보아 열반을 들으시고 번뇌를 떨치시니
다시 설법하시면 수타원을 얻으시고, 눈물로 떨치시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처:‘처음’의 옛말.
주002)
라:① ‘바라보다’의 옛말. ② ‘바라다’의 옛말. 여기서는 ‘바라보다’의 의미이다.
주003)
열반(涅槃):①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니르바나·대적정·멸도(滅度)라고도 한다. ② 입적(入寂).
주004)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계박(繫縛)·염오(染汚)·진구(塵垢)·진로(塵勞)라고도 한다.
주005)
여희시니:① ‘여의다’의 옛말.(가.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나. 딸을 시집보내다. 다. 멀리 떠나보내다.) ② ‘떠나다’의 옛말.
주006)
설법(說法):불법(佛法)을 설명함. 불교의 교의(敎義)를 풀어 밝힘.
주007)
신대:‘-ㄴ대’는 조건을 나타내는 어미이다. ‘-ㄴ대’에 후치사 ‘ㄴ’이 붙어 ‘-ㄴ댄’이나 ‘-ㄴ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008)
수다원(須陁洹):성문 사과(聲聞四果)의 첫째. 무루도(無漏道)에 처음 참례하여 들어간 증과(證果). 곧 사체(四諦)를 깨달아 욕계(欲界)의 탐(貪)·진(瞋)·치(癡)의 삼독(三毒)을 버리고 성자(聖者)의 무리에 들어가는 성문(聲聞)의 지위이다.
주009)
믈:눈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