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37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37


[지장경 설법 37]
摩耶夫人地藏菩薩 다시 샤 엇뎨 주001)
엇뎨:
‘어찌’의 옛말. 어찌하여. 어째서.

월인석보 21 상:41ㄴ

후미 無間地獄이고 地藏이 샤 聖母하 地獄히 大鐵圍山 주002)
대철위산(大鐵圍山):
불교의 우주관을 토대로 한 산 이름. 하나의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철위산과 구별하여, 대천(大千)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산을 가리킴.
안해 잇니 큰 地獄이 열여듧 고디오 주003)
고디오:
곧+이고. ‘곳’의 옛말. 공간적인 또는 추상적인 일정한 자리나 지역.
버거 주004)
버거:
다음가다.
五百이 이쇼 일후미 各各 다고 버거 千百이 이쇼 일후미 各各 다니 無間獄 주005)
무간옥(無間獄):
무간지옥.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무간나락·무간아비·아비(阿鼻)·아비세계·아비지옥·아비초열지옥이라고도 한다.

월인석보 21 상:42ㄱ

獄城 주006)
옥성(獄城):
성처럼 높이 둘러싸여 있는 감옥. 獄城의 한자음 표기가 ‘·’으로 된 것은 ‘·’의 잘못이다.
둘에 주007)
둘에:
‘둘레’의 옛말.
八萬 나 주008)
나:
그 수보다 좀 더 됨을 나타내는 접미사.
주009)
리(里):
거리의 단위. 1리는 약 0.393km에 해당한다.
오 그 城이 고 주010)
고:
기본형은 ‘고다’. 고르다. 관형사로 쓰일 경우에는 ‘순한’ 정도의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다. 고른.
쇠오 노 주011)
노:
‘높이’의 옛말.
一萬里오 城 우희 브리 뷘  주012)
뷘 :
뷔+ㄴ+. 빈 데. 빈 곳.
업스니 그 獄城 中에 여러 獄이 서르 니 일후미 各各 다니 오  獄이 이쇼 일후미 無間 주013)
무간(無間):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 지옥의 이름 중 하나. 무간지옥의 줄임말.
이니 그 獄 둘에 萬八千里오 獄

월인석보 21 상:42ㄴ

담 노 一千里오 다 쇠로 라 주014)
라:
기본형은 ‘다’. ‘만들다’의 옛말.
잇고 우흿 브리 아래 고 아랫 브리 우희 고 鐵蛇 주015)
철사(鐵蛇):
쇠로 된 뱀.
鐵狗 주016)
철구(鐵狗):
쇠로 된 개.
ㅣ 블 吐며 녀 주017)
녀:
기본형은 ‘니다’. ‘다니다’의 옛말. ‘녀’와 같은 표기도 병존한다. 음운동화 현상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蛇 야미 주018)
야미:
얌+이. ‘뱀’의 옛말. 뱀이.
오 狗 가히라 주019)
가히라:
‘개’의 옛말. 조사 ‘’, ‘의’, ‘의게’ 앞에서는 ‘ㅣ’가 탈락하여 ‘갛’으로 나타난다. 개다.
獄 담 우희 東西로 며 주020)
며:
기본형은 ‘다’. 닫다. 달리며.
獄中에 주021)
상(床):
음식을 차려 내거나 걸터앉거나 책을 올려놓고 볼 수 있게 만든 가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소반, 책상, 평상 따위가 있다.
이 이쇼 萬里예 차 거든 주022)
거든:
거든. ‘가득’의 ‘ㄱ’ 아래에서 ‘거든’의 ‘’가 탈락한 것이다. 가득하거든.
 사미 罪 受호

월인석보 21 상:43ㄱ

제 모 브니 주023)
브니:
‘보니’의 잘못.
그 床애 기 주024)
기:
‘가득히’의 옛말.
누잇고 주025)
누잇고:
눕+어+잇+고. 누워있고. 누웠고. 현대국어에서는 아주 생산적인 어미 ‘-아’를 가진 부동사와 다른 동사 어간의 합성이 중세국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에서와 같이 부동사 어미와 ‘이시-/잇-’[有]의 합성은 동작의 완료 상태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15세기 중엽에 ‘-아/어’와 ‘이시-/잇-’의 단축형인 ‘-앳/엣-’으로 나타난다. ‘親친 버듸 지븨 가 수을 醉야 누거늘 그 親친 버디 그윗 일로 나갈 쩨〈월석 15:22ㄴ〉’와 같은 예가 그것이다.
千萬 사미 罪 受호  各各 제 모 보니 床 우희 야 여러 業의 感호로 報 어두미 이러며  罪人히 한 受苦 초 주026)
초:
‘갖추’의 옛말. 고루 있는 대로.
受야 千百 夜叉와  모딘 鬼 이벳 어미 주027)
어미:
엄+이. ‘어금니’의 옛말.

월인석보 21 상:43ㄴ

고 누니 번게 고 소니  구리토빈 거시  주028)
:
+. ‘’은 ‘배알’. 창자를 가리킨다.
며 사며 주029)
사며:
기본형은 ‘사다’. 썰다. 썰며.
버히며 주030)
버히며:
기본형은 ‘버히다’. 베다. 베며.
 夜叉ㅣ 큰 鐵㦸 주031)
철극(鐵㦸):
쇠창.
자바【㦸은 槍이라】 罪人 모 디며 주032)
디며:
기본형은 ‘디다’. ‘찌르다’의 옛말. 찌르며.
시혹 입 고 주033)
입 고:
입과 코를. ‘곻’는 ‘코’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고’로 나타난다.
디며 시혹 주034)
:
‘배[腹]’의 옛말.
와 과 딜어 虛空 주035)
허공(虛空):
텅 빈 공중.
티티고 주036)
티티고:
기본형은 ‘티티다’. ‘티’는 ‘치’의 옛말로, ‘위로 향하게’ 또는 ‘위로 올려’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치뜨리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던져 올리다. 치치고.
바며 시혹 床 우희 노코  鐵鷹 주037)
철응(鐵鷹):
쇠매.
이 罪人의 누늘 머

월인석보 21 상:44ㄱ

그며【鷹은 매라】  鐵蛇ㅣ 罪人 머리 가며 주038)
온:
중세국어의 ‘온’은 여기에서와 같이 거성일 경우에는 ‘백(百)’의 의미를 가지고, 상성일 경우에는 ‘온, 모든’의 의미를 가진다.
 주039)
:
‘매듭’의 옛말.
안해 다 긴 모 주040)
모:
몯+. ‘몯’은 ‘못’의 옛말. 못을.
바며 혀  주041)
:
기본형은 ‘다’. ‘빼다’의 옛말. 속에 들어 있거나 끼여 있거나, 박혀 있는 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다. 빼어.
갈며 주042)
갈며:
기본형은 ‘갈다’. 갈며.
罪人을 휫두루 주043)
휫두루:
‘휘뚜루’의 옛말. 닥치는 대로 대충대충.
그며 구리 노겨 이베 브며 더 鐵로 모 얼거 一萬 디위 죽고 一萬 디위 주044)
디위:
‘번’의 옛말.
사라 業感 주045)
업감(業感):
업(業)에 의하여 그 과보(果報)를 받는 일.
호미 이야든 주046)
이야든:
‘이’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은 ‘같이’의 옛말. ‘야든’은 하거든.
주047)
다:
‘데’의 옛말. ‘다마다’는 ‘데마다, 곳마다’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마다 億劫을 디내

월인석보 21 상:44ㄴ

야 나고져  그지 업스니 이 世界  제 다 世界예 가 나 다 世界 버거  제  다 주048)
방(方):
나라. 국가.
애 가 나 다 方  제 올며 올마 주049)
올며 올마:
옮기며 옮겨. 어미 ‘-며’는 동시 병행을 나타낸 것으로 동명사 어미 ‘-ㅁ’과 첨사 ‘여’가 결합한 것이었다.
서르 브터 냇다가 이 世界 주050)
인:
기본형은 ‘일다’. ① 없던 현상이 생기다. ② 희미하거나 약하던 것이 왕성하여지다. ③ 겉으로 부풀거나 위로 솟아오르다.
後에 도로 오리니 無間 罪報ㅣ 그 이리 이러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37]
마야부인지장보살께 다시 사뢰시되 ‘어찌하여 이름이 무간지옥입니까?’ 지장이 사뢰시되 ‘성모여! 지옥들이 대철위산 안에 있으니 큰 지옥이 열여덟 곳이요 다음가는 오백 곳이 있으니 이름이 각각 다르고 다음가는 천백이 있되 이름이 각각 다르니 무간옥은 그 옥성 둘레가 팔만여 리이고, 그 성이 고른 쇠이고 높이가 일만 리요 성 위에 불이 빈 데가 없으니 그 지옥성 중에 여러 감옥이 서로 이어져 이름이 각각 다르니 혼자 한 지옥이 있되 이름이 무간이니 그 감옥 둘레가 만팔천 리요 지옥의 담의 높이가 일천 리요 모두 쇠로 만들어져 있고 위에 불이 아래로 통하고 아래 불이 위로 통하고 쇠로 된 뱀과 쇠로 된 개가 불을 토하며 다녀【사는 뱀이고 구는 개다.】 지옥 담 위에 동서로 달리며 감옥 중에 상이 있되 만 리에 차서 가득하거든 한 사람이 죄를 받되 제 몸을 보니 그 평상에 가득히 누워 있고 천만 사람이 죄를 받되 또 각각 제 몸을 보니 상 위에 가득하여 여러 업의 느낌으로 응보를 얻음이 이러하며, 또 죄인들이 많은 수고를 고루 받아 천백 야차와 또 모진 귀신 입의 어금니가 칼 같고 눈이 번개 같고 손이 또 구리톱인 것이 배알을 빼며 썰며 베며 또 야차가 큰 쇠창을 잡아【극은 창이다.】 죄인의 몸을 찌르며 때론 입과 코를 찌르며 때론 배와 등을 찔러 허공에 치치고 받으며 때론 상 위에 놓고 또 쇠매가 죄인의 눈을 먹으며【응은 매다.】 또 쇠뱀이 죄인의 머리를 감으며 백 매듭 안에 모두 긴 못을 박으며 혀를 빼내어 갈며 죄인을 휘뚜루 끌며 구리를 녹여 입에 부으며 더운 쇠로 몸을 얽어 일만 번 죽고 일만 번 살아 업감함이 이와 같거든 곳마다 억겁을 지내야 나고자 할 끝이 없으니 이 세계가 무너질 때 다른 세계에 가서 나 다른 세계가 다음 무너질 때 또 다른 나라에 가서 나 다른 나라가 무너질 때 옮기며 옮아 서로 붙어서 났다가 이 세계가 생긴 후에 도로 올 것이니 무간 죄보가 그 일이 이러합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어찌’의 옛말. 어찌하여. 어째서.
주002)
대철위산(大鐵圍山):불교의 우주관을 토대로 한 산 이름. 하나의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철위산과 구별하여, 대천(大千)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산을 가리킴.
주003)
고디오:곧+이고. ‘곳’의 옛말. 공간적인 또는 추상적인 일정한 자리나 지역.
주004)
버거:다음가다.
주005)
무간옥(無間獄):무간지옥. 팔열 지옥(八熱地獄)의 하나. 오역죄를 짓거나, 절이나 탑을 헐거나, 시주한 재물을 축내거나 한 사람이 가는데, 한 겁(劫) 동안 끊임없이 고통을 받는다는 지옥이다. 무간나락·무간아비·아비(阿鼻)·아비세계·아비지옥·아비초열지옥이라고도 한다.
주006)
옥성(獄城):성처럼 높이 둘러싸여 있는 감옥. 獄城의 한자음 표기가 ‘·’으로 된 것은 ‘·’의 잘못이다.
주007)
둘에:‘둘레’의 옛말.
주008)
나:그 수보다 좀 더 됨을 나타내는 접미사.
주009)
리(里):거리의 단위. 1리는 약 0.393km에 해당한다.
주010)
고:기본형은 ‘고다’. 고르다. 관형사로 쓰일 경우에는 ‘순한’ 정도의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다. 고른.
주011)
노:‘높이’의 옛말.
주012)
뷘 :뷔+ㄴ+. 빈 데. 빈 곳.
주013)
무간(無間):끊임없이 계속되는 것. 지옥의 이름 중 하나. 무간지옥의 줄임말.
주014)
라:기본형은 ‘다’. ‘만들다’의 옛말.
주015)
철사(鐵蛇):쇠로 된 뱀.
주016)
철구(鐵狗):쇠로 된 개.
주017)
녀:기본형은 ‘니다’. ‘다니다’의 옛말. ‘녀’와 같은 표기도 병존한다. 음운동화 현상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주018)
야미:얌+이. ‘뱀’의 옛말. 뱀이.
주019)
가히라:‘개’의 옛말. 조사 ‘’, ‘의’, ‘의게’ 앞에서는 ‘ㅣ’가 탈락하여 ‘갛’으로 나타난다. 개다.
주020)
며:기본형은 ‘다’. 닫다. 달리며.
주021)
상(床):음식을 차려 내거나 걸터앉거나 책을 올려놓고 볼 수 있게 만든 가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소반, 책상, 평상 따위가 있다.
주022)
거든:거든. ‘가득’의 ‘ㄱ’ 아래에서 ‘거든’의 ‘’가 탈락한 것이다. 가득하거든.
주023)
브니:‘보니’의 잘못.
주024)
기:‘가득히’의 옛말.
주025)
누잇고:눕+어+잇+고. 누워있고. 누웠고. 현대국어에서는 아주 생산적인 어미 ‘-아’를 가진 부동사와 다른 동사 어간의 합성이 중세국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에서와 같이 부동사 어미와 ‘이시-/잇-’[有]의 합성은 동작의 완료 상태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15세기 중엽에 ‘-아/어’와 ‘이시-/잇-’의 단축형인 ‘-앳/엣-’으로 나타난다. ‘親친 버듸 지븨 가 수을 醉야 누거늘 그 親친 버디 그윗 일로 나갈 쩨〈월석 15:22ㄴ〉’와 같은 예가 그것이다.
주026)
초:‘갖추’의 옛말. 고루 있는 대로.
주027)
어미:엄+이. ‘어금니’의 옛말.
주028)
:+. ‘’은 ‘배알’. 창자를 가리킨다.
주029)
사며:기본형은 ‘사다’. 썰다. 썰며.
주030)
버히며:기본형은 ‘버히다’. 베다. 베며.
주031)
철극(鐵㦸):쇠창.
주032)
디며:기본형은 ‘디다’. ‘찌르다’의 옛말. 찌르며.
주033)
입 고:입과 코를. ‘곻’는 ‘코’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고’로 나타난다.
주034)
:‘배[腹]’의 옛말.
주035)
허공(虛空):텅 빈 공중.
주036)
티티고:기본형은 ‘티티다’. ‘티’는 ‘치’의 옛말로, ‘위로 향하게’ 또는 ‘위로 올려’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치뜨리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던져 올리다. 치치고.
주037)
철응(鐵鷹):쇠매.
주038)
온:중세국어의 ‘온’은 여기에서와 같이 거성일 경우에는 ‘백(百)’의 의미를 가지고, 상성일 경우에는 ‘온, 모든’의 의미를 가진다.
주039)
:‘매듭’의 옛말.
주040)
모:몯+. ‘몯’은 ‘못’의 옛말. 못을.
주041)
:기본형은 ‘다’. ‘빼다’의 옛말. 속에 들어 있거나 끼여 있거나, 박혀 있는 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다. 빼어.
주042)
갈며:기본형은 ‘갈다’. 갈며.
주043)
휫두루:‘휘뚜루’의 옛말. 닥치는 대로 대충대충.
주044)
디위:‘번’의 옛말.
주045)
업감(業感):업(業)에 의하여 그 과보(果報)를 받는 일.
주046)
이야든:‘이’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은 ‘같이’의 옛말. ‘야든’은 하거든.
주047)
다:‘데’의 옛말. ‘다마다’는 ‘데마다, 곳마다’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주048)
방(方):나라. 국가.
주049)
올며 올마:옮기며 옮겨. 어미 ‘-며’는 동시 병행을 나타낸 것으로 동명사 어미 ‘-ㅁ’과 첨사 ‘여’가 결합한 것이었다.
주050)
인:기본형은 ‘일다’. ① 없던 현상이 생기다. ② 희미하거나 약하던 것이 왕성하여지다. ③ 겉으로 부풀거나 위로 솟아오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