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상)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상권)
  • 지장경 설법
  • 지장경 설법 76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설법 76


[지장경 설법 76]
그 地藏普

월인석보 21 상:102ㄱ

薩 摩訶薩
부텨 샤 世尊하 내 보 이 閻浮衆生이 발 들며 念 뮈우매 주001)
뮈우매:
뮈우+매. ‘-매’는 원인을 나타낸 어미로, 동명사 어미 ‘-ㅁ’이 ‘-애(처격)’에 결합된 형태.
아니니 주002)
아니니:
아니 +니. ‘-니’는 조건아니 가정을 보여주는 연결 어미로 쓰였다.
업스니 善利 맛나도 주003)
맛나도:
만나도.
매 주004)
매:
 +애. ‘’은 마음을 뜻한다.
므르리 주005)
므르리:
므르+ㄹ+이. 무르다. 물러나다. 무를 이가.
만며 惡緣을 맛나면 念念 주006)
염념(念念):
① 늘 마음속으로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② 시간이 지나감.
더으니 주007)
더으니:
더으++니. 기본형은 ‘더으다’. 더하다. 더하니.
이 무렛 사 즌 며 주008)
며:
+며. 밟으며.
므거 돌 지야 주009)
지야:
지듯하여.

월인석보 21 상:102ㄴ

困며 주010)
곤(困)며:
‘곤하다’. 기운이 없이 나른하다. 곤하며.
漸漸 므거 자곡 주011)
자곡:
자국.
마다 깁니 주012)
깁니:
깊+니. ‘깊-’의 활용형은 ‘기프니, 깁고’ 등으로 표기되었다.
다가 善知識을 맛나  주013)
:
‘대신해서’의 옛말.
바다 주014)
바다:
받아.
더러 주015)
더러:
기본형은 ‘덜다’. 덜어.
지거나 주016)
지거나:
기본형은 ‘지다’. 지거나. ‘지다’는 ‘물건을 짊어서 등에 얹다.’라는 기본 의미를 가지나 ‘① 신세나 은혜를 입다. ② 책임이나 의무를 맡다. ③ 빌린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다.’의 의미로 확대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시혹 오로 지거나 야 이 善知識이 큰 히미 이셔  서르 븓드러 주017)
븓드러:
븥+들+어. 현대어로는 ‘붙들다’의 뜻을 지님. ‘붙들다’ ① 놓치지 않게 꽉 쥐다. ② 사람이나 사물 따위가 달아나지 못하도록 잡다. ③ 남을 가지 못하게 말리다. ④ 어떤 일에 매달리다. ‘븥-’과 ‘들-’은 각 각 동사의 어간으로, 이들이 합쳐지는 현상을 통하여 이 시기의 동사어간 끼리의 복합동사 형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붙들어.
도 주018)
도:
기본형은 ‘돕다’. 도와.
바 구디 게 야 주019)
게 하야:
쓰게 하여.
平地예 나거든 모로매 모딘 길흘 펴 외 주020)
외:
‘다시’의 옛말.
디나디 마

월인석보 21 상:103ㄱ

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설법 76]
그때 지장보살 마하살부처께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내가 보되 이 염부 중생이 발을 들며 염 움직임에 죄 아닌 사람 없으니 선리를 만나도 첫 마음에 물러날 이가 많으며 악연을 만나면 염념에 더하니 이 무리의 사람은 진흙 밟으며 무거운 돌 지듯하여 점점 곤하며 점점 무거워 자국마다 깊으니 만약에 선지식을 만나 대신해서 받아 덜어서 지거나 혹시 온통 지거나 하거든 이 선지식이 큰 힘이 있어 또 서로 붙들어 도와 발을 굳이 쓰게 하여 평지에 나가거든 모름지기 모진 길을 살피어 다시 지나지 말 것이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뮈우매:뮈우+매. ‘-매’는 원인을 나타낸 어미로, 동명사 어미 ‘-ㅁ’이 ‘-애(처격)’에 결합된 형태.
주002)
아니니:아니 +니. ‘-니’는 조건아니 가정을 보여주는 연결 어미로 쓰였다.
주003)
맛나도:만나도.
주004)
매: +애. ‘’은 마음을 뜻한다.
주005)
므르리:므르+ㄹ+이. 무르다. 물러나다. 무를 이가.
주006)
염념(念念):① 늘 마음속으로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② 시간이 지나감.
주007)
더으니:더으++니. 기본형은 ‘더으다’. 더하다. 더하니.
주008)
며:+며. 밟으며.
주009)
지야:지듯하여.
주010)
곤(困)며:‘곤하다’. 기운이 없이 나른하다. 곤하며.
주011)
자곡:자국.
주012)
깁니:깊+니. ‘깊-’의 활용형은 ‘기프니, 깁고’ 등으로 표기되었다.
주013)
:‘대신해서’의 옛말.
주014)
바다:받아.
주015)
더러:기본형은 ‘덜다’. 덜어.
주016)
지거나:기본형은 ‘지다’. 지거나. ‘지다’는 ‘물건을 짊어서 등에 얹다.’라는 기본 의미를 가지나 ‘① 신세나 은혜를 입다. ② 책임이나 의무를 맡다. ③ 빌린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다.’의 의미로 확대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주017)
븓드러:븥+들+어. 현대어로는 ‘붙들다’의 뜻을 지님. ‘붙들다’ ① 놓치지 않게 꽉 쥐다. ② 사람이나 사물 따위가 달아나지 못하도록 잡다. ③ 남을 가지 못하게 말리다. ④ 어떤 일에 매달리다. ‘븥-’과 ‘들-’은 각 각 동사의 어간으로, 이들이 합쳐지는 현상을 통하여 이 시기의 동사어간 끼리의 복합동사 형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붙들어.
주018)
도:기본형은 ‘돕다’. 도와.
주019)
게 하야:쓰게 하여.
주020)
외:‘다시’의 옛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