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월인천강지곡 기412~기417(6곡)
  • 월인천강지곡 기4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15


월인석보 21 상:2ㄴ

其 四百十五
諸佛 주001)
제불(諸佛):
모든 부처.
菩薩 주002)
보살(菩薩):
①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 ②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보리살타·살타(薩埵)·상사(上士)·진신(眞身)이라고도 한다. ③ 보살승(菩薩乘). ④ 여자 신도(信徒)를 높여 이르는 말. ⑤ ‘고승(高僧)’을 높여 이르는 말.
天龍 주003)
천룡(天龍):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장 가운데 제천과 용신.
忉利天몯거시 주004)
몯거시:
‘몯다’는 ‘모이다’의 옛말. ‘-거시’은 (‘ㅣ’ 계열 이중 모음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지 않는 어간 뒤에 붙어),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으시거늘’.
法王子 주005)
법왕자(法王子):
미래에 부처님이 될 자리에 있는 보살(菩薩). 세간의 국왕(國王)에게 왕자가 있듯이, 부처님을 법왕(法王)이라 함에 대하여 법왕자(法王子)라 함. 특히 문수(文殊)·미륵(彌勒) 등의 보살을 가리켜 말함. 불자(佛子)를 말하기도 함.
ㅣ 數 모시니
過劫 주006)
과겁(過劫):
‘겁’은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 하늘과 땅이 한 번 개벽한 때에서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라는 점에서 ‘과겁’은 지난 지 무한히 오랜 시간이다.
當世 주007)
당세(當世):
바로 그 시대. 또는 바로 그 세상.
未來예 地藏 주008)
지장(地藏):
지장보살. 무불 세계에서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는 대비보살.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袈裟)를 입었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 救 주009)
:
+ㄹ. 것을. 순전히 통사적인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형식명사로는 ‘’ 이외에 ‘’도 있다. ‘-ㄴ’,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디, , 로, ’ 등과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씨, , ’ 등이 그것이다.
世尊이 닐어 주010)
닐어:
니르(‘니르다’의 어간/이르다)+어(연결어미). 일러.
들이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십오
여러 부처와 보살과 천룡이 도리천에 모이시거늘 법왕자가 수를 모르시니
오랜 과거 현재 미래에 지장보살이 구하실 것을 세존이 일러 듣게 하시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불(諸佛):모든 부처.
주002)
보살(菩薩):①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 ②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보리살타·살타(薩埵)·상사(上士)·진신(眞身)이라고도 한다. ③ 보살승(菩薩乘). ④ 여자 신도(信徒)를 높여 이르는 말. ⑤ ‘고승(高僧)’을 높여 이르는 말.
주003)
천룡(天龍):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장 가운데 제천과 용신.
주004)
몯거시:‘몯다’는 ‘모이다’의 옛말. ‘-거시’은 (‘ㅣ’ 계열 이중 모음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지 않는 어간 뒤에 붙어), (주로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으시거늘’.
주005)
법왕자(法王子):미래에 부처님이 될 자리에 있는 보살(菩薩). 세간의 국왕(國王)에게 왕자가 있듯이, 부처님을 법왕(法王)이라 함에 대하여 법왕자(法王子)라 함. 특히 문수(文殊)·미륵(彌勒) 등의 보살을 가리켜 말함. 불자(佛子)를 말하기도 함.
주006)
과겁(過劫):‘겁’은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 하늘과 땅이 한 번 개벽한 때에서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라는 점에서 ‘과겁’은 지난 지 무한히 오랜 시간이다.
주007)
당세(當世):바로 그 시대. 또는 바로 그 세상.
주008)
지장(地藏):지장보살. 무불 세계에서 육도 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는 대비보살.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袈裟)를 입었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에는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주009)
:+ㄹ. 것을. 순전히 통사적인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형식명사로는 ‘’ 이외에 ‘’도 있다. ‘-ㄴ’,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디, , 로, ’ 등과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씨, , ’ 등이 그것이다.
주010)
닐어:니르(‘니르다’의 어간/이르다)+어(연결어미). 일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