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79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79


[지장경 설법 79]
이 말 니 제 會中에  長者ㅣ 일후미 大辯 주001)
대변(大辯):
빼어난 말솜씨. 또는 빼어난 말솜씨를 가진 이.
이러니 오래 無生 주002)
무생(無生):
① 모든 현상은 변화하는 여러 요소들이 인연에 따라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흩어지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데 불과할 뿐 생기는 것이 없다는 뜻. ② 번뇌나 미혹이 일어나지 않는 열반의 경지. 분별하는 인식 주관의 작용이 끊어진 상태.
 證야 十方 化度야 長者 모 現니러니 合掌 恭敬야 地藏菩薩묻 주003)
묻:
묻자오되. 기본형은 ‘묻다’.
大士하 이 南閻浮提 衆生

월인석보 21 상:107ㄴ

이 命終 後에 大小 眷屬이 爲야 功德 주004)
공덕(功德):
범어 구나(求那)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이라고도 쓴다.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한다. 종교적으로 순수한 것을 진실공덕(眞實功德)이라 이르고, 세속적인 것을 부실공덕(不實功德)이라 한다. 공덕을 해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말이 있다. ①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한다. ② 공을 功能이라 해석. 선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한다. ③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한다. ④ 악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한다. ⑤ 덕은 얻었다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한다.
닷고 齋야 여러 善因 지매 니를면 이 命終 사미 큰 利益과 解脫 得리가 몯리가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79]
이 말 이르실 때 회중에 한 장자가 이름이 대변이더니 오래 무생을 증하여 시방을 화도하여 장자 몸을 나타낸 이이더니 합장 공경하여 지장보살께 묻되 대사이시여! 이 남염부제 중생이 명종한 후에 대소 권속이 위하여 공덕을 닦되 재하여 여러 선인을 지음에 이르면 이 명종한 사람이 큰 이익과 해탈을 얻겠습니까? 못하겠습니까?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변(大辯):빼어난 말솜씨. 또는 빼어난 말솜씨를 가진 이.
주002)
무생(無生):① 모든 현상은 변화하는 여러 요소들이 인연에 따라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흩어지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데 불과할 뿐 생기는 것이 없다는 뜻. ② 번뇌나 미혹이 일어나지 않는 열반의 경지. 분별하는 인식 주관의 작용이 끊어진 상태.
주003)
묻:묻자오되. 기본형은 ‘묻다’.
주004)
공덕(功德):범어 구나(求那)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이라고도 쓴다.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한다. 종교적으로 순수한 것을 진실공덕(眞實功德)이라 이르고, 세속적인 것을 부실공덕(不實功德)이라 한다. 공덕을 해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말이 있다. ①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한다. ② 공을 功能이라 해석. 선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한다. ③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한다. ④ 악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한다. ⑤ 덕은 얻었다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