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70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70


[지장경 설법 70]
普廣아 未來世예 아 사히 시혹 주001)
노(奴):
예전에, 남자 종을 이르던 말.
ㅣ어나 시혹 주002)
비(婢):
예전에, 계집종을 이르던 말.
어나 주003)
제:
성조형에 따라 각기 다른 쓰임을 보인다. 평성의 경우에는 ‘저의’, 상성인 경우에는 ‘제가’, 거성의 경우에는 ‘스스로’.
다 주004)
다:
기본형은 ‘답다’. 마음을 다함과 같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 된다. 마음답게.
몯 사해 니르리 아 業을 아라 懺悔코져  사미 至極 로 地藏

월인석보 21 상:96ㄴ

菩薩
形像을 주005)
형상(形像)을:
이곳의 한자음 표기는 ‘:’으로 되어 있어 다른 곳의 ‘:’과 차이를 보인다. ‘상’의 현실음이 단모음화한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의 근거로 삼을 만하다.
울워러 절야 一七日 中에 菩薩ㅅ 일후믈 주006)
염(念):
‘념’의 한자음이 ‘·넘’으로 된 것은 ‘·념’의 잘못으로 보인다.
야 一萬 버니 면 이트렛 사 이 報  後에 千萬生中에 녜 尊貴  나 다시 三惡道 苦 디내디 아니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70]
보광아! 미래세에 천한 사람들이 혹시 종이거나 혹시 계집종이거나 저의 마음을 다함과 같게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르도록 예전의 업을 알아 참회하고자 할 사람이 지극한 마음으로 지장보살 형상을 우러러 절하여 십칠일 안에 보살의 이름을 염하여 일만 번이 차면 이들의 사람만이 보 마친 후에 천만생 중에 항상 존귀한 데 나서 다시 삼악도 고를 지내지 아니하리라.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奴):예전에, 남자 종을 이르던 말.
주002)
비(婢):예전에, 계집종을 이르던 말.
주003)
제:성조형에 따라 각기 다른 쓰임을 보인다. 평성의 경우에는 ‘저의’, 상성인 경우에는 ‘제가’, 거성의 경우에는 ‘스스로’.
주004)
다:기본형은 ‘답다’. 마음을 다함과 같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 된다. 마음답게.
주005)
형상(形像)을:이곳의 한자음 표기는 ‘:’으로 되어 있어 다른 곳의 ‘:’과 차이를 보인다. ‘상’의 현실음이 단모음화한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의 근거로 삼을 만하다.
주006)
염(念):‘념’의 한자음이 ‘·넘’으로 된 것은 ‘·념’의 잘못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